• 제목/요약/키워드: stand yiel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1초

현실임분 생장특성에 의한 편백 임분수확표 개발 (Development of Stand Yield Table Based on Current Growth Characteristics of Chamaecyparis obtusa Stands)

  • 정수영;이광수;이호상;배은지;박준형;고치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477-483
    • /
    • 2020
  • 본 연구는 남부지방 대표수종인 편백 현실림의 생장 특성을 반영한 수확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개소 이상의 편백의 표준지 생장조사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기존의 임분수확표 작성 절차인 직경분포의 추정, 적합, 예측의 단계를 거쳤으며,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함수를 이용하였다. 임지생산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인 지위지수(기준임령 30년)는 Chapman-Richards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임분수확표 작성을 위한 평균직경 등 여러 추정식은 적합도를 고려하여 최적의식을 선정하고 이용한 결과, 조사된 편백 현실임분의 지위지수는 10~18 범위에 있음이 밝혀졌다. 추정된 임분재적 모델은 편백림의 임분재적에 대해 62%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재적과 추정재적 간의 잔차도분석 결과 '0'을 중심으로 모두 고른 잔차를 보여 본 추정 결과를 이용함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번 남부지방을 대표하는 침엽수인 편백에 대한 임분수확표 작성 결과가 현실의 산림경영에 폭넓게 사용되기를 바라며, 향후 편백 임분 생장이 더욱 안정화되고 생육발달로 장벌기 대경재 생산지가 많이 확보되면 더욱 개선된 수확표의 작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Surface-Applied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 I. Orchardgrass, Reed Canarygrass and Alfalfa-Grass Mixtures

  • Min, D.H.;Vough, L.R.;Chekol, T.;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58-765
    • /
    • 1999
  • Compar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and various forage grasses have not previously been conducted. The results being reported here are part of a larger study having a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ous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for utilizing nutrients from applied dairy slurry. The objectives of this part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nd alfalfa-orchanrdgreass and alfalfa-reed canarygrass mixtures managed as a 4-cutting management system.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s consisted of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time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ub-plots consisted of the two grasses and two alfalfa-grass mixture mentioned above. Slurry was composed from stored solids scraped from the alleyways of a free-stall housing barn and water added to form a slurry having about 8% solids. Manure was pumped from a liquid spreader tank into 10.4 L garden water cans for manual application to the plots. Herbage yields within speci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various rates of application in the first production year. Herbage yield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the second year were generally not affected by frequency of application for the same rate of slurry applied. Slurry application resulted in greater herbage yield increases in grasses than alfalfa-grass mixtures in the 4-cutting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herbage dry matter yields of grasses from the dairy slurry treatments equaled or exceeded yields from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Stand rating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were not changed by manure application rates. In this study, the highest rate of slurry ($967kg\;total\;N\;ha^{-1}$ in 1995 plus $2,014kg\;N\;ha^{-1}$ in 1996) was not detrimental to herbage yields or stand persistence of any of the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applying dairy slurry to these cool-season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managed in a 4-cutting system is an acceptable practice from the standpoint of herbage yield and satnd persistence and by doing so the utiliz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can be reduced.

임분 안정성을 고려한 일본잎갈나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 (Optimum Stand Density Control Considering Stability in Larix kaempferi Forests)

  • 박준형;정상훈;김선희;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202-210
    • /
    • 2020
  • 본 연구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안정성을 고려한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조사 표본점 259개소의 자료를 통해 임분밀도관리도를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대수확량지수(Relative yield index: Ry)와 형상비(Height-to-diameter ratio: H/D)간의 관계 구명을 통해 임분밀도 관리의 적정 수준을 찾고자 하였다. 추정된 임분밀도관리도의 설명력(R2)은 0.600으로 나타났다. 상대수확량지수와 세장목의 출현비율의 관계 분석 결과, 일정임분밀도 이상에 도달할 경우 세장목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해당 곡선에서의 상대수확량지수(Ry)의 임계값은 0.6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풍해, 설해와 같은 자연적인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임분 관리 전략 수립과 경제림의 생산력 향상을 위한 임분 시업체계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분밀도관리도를 이용한 소나무림의 적정 임분밀도 관리 기준 및 수확목표 (The Production Objectives and Optimal Standard of Density Control Using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 박준형;정수영;유병오;이광수;박용배;김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57-46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임분밀도관리도를 이용하여 소나무 임분의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임분밀도 관리 기준을 마련하고 이로부터 실행가능한 임분의 생산목표를 예측하였다. 적정 임분 관리수준은 임내 세장목 비율에 대한 수량비수(Relative yield index: Ry)의 관계를 지수함수로부터 모형 추정을 하였으며, 추정 결과 모형 설명력은 0.424로 나타났다. 임내 세장목 비율은 특정 수량비수에 도달하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 관계식을 근거로 하여 목표하는 적정 Ry 값 0.84를 구하였다. 적정 임분밀도 관리 기준인 Ry 0.84 값의 곡선과 중부지방소나무의 우세목 수고를 예측하여 지위지수별 생산목표를 설정하였다. 중부지방소나무 지위지수 10~16의 범위에서 벌기령을 60년으로 할 때 예측되는 수확본수는 ha당 425~1,311본으로 나타났다. 목표 흉고직경은 지위지수 16이상에서 30 cm 이상 중경재 생산이 가능하며, 지위 14와 12는 20 cm 이상 소경재 생산, 지위 10은 20 cm 미만 소경재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임분 수확예측 모델을 이용한 간벌 시나리오별 목재수확량 예측 (Estimation of Timber Production by Thinning Scenarios Using a Forest Stand Yield Model)

  • 김영환;김태욱;원현규;이경학;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592-5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임분 수확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6개 주요 수종(강원지방소나무, 중부지방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상수리나무, 신갈나무)에 대해 간벌 시업에 따른 임분의 생장변화와 수확량을 예측하였다. 간벌 시나리오를 설정하기 위해 15년에서 40년까지 5년 단위로 간벌시기를 구분하되 간벌주기는 10년 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간벌에 의해 제거되는 전체 비율이 60%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였다. 이러한 제한조건을 적용하여 10가지 간벌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수종별, 지위지수별 수확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강원지방소나무, 잣나무, 신갈나무는 20년과 40년, 2회에 걸쳐 30% 강도로 간벌을 시행하는 것이 수확량이 가장 높았으며, 중부지방소나무, 낙엽송은 20년, 30년, 40년, 3회에 걸쳐 20% 강도로 간벌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수확량이 높았다. 상수리나무는 두 시나리오 모두 동일한 수확량을 보였다. 또한 간벌을 시행하는 것이 시행하지 않는 것보다 수확량의 증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위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수확량 증대효과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종별로는 강원지방소나무(28%)와 낙엽송 임분(25%)에서 간벌로 인한 수확량 증대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잣나무(12%)는 상대적으로 효과가 낮았다. 본 연구에 이용된 임분 수확 예측모델은 간벌시업에 따른 임분의 생장변화를 예측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수확표 자료를 토대로 함에 따라 현장적용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간벌효과에 대한 실측 자료와 비교 검증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Effect of a fall cut on dry matter yield, nutritive value,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 McDonald, Iryna;Min, Doohong;Baral, Rudr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799-814
    • /
    • 2021
  • Information is lacking about the effect of date of a fall cu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on dry matter yield (DMY), forage nutritive value, and stands persist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iming of a fall cut on DMY, forage nutritive value and stand persistence of three alfalfa varieties: low-lignin Hi-Gest 360, Roundup Ready Tonica, and conventional Gunner in Northeastern Kansas in the United States. The field study was carried out by splitting plot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The harvesting data of different maturity stages were collected in each year from 2015 to 2018. Three cuts were harvested based on the stage of maturity, and the last (fourth) cut was done on September 15, September 30, October 15, and October 30 of each year. The persistence of the alfalfa stands was determined each fall after the last cut, and each spring after the first cut, by counting the number of live plants in a randomly placed quadrat in each plot. Alfalfa cut on September 15 and September 30 had a higher stand persistence compared to alfalfa cut on October 15 and October 30. The DMY of the first cut in 201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oundup ready than the low-lignin alfalfa variety. In the second cut, DM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ventional alfalfa than the roundup rea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MY between alfalfa varieties in the rest of seasonal cuttings in 2016 and 2017 and annual total yield in both years. In general, low lignin alfalfa variety had higher crude protein and relative feed value and lower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s than those in roundup ready and conventional alfalfa varieties. On average, nutritive value of alfalfa was generally affected by last cutting dates in 2017. Based on 3-year data the last cutting of alfalfa in the fall could be done by September 30-October 15 without harmful effect on DMY.

중국(中國) 동북부(東北部) 지방(地方) 활엽수(闊葉樹)-잣나무 천연림(天然林)의 생장(生長) 모델과 수확(收穫) 모델 개발(開發) (The Development of Growth and Yield Models for the Natural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s in Northeast China)

  • 이봉일;최정기;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50-662
    • /
    • 2001
  • 이 연구는 중국 동북부 활엽수-잣나무 천연림의 다섯 가지 임형에 대하여 임분의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자료는 43년생부터 364년생 범위에 이르는 임분에서 0.06ha에서 1.0ha 크기의 359개 임시 표본구와 58I개의 영구 표본구에서 수집되었다. 입지조건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위급지수(Site Class Index; SCI)플 도입하였고, 천연혼효림의 임분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관경쟁지수(Crown Competition Factor; CCF)를 채택하였다. SCI 공식과 수고-직경 곡선 모델은 Chapman-Richards 함수를 이용하였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및 임분재적 모델의 개발은 Schumacher의 생장함수를 기본 모델로 선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 모델에서 Schumacher 함수의 점근매개변수 A는 입지조건(SCI)과 임분밀도(CCF)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율매개변델수 k는 임분밀도와 관계가 있었고 입지조건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생장 모델과 수확 모델로써 예측된 임분 제원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별개의 임분 자료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예측치의 상대평균오차(RME)는 ${\pm}5%$ 미만으로 산출되었고 임분 변수들의 정확도는 모두 9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 김동관;정찬식;천상욱;국용인;김명석;방극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4-187
    • /
    • 2004
  •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인도네시아 유칼립투스 및 아카시아 조림지의 임분수확표 및 이용가능 목재생산량 추정 (Stand Yield Table and Commercial Timber Volume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Plantations in Indonesia)

  • 손영모;김훈;이호영;김철민;김철상;김재원;주린원;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1호
    • /
    • pp.9-15
    • /
    • 2010
  •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칼리만탄 지역의 유칼립투스 및 아카시아 조림지에 대해 임분수확표를 조제하고 이를 토대로 이용가능한 목재생산량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임분수확표 조제를 위한 생장모델로는 직경급 모델인 Weibull 확률밀도함수를 적용하였으며, 지위별 임령별 임목생장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모수 추정, 복구, 예측의 단계를 거쳐 임분 생장식을 도출하였다. 각 단계별로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 최소 및 최대직경 등에 대한 생장식들이 도출되는데, 도출된 각각의 생장식들에 대해서 적합성지수를 산출한 결과, 유칼립투스 조림지의 경우에는 65~89%의 적합성을 보였으며, 아카시아 조림지의 경우에는 72~95%의 적합성을 보여 대체로 높은 적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두 수종의 임분수확표를 조제하였으며, 조제된 수확표를 이용하여 지위 '중' 인 10년생 임분의 수확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최고 연년 생장량에서 유칼립투스는 21.25 $m^3$/ha, 아카시아는 27.5 $m^3$/ha로 나타나, 아카시아 조림지의 연년 생장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가능한 목재생산량의 산출을 위해서, 벌채 된 임목의 재장을 2.7 m로 먼저 절동하고 남은 부분은 1.5 m로 절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한 결과, 유칼립투스 조림지의 경우에는 총 203.2 $m^3$/ha 중 68.0 $m^3$/ha(33%)가 이용가능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카시아 조림지의 경우에는 총 232.9 $m^3$/ha 중 96.7 $m^3$/ha(42%)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칼립투스와 아카시아의 생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업적 조림이나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해외조림을 시행하거나 준비 중에 있는 사업자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rface-Applied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II. Alfalfa, Orchardgrass, Tall Fescue and Alfalfa-Orchardgrass

  • Min, D.H.;Vough, L.R.;Chekol, T.;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66-771
    • /
    • 1999
  • The first paper of this series compared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s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nd alfalfa (Medicago sativa L.)-grass mixtures managed as a 4-cutting system.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orchardgrass,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d alfalfa-orchardgrass mixture managed as a 5-cutting system. The results presented here are part of a larger study having a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alfalfa, various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for utilizing nutrients from dairy slurry applied to established stand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s consisted of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ub-plots were the forage species. Manure used for the study was composed from stored solids scraped from the alleyways of a free-stall dairy barn. Water was added to from a slurry having about 8 % solids. Slurry was pumped from the liquid spreader tank into 10.4 L garden watering cans for manual application to the plots. Herbage yields of alfalfa, tall fescue, and alfalfa-orchardgrass were generally not affected by slurry application rates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Tall fescue significantly outyielded all other forage species at all manure and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in the second year when rainfall during the growing season was unusually high. Grasses generally had a greater response to manure applications than alfalfa and alfalfa-orchardgrass. Increasing rates of manure did not increase herbage yields of alfalfa and alfalfa-orchardgrass. Herbage yields within each species were not affected by frequency of application of the same total rate. Stand ratings of alfalfa, orcah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very high manure application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ple annual applications of slurry manure can be made onto these species at rates up to $1,700kg\;total\;N\;ha^{-1}\;yr^{-1}$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