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4초

외골격 보행보조로봇 개발을 위한 정상인의 계단보행특성 분석 (Analysis of stair walking characteristics for the development of exoskeletal walking assist robot)

  • 조현석;장윤희;류제청;문무성;김창부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5-22
    • /
    • 2012
  • 외골격 보행보조로봇은 로봇 시스템을 인체에 직접 착용하는 형태이므로 기구적인 측면에서는 인체 근골격 구조에 최적화된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제어적인 측면에서는 근골격계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로봇의 부적합한 거동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외골격 보행보조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행이나 근골격계의 거동특성에 대한 이해 및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로봇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구동장치의 관절력과 동력 용량을 예측하였으며 몇 가지 보행동작에 대한.관절거동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하였다. 평지보행을 제외한 나타나는 주요한 동작으로는 계단오르고 내리기, 안기, 서기, 경사면 걷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사면 걷기를 제외한 모든 동작에 대한 동작 실험을 수행하고 분석하였다.

  • PDF

성남시 갈마치 지역의 동물이동통로 복원을 위한 생태특성 분석 및 복원목표종의 선정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of Target Species for Restoration of Wildlife Corridor at Galmachi of Sungnam City)

  • 전승훈;이상돈;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13-2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lect target species for effective restoration plans of wildlife corridors at Galmachi of Sungnam City. The actual vegetation in study area was physiognomically mixe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s dominated by oaks and artificially planted species. And it is a secondary forest formatted by sprout originated stand and being on early succession stage as a young stand. So study site was regarded as not suitable for the habitats for wildlife. The number of mammal species at study site was total 22 species, but most of these species were found as not so many in individual numbers. The individual number of hare was approximately 4 to 8, while the raccoon dog and water deer with 2 to 3 and 1 to 2, respectively. As such, it was estimated as a low population density due to discontinuation of ecosystem and the man-made impacts. In this study, raccoon dog and water deer were selected as the target species because of their migration patterns and ecological value in local ecosystem.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wildlife corridors of an over-bridge type at the peak area of Galmachi, known to be the mostly-used migratory route for 2 target species.

참나무 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Oak Wilt Infected Forest, Korea)

  • 엄태원;천정화;김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0-232
    • /
    • 2009
  •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 특성 파악을 통한 피해해석을 목적으로,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7개도 18개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Group A), 아울러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에 의한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된 경기도와 강원도 내 5개 고정조사지에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Group B). 그 결과 전국 18개 지역(Group A) 가운데 17개 지역에서 참나무속(Quercus spp.) 수종들의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한 5개 고정조사지(Group B)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천공률(Relative Density of Entrance Holes)과 조사지 내 참나무속 수종들의 상대밀도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R^2=0.89$, p<0.05)가 인정되어, 임분구조상 참나무속 수종의 우점도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강-티타늄 이종소재의 폭발 용접조건 해석 (On the Explosive Welding Characteristics of Steel-Titanium Dissimilar Material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청군;김명구;심상한;문정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3호
    • /
    • pp.825-831
    • /
    • 1996
  • 폭약의 폭발시 발생되는 초고압 충격 에너지를 이용한 강-티타늄 이종재질의 폭발접합 특성을 한요소기법에 의하여 실험적인 방법으로는 해석하기 어려운 미시적 관점의 접합조건을 해석하였다. 서로 다른 이종재질간의 접합에서 HI-DYNA2D 유한요소 코드를 이용한 계산결과에 의하면 충돌부근에서의 압력크기는 기존에 수행하였던 Oberg등의 수치적 해석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다. 한편, 폭약이 정상적인 폭발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폭약이 30mm이상의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며 50mm이상의 폭약두께는 폭접소재의 접합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즉, 폭약을 적게 사용하면 접합에너지가 부족하여 접합이 약하고, 폭약이 과도하게 많게되면 폭약의 손실이 많이 되므로 폭발용접 설계시 이들의 양을 미리 명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한 평행한 상태에서 강-티타늄 이중소재를 접합할 경우의 이격거리는 3-5mm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접합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폭발용접의 접합특성 해석과 이에 강-티타늄 이종재질의 접합 설계조건을 실험적인 방법으로 구하지 않고, HI-DYNA2D 코드를 활용한 반복작업을 통하여 접합조건의 설계데이터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형폭약에 의한 폭발절단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losive Jet-cutting Technology by Linear Shape Charges)

  • 이병일;박근순;공창식;김광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4호
    • /
    • pp.516-525
    • /
    • 2000
  • 최근, 도시 재개발과 산업설비 개·보수에 따른 노후화된 콘크리트 및 철근구조물에 대하여 환경 공해가 발생하지 않는 해체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근 구조물의 폭발절단 해체를 위한 성형폭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폭발절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대상 구조물의 재질 및 형상, 두께와 강도 특성, 성형폭약의 형상, 폭약의 종류, 장약량, liner의 종류, stand-off distance, 성형폭약의 폭 및 너비, 기폭방법에 따른 영향과 폭발 절단시 발생되는 폭풍압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영향 등을 검토함으로 폭발절단 최적조건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폭발절단기술은 강교, 공장, 폐선박 등의 해체에도 적용될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Biomass and Carbon Stock in Sal (Shorea robusta Gaertn.) Forests under Two Management Regimes in Tripura, Northeast India

  • Banik, Biplab;Deb, Dipankar;Deb, Sourabh;Datta, B.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09-223
    • /
    • 2018
  • We investigated tree composition, stand characteristics, biomass allocation pattern and carbon storage variability in Sal forests (Shorea robusta Garten.) under two forest management regimes (Sal forest and Sal plantation) in Tripura, Northeast India. The results revealed higher species richness (29 species), stand density of $1060.00{\pm}11.12stems\;ha^{-1}$ and diversity index ($1.90{\pm}0.08$) in Sal forest. and lower species richness (4 species), stand density of $ 230.00{\pm}37.22stems\;ha^{-1}$ and diversity index ($0.38{\pm}0.15$) in Sal plantation. The total basal cover $33.02{\pm}4.87m^2ha^{-1}$) and dominance ($0.76{\pm}0.08$) were found higher in Sal plantation than the Sal forest ($22.53{\pm}0.38m^2ha^{-1}$ and $0.23{\pm}0.02$ respectively). The total vegetation carbon density was recorded higher in Sal plantation ($219.68{\pm}19.65Mg\;ha^{-1}$) than the Sal forest ($167.64{\pm}16.73Mg\;ha^{-1}$). The carbon density estimates acquir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Sal plantation in Tripura has the potentiality to store a large amount of atmospheric carbon inspite of a very low species diversity. However, Sal forests has also an impending sink of carbon due to presence of large number of young trees.

자연림 군집형 분류에 의한 교란의 정도와 임분 발달 사이의 관련성 검토 (The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isturbance Intensity and Stand Development by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 김지홍;황광모;김세미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219-225
    • /
    • 2013
  • The correlation between disturbance intensity and stand development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in areas of Baekhaksan (more disturbed area) and Hwangaksan (less disturbed area).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by point-centered quarter sampling method, and they were subjected to cluster analysis for classifying community types and to analysis of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for review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the method of cluster analysis, natural forests of Baekhaksan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forest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and Q. mongolica community. Those of Hwangaksan were divided into P. densiflor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forest community, and Mixed mesophytic community. It is presumed that more developed and less disturbed forest area shows multiple species community pattern and more diversified structure than less developed and more disturbed forest area. In Korean peninsula, the abundance of red pine may play an important indicator to estimate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forest after artificial disturbance. The overall evaluation indicated that less disturbed Hwangaksan area had more developed stand pattern with mixed mesophytic community, more complicated species composition, and higher species diversity than Baekhaksan area.

계통 연계형 단상 인버터의 단독 운전 모드를 위한 정지좌표계 전압 제어기 (Stationary Reference Frame Voltage Controller for Single Phase Grid Connected Inverter for Stand Alone Mode)

  • 홍창표;김학원;조관열;임병국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17-525
    • /
    • 2015
  • A grid connected inverter must be operated as the main electricity source under an isolated condition caused by the grid problem. Conventionally, the dual loop controller is used for the grid inverter, and the controller is used for control under the stand-alone mode. Generally, the PI(Proportional - Integral) controller is highly efficient under a synchronous reference frame, and stable control can be available. However, in this synchronous frame-based control, high-quality DSP is required because many sinusoidal calculations are necessary. When the PI control is conducted under a stationary frame, the controller constructions are made simple so that they work even with a low-price micro controller. However,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 controller, it should be designed with the phase of reference voltage considered. Otherwise, the phase delay of the output voltage can occur. Although the current controller also has a higher bandwidth than the voltage controller, distortion of the voltage is difficult to avoid only by the rapid response of the PI controller, as a sudden load change can occur in the nonlinear load. In this study, a new control method that solves the voltage controller bandwidth problem and rapidly copes with it even in the nonlinear load situation is propos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v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남부지역 삼나무의 임분 특성에 따른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ryptomeria japonica by the Differences of Stand Characteristic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홍남의;원경록;유병오;정수영;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20-326
    • /
    • 2015
  • 목재의 역학적 특성은 생육지의 토양조건과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삼나무에 대하여 경남, 전남, 제주 세 지역 간, 그리고 해당 임분의 생육특성에 따른 목재의 역학적 특성차이를 각각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별 표준지의 삼나무 임분 특성과 목재의 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휨강도, 종압축강도, 전단강도는 수고 및 입목본수/ha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흉고직경, 표고 및 토양배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위치한 삼나무는 해당임지의 임분 특성과 역학적 특성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고품질 목재생산을 위한 적절한 시업체계와 육림방법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신갈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신구택;전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00-107
    • /
    • 2022
  •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중요한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 대한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출현임목의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신갈나무가 50% 이상 우점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갈나무림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총 1,421개소이다.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신갈나무림은 해발 800 m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평균 35%)을 보이고 있어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을 보면, 해발 600 m 이하에서는 주로 북사면에서, 그 이상부터는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미사질양토(34%), 양토(33%), 사양토(26%)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보통이었다. 신갈나무림에서 신갈나무 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는 신갈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졸참나무는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당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소경급으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조릿대,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