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 structure diversit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Lorenz곡선(曲線)에 근거(根據)한 임분구조지수추정(林分構造指數推定) (Estimating the Stand Structure Index Based on Lorenz Curve)

  • 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58-16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임분구조의 다양성 또는 동질성을 계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인접목과의 직경비율에 의해 임분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Gadow의 직경차이율을 소개하였고, 직경급별 본수비율과 단면적 또는 재적비율에 의해 형성되는 Lorenz곡선형태로 부터 임분구조의 다양성지수를 유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Lorenz곡선원리에 의한 횡적 임분구조지수는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마찬가지로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임분구조가 다양할수록 1에 접근하는 특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Lorenz곡선원리에 의한 횡적 임분구조지수를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형적 임분구조지수는 Gadow의 직경차이율과 비슷하게 임분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리왕산 일대 천연 활엽수림의 산림작업별 시업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 평가 (Assessment of Stand Diversity Change by Different Silvicultural Treatment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Mt. Gariwang)

  • 성주한;이영근;박고은;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13-621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작업방법별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여 산림생태계 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작업방법별로 $30m{\times}30m$(0.09 ha) 크기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임분다양성 지수인 집락도, 흉고직경 변이지수, 수고 변이지수, 그리고 혼효지수와 관련된 2개씩의 지수, 총 8가지 지수를 추정한 후, 3가지 작업방법에 대한 시업 전과 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업 전후의 임분다양성 변화에 대한 통계검정을 위해 Duncan의 다중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임분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작업방법에 관계없이 시업을 통해 임분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업 전과시업 후의 임분다양성 지수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여 각 작업방법별 임분의 공간 구조는 시업을 통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조다양성 표현인자 연구를 통한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 (자연림) 구조 조사 (A Study on the Stand Structure of Korean Fir Natural Forest in Naesorak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tand Structure Diversity Features)

  • 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45-352
    • /
    • 2011
  •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 임분구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종다양성 추정에 사용되는 Shannon-Weaver-Index를 응용한 Herles의 구조표현인자 다양성 계산 방법을 도입하여 12개의 임분을 조사하였다. 임분 구조 변화는 당연히 phase의 변화에 종속되지만 개개인자들 간의 연관에서 자연림의 특성이 재확인되었다. 우선 내설악 전나무 자연림의 구조는 표현인자 다양성의 결과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자 간의 상관에서 종다양성은 구조 변화 관련 전체 인자 (다양성)와 미약한 관계만 보이며,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한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는 개체수였으며, 개체수가 증가할수록 임분구조 전체의 다양성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인다. 입목축적이나 고사목 축적은 대부분 조사구에서 천연갱신고도와 연관을 보이며 다른 인자와는 별다른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구조표현인자 서로서로의 연관은 천연갱신고도와 관련하여 울폐도나 수관면적, 형태 등과 연관을 보였으며 수고나 흉고직경은 타 인자들과 별다른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내설악 전나무림 구조변화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좀 더 많은 조사구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 Structure of Natural Forest, Timber-harvested Forest and Degraded Forest in the Bago Yoma Region of Myanmar

  • Oo, Thaung Naing;Lee, Don K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72-579
    • /
    • 2007
  • Tree species diversity is an important aspect of forest ecosystem stability. Tree species inventories at defined sites and in minimum diameter classes give a reliable indicator of the diversity level as well as the structural stability level of a study sit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stand structure of the natural forest, timber-harvested forest (logged-over forest) and degraded forest of the Oak-twin Township in the Bago Yoma Region of Myanmar. Natural forest showed the highest family and species richness in all the investigated forests. At the family level, Verbenaceae occupie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index (IVI) in all the forest stands while teak (Tectona grandis Linn. f.) occupied the highest IVI at the species level. However, the small diameter classes of T. grandis and other commercial species were less than those of big diameter classes in all the investigated forests. This abnormal pattern of diameter distribution could be a problem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commercial timber species in the near future.

식생구조에 따른 솔잎흑파리개체군 동태에 관한연구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by Diversity of Vegetation Structure)

  • Ri, Chong 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33-44
    • /
    • 1983
  • Vegetati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cis of pine needle gall midge were investigated from 1980 to 1982 at the southern part of Palgong mountain near Daegu.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t the areas of A (pure stand), B(30% mixed forest) adn C(60% mixed forest) were as follow; Vegeation of 3 areas were not classified by the species diversity, but by the unequal distribution of Alnus hirsuta, Robinia pseudo-acacia, Lespedeza cyrtobotrya, Quercus variabilis and vitality of Pinus densiflora at the area C was low, due to shadow by broad-leaf trees. Soil environmental factors at 3 areas not characteristic, but the average of humus contents showed high significance and the order was A

  • PDF

강원지역 백두대간 산림의 보호기간에 따른 임분 발달 양상 검토 (A Review of Forest Development Patten by the Length of Protection Period in Gangwondo Baekdudaegan Mountains)

  • 정상훈;황광모;임선미;김지홍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133-144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the pattern of forest stand development for six Gangwondo Baekdudaegan Mountains which experienced different type and duration of intensive legal protection. Vegetation data from point sampling method were employed to classify community types by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importance values of canopy tree species for the study areas. The names of classified communities were given by the composition of dominant tree species. The communities were also compared one another in terms of stand structure by species diversity index. The results indicated that National Parks (Seoraksan and Odaesan) had greater proportion of mixed mesophytic forest type which was supposed to progress further forest succession process so as to hav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stand structure. On the other hand, ordinary forest areas (Seokbyeongsan and Deokhangsan) had greater proportion of the forest types which was dominatively composed of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The forest types with large amount of these two species would tend to develop for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of 40-50 years after artificial disturbances. Hyangnobong of Natural Protection Area and Hambaeksan of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rea showed intermediate stand development pattern in between National Parks and ordinary forest areas. The period of intensive legal protection of the forest a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ecies diversity index (R=0.736), and noted that the forest which received intensive protection regulation for longer period tended to show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stand structure.

울릉도 나리분지 주변 산림의 임분구조 및 동태 (Stand Structure and Dynamics in Forests around Nari Basin of Ulleung Island, Korea)

  • 정재민;황선미;김유미;신재권;김명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35
    • /
    • 2010
  • 울릉도의 성인봉을 중심으로 나리분지와 주변 산림에 대한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생태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나리분지 내 산림과 외륜의 동, 서, 북사면의 산림에 대하여 군락생태학적 방법으로 임분 구조 및 종 조성 특성을 조사 분석 하였다. 조사 대상 산림 내 임분의 층위 별 중요치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나리분지 외륜산림 방위 및 고저 별 대부분의 임분에서는 너도밤나무와 고로쇠나무가 대체로 우점하는 경향이었으며, 임분간 식물 종의 조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나리분지내의 산림에서는 너도밤나무림, 두메오리나무림,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의 다양한 임분이 형성되어 있었고, 임분에 따라 종 조성도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임분의 성숙도와 안정도 등 간접적인 군락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 다양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임분의 각 층위에서 모두 나리분지 내 산림이 외륜의 산림에 비해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으며, 나리분지 내 산림에서는 소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이 너도밤나무와 두메오리나무림에 비해 각 층위에서 대체로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다. 또한 산림의 방위 및 고저 별 임분에 대한 유사성을 추정하기 위해서 S$\O$rensen의 유사도계수(Cs)를 비교 분석한 결과 동, 서 북사면과 나리분지 내 산림간 유사도 지수는 0.68~0.69의 범위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고, 능선부와 산복부, 산록부, 평탄지간 유사도 지수는 0.85~0.95의 범위로서 거의 동일한 임분형을 보였으며, 나리분지 내 네 임분 간 유사도 지수도 0.66~0.88의 범위로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나리분지 외륜의 능선부와 산복부, 산록부, 평탄지에 대한 산림의 천이의 진행에 따라 임분구조 및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 구성종의 직경급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다소의 형태적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정규분포형에 가까운 종형(Bell-shape)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들 산림 내 임분은 대체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성인봉을 포함한 나리분지와 외륜 산림의 임분들은 지형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구조와 종조성에 있어서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임분의 단순화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어, 산림 내 생물 종 및 생태계 다양성에 대한 보전과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지리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 임분 구조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bies koreana Stand Structure of Mt. Jirisan and Mt. Hallasan)

  • 송주현;한상학;이상훈;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90-600
    • /
    • 2021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실시한 국가 장기 생태 연구를 위하여 구축된 지리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림 1 ha(100 m×100 m)씩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 수간건강상태, 수관 계층구조, 중요치, 종다양도, DCA 분석을 통해 지리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림 임분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흉고직경급별 개체수 비교에서는 20 cm 미만에서는 한라산 구상나무의 개체수가 많았고 20 cm 이상에서는 지리산 구상나무의 개체수가 더 많이 나타났다. 구상나무 수간건강상태에서 곧게 서서 생육하는 개체(AS)의 비율이 지리산(72%)이 한라산(60.7) 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기울어 생육하는 개체(AL)의 비율은 한라산(10.2%)이 지리산(1.1%)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수관 계층구조를 살펴보면 지리산은 4개의 층위가 고르게 발달하고 각 층위의 구분이 명확히 구분되는 성숙한 임분의 형태를 보였지만 한라산은 10 m 미만의 아교목층을 제외한 3개의 층위로 발달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한라산 구상나무의 중요치(39.4)가 지리산 구상나무의 중요치(26.6)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종다양도는 지리산 구상나무림 종다양도(2.52)가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종다양도(1.58) 보다 높게 나타났다. DCA 분석 결과 지리산과 한라산의 지소별 평균 거리가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었고 지리산이 조사지간 종조성의 퍼져 있는 정도가 한라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cological Attributes by Forest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Mt. Odae

  • Choi, Yeong Hwa;Kim, Ji Hong;Chung, Sang 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66-7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forest types which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Mt. Odae on the basis of the vegetation data (232 sampling points) from the point-quarter sampling methods. For the classified types, the species composition was expressed by importance value to describe the stand structure and the species diversity was quantified using the Shannon's diversity index. Recognized forest types were 1)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Betula ermanii forest type, 2) Mixed mesophytic forest type, 3) Q. mongolica forest type, 4) B. ermanii forest typ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total and overstory were highest in the Mixed mesophytic forest type (3.465 and 2.942), and lowest in the B. ermanii forest type (0.118 and 0.832). In addition to that, Q. mongolica-P. densiflora-B. ermanii forest type was calculated as 3.226 and 2.565, and Q. mongolica forest type was calculated as 2.776 and 1.218 in total and overstory, respectively. It was considered that after the P. densiflora and B. ermanii first invaded and site condition became good, Q. mongolica-P. densiflora-B. ermanii forest type was dominated by Q. mongolica. Mixed mesophytic forest type showed the most stable stand structure with various species distributed uniformly. Q. mongolica forest type would preserve the present stand status for a while, and the B. ermanii in B. ermanii forest type would be pressed by other species over time.

거제 학동 동백나무림 주변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haracteristics around Camellia japonica Stand in Hakdong, Geoje Island)

  • 정재민;정혜란;강진택;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1-40
    • /
    • 2010
  • 본 연구는 거제도 학동 동백나무림 보전과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에 있다. 현장조사는 동백나무림, 혼효림, 편백조림지, 해송림에서 이루어졌다. 교목층은 동백나무림과 혼효림에서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으며, 편백조림지는 편백, 해송림은 해송의 중요치가 가장 높았다. 아교목층의 경우 동백나무림은 동백나무, 혼효림은 좀작살나무, 편백조림지는 참식나무, 해송림은 때죽나무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동백나무림 0.121~1.589, 혼효림 0.543~1.540, 편백조림지 0.276~1.321, 해송림 0.764~1.523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 pH는 동백나무림 5.72. 혼효림 5.26, 편백조림지 5.21, 해송림 5.32로 분석되었으며,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동백나무림 5.77, 0.48%, 혼효림 4.41, 0.30%, 편백조림지 3.28, 0.33%, 그리고 해송림이 5.32, 0.28%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