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yield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초

저장에 따른 대두의 이화학적 변화와 발아 특성 조사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eed for Storage)

  • 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32
    • /
    • 1993
  • '89, '90, '91년산 장엽대두를 냉장보관하면서 저장에 따른 그 품질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당함량과 Phytate 함량은 수확시기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질소용해도 계수(NSI)는 98.42%에서 89.92%로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amylogram viscosity 특성은 '89년과 '90년산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91년산은 더 높은 최고점도와 break-down을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수율은 '89년산이 334.8%로 가장 낮았고 발아율도 57.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Seed Size and Weight in Soybean

  • Kim, Hong-Sik;Lee, Suk-Ha;Park, Keum-Yong;Lee, Ye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27-231
    • /
    • 2000
  • Small seed size is one of the major traits of soybean cultivars for sprouts with regard to high sprout yiel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for seed size and weight in a set of F 6 seeds of 89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developed for sprouts and 'Jinpumkong 2', a soybean cultivar with no beany taste in seed due to the lack of lipoxygenases. The genetic map of 25 linkage groups with a total of 98 markers including RFLP, RAPD, SSR and classical markers was constructed from this F/sbu 5/-derived population and was used for QTL analysis. 'Pureunkong' was significantly smaller (P<0.01) than 'Jinpumkong 2'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Genetic variation was detected and transgressive segregation was common in the population for these traits. Seven DNA markers including opT14-1600 in LG A2, opF02-400 in LG B2, Satt100, opC09-700, opG04-730 and opQll-650 in LG C2, and opY07-1100 & 1000 in LG(unknow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and accounted for 4.7 to 10.9% and 5.1 to 10.1 % of the phenotypic variation in seed size and seed weight, respectively. 'Pureunkong' alleles increased seed size and seed weight at the all four significant marker loci on the LG C2. These marker loci in LG C2 were closely linked and were presumed to be a single QTL. Overall, at least three independent QTLs from 3 linkage groups (A2, B2, and C2) were putatively involved in the control of seed size and seed weight.

  • PDF

고품질 다수성 녹두 신품종 "소현" (A New High Quality and Yield Mungbean Cultivar "Sohyeon")

  • 김동관;이야성;정병준;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정봉;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07-511
    • /
    • 2008
  • 녹두 신품종 소현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수원28호와 KM94004를 인공교배하여 2006년에 육성되었다. 소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천립중은 42 g이고, 녹두나물 수량은 표준품종인 어울보다 9% 많다. 소현은 vitexin과 isovitexin을 각각 12.0, 12.4 mg/g 함유하여 표준품종보다 각각 38, 31% 많다.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 수량은 1.62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많다.

조기 재배시 감자의 비닐 피복 재배 연구 (Study on Vinyl Coating Cultivation of Potatoe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최관수;정건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64
    • /
    • 2017
  • 중부지역에서 감자와 콩의 안전다수확 작부체계를 위해서는 전작물인 봄감자의 조기 파종과 초기생육을 위한 적정 토양 온도의 확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험은 비닐 피복의 종류별 지온상승효과와 이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봄감자 초기생육기간인 파종부터 덧 필름 제거 시까지 처리구별 평균지온은 무피복구(NM) $13.8^{\circ}C$에 비하여 투명필름+덧 필름 > 투명필름 > 흑색필름+덧 필름 > 흑색필름 순으로 각각 $20.3^{\circ}C$ > $18.5^{\circ}C$ > $16.1^{\circ}C$ > $14.5^{\circ}C$ 높았다. 일중 시간대별 온도변화를 보면, 기온이 낮은 오후 6~9시부터 익일 오전 11~12시까지는 BF의 지온이 NM보다 낮았던 반면, 기온이 높은 오전 10~12시부터 오후 6~9시까지는 NM의 지온이 BF의 지온보다 높았다. 감자 싹의 지상부 출현은 TF+ATF > TF > BF+ATF > BF 순으로 각각 15일 > 18일 > 20일 > 22일 빨랐으며, TF+ATF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NM) 24일에 비하여 무려9일 이나 빨리 감자 싹이 출현되었다. 수확 10일 전 처리구간 감자 지하부 건물중 차이는 TF > TF+ATF > BF+ATF > BF > NM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는 처리구별 지온상승효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감자 수량은 대조구인 NM 처리의 $2,805kg\;10a^{-1}$ 비하여 TF에서 41%, TF+ATF 처리는 37% 및 BF+ATF 처리는 2% 증수되었고, BF 처리는 유사하였다. 본 실험은 비닐피복으로 지온을 높여 생육을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목표가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봄감자 안전다수확 재배를 위해서는 생육초기 지온상승과 생육촉진효과가 높고 조기파종과 출현을 촉진하여 보다 긴 생육기간을 확보 할 수 있는 투명필름 피복이 효과적이고, 덧 필름 피복은 기상조건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을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감자(Solanum tuberosum L.) 봄재배 시 작휴와 멀칭이 생육, 수량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dging System and Mulch Types on Growth, Yield, and Profit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Spring Cropping)

  • 임주성;조지홍;조광수;장동칠;진용익;유홍섭;이종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2-210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ridging systems and plastic film mulch types on growth, yield, and profitability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in spring cropping using paddy field and to suggest profitable ridging system and plastic mulch type.METHODS AND RESULTS: Two potato cultivars ('Goun', and 'Atlantic') were grown at paddy field located in Gangneung in spring. For treatments, ridging systems were one-row ridge (OR) and two-row ridge (TR). Mulch types were no-mulch (NM), black plastic film mulch (BPM), and transparent plastic film mulch (TPM). Emergence of sprout was affected by the mulch types and the fastest level was shown at TPM treatment. Accumulative soil temperature during sprouting was 16.2℃ higher at TR than at OR and also higher at TPM than at BPM or NM. Stem length was not affected by ridging systems or mulch types. Leaf area index (LAI) was influenced by mulch types, while not by ridging systems. The highest LAI was shown at TR with TPM and OR of B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r dry matter rate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Tuber yiel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idging systems and mulch types. Mean tuber weight was heavier at OR treatment than at TR and also the heaviest at TPM among mulch types. The highest marketable yield was found at OR with BPM. Based on marketable tuber yield and market price, the highest income ratio in two cultivars was found at OR with BPM and it was 20~82% higher than the ratio at TR with TPM.CONCLUSION: In spring potato cropping using paddy field, OR with BPM is better for high yield and is more profitable for farmer's income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TR with TPM.

인삼생육의 최적광량에 관한 연구 (제3보) 광도가 다른 조건하에서의 송면의 피복이 인삼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t Punux ginseng. (III) Effect of mulching on the growth of ginseng plant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 이종철;천성기;김요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54-161
    • /
    • 1982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lching with the hulls of rice on the growth of the ginseng plant and changes of its growing environment-soil moisture content. subterranccan temperature and soil hardness-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such as 5%, 10%, 20%, and 30% light transmittance rate(LT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oil moisture content under the shading was de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whereas it was increased about 1.5% in each plot of LTR by the mulching. 2. Suberranccan temperature under the shading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It was decreased on a hot day by the mulching but increased on a cold day. 3. Soil hardness was decreased by the mulching. 4. Sprouting date of the ginseng plants was acclerated for 7 days and sprout periods were shortened for f days by mulching compared to the non-mulching treatment. 5. Missing plant rate was increased severely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more Than 20% LTR In the non-mulching plots but did not severe in the mulching plots. Missing plant rate was decreased remarkably by the mulching. The degree of decrease was larger as the increase 6f light intensity. 6. Root yield was increased in the mulching plots compared to the non$.$mulching plots. The degree of increase was larger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20% LTR with mulching.

  • PDF

다협 다수성 녹두 신품종 "다현" (A New Mungbean Cultivar, "Dahyeon" with Many Pod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최진경;이야성;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6-39
    • /
    • 2009
  • 녹두 신품종 "다현"은 전남11호와 AV-1-3-34-2를 작물과 학원에서 인공교배하고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현"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백축색은 녹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개체당협수는 21.0개로 표준품종인 "어울녹두"보다 4.0개 많고, 경장은 57 cm, 천립중은 48 g, 나물수율은 표준품종보다 5% 많다. "다현"의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고 평균 수량은 1.90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17% 많다.

녹자색배축 다수성 녹두 신품종 "다선" (A New Mungbean Cultivar, "Daseon" with Greenish Purple Hypocotyl and High Yielding)

  • 김동관;이야성;정병준;손동모;문중경;오영진;김경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6-460
    • /
    • 2008
  • 녹두 신품종 '다선'은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KM9003-2B-783과 금성녹두를 인공교배하여 2006년에 육성되었다. 다선의 생육습성은 직립, 잎 모양은 심장형, 배축색은 녹자색, 성숙기에 꼬투리는 검고 곧으며, 종피는 광택이 없는 녹색이다. 천립중은 52 g이고, 녹두나물 수율은 630%이고, 나물 생체에 안토시아닌(delphinidin-3-glucoside)이 $1.7{\mu}g/g$ 함유되었다. 다선의 경장은 표준품종인 어울보다 2 cm 작고, 바이러스, 갈색무늬병, 흰가루병 및 도복에 대한 포장저항성은 강하며 평균 수량은 1.76 ton/ha으로 표준품종보다 21% 많다.

Changes i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Buckwheat Seeds with Germination Time

  • Bong, Ho;Go, Boram;Yoon, Seon-A;Ham, Young-Min;Yang, Woo-Sam;Jung, Yong-Hwan;Oh, Dae-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7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on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 tataricum buckwheat seeds depending on their germination time. In a previous study, we reported significant changes in sprout yield and phytochemical content in ethanol extracts from F. esculentum and F. tataricum seeds with increase in germination tim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 tataricum increased with increasing germination time, whereas that of F. esculentum decreased. Next, we investigate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these species by estimation of melanin content and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in ${\alpha}-MSH$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B16F10 cells by extracts from these seeds were analyzed. Among the two, F. tataricum extracts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elanin production. In addition, when B16F10 cells were incubated with L-DOPA for detection of in situ tyrosinase activity, F. tataricum and F. esculentum extracts were observed to reduce melanin production in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from buckwheat seeds could influence cellular processes via modulation of tyrosinase activity. Hence, buckwheat seeds could be utilized as whitening agents in the cosmetic industries and as therapeutics for hyperpigmentation disorders in a clinical setting.

  • PDF

추작감자의 최아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duction of Sprouting of Dormant Seed Potato in Fall Crop Production)

  • 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7-124
    • /
    • 1976
  • 우리나라 감자 춘하작물재배의 주장려품종이고 휴면기간이 긴 남작(Irish Cobbler)을 추작할때 효과적인 최아처리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관령산종서를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실험농장에시 춘작 증식하여 추작용종서로 사용하고, 1974 및 '75의 양년도에 걸쳐서 농대구내수음하 설치한 최아상(그림 1)에서 구당 60편의 3반복 난괴법으론 최아시험을 실시하고, 실험농장 포장에서 구당 1.8$m^2$(15주)의 3반복 난괴법으로 포장재배시험을 실시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시험기간(1975년)중의 기상개요는 그림 2와 같았다. 1. 최아처리법과 발아(부표 1~7, 그림 3~5) (a) GA(Gibberellin)처리는 발아가 빨라서 7~8일 에 발아하여 최아소요일수가 약 10일이며, 발아가 균일하고, 부패가 적어 건전발아개체비율도 높으나, 편당발아본수가 3~4본으르 많고, 싹이 세장하며 발근이 없었다. (b) Ethrel처리는 발아가 훨씬 GA보다 늦어서 대체로 최아소요일수가 20~25일이며, 발아의 균일성과 부패및 건전발아개체비율에서 GA보다 고간 못하나, 편당발아본수가 1~2본으로 적고 싹이 단태건실하며 발근이 극히 양호하였다. (c) GA와 Ethrel의 혼합처리는 GA처리보다 1~2일 발아가 늦으나 싹은 비교적 건실하며, 그밖의 발아상은 GA처리와 거의 같았다. (d)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Ethrel처리와 거의 같은 발아상을 보이나 발아에 23~26일이 소요되고, 최아중의 부패도 많았다. (e) 6-Benzyladenine처리는 Ethrel처리처럼 싹이 단태건실하고 편당발아본수도 1~2본으로 적으며, 발근도 보이나 발아에 22~28일이 소요되고. 발아가 균일하지 못하며, 절단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부패가 심해질 우려가 컸다. (f) 약제별 최적처리법은 다음과 같이 보였다. GA처리 : 절단서면 1~2ppm, 전형서면 2~5ppm에 60분처리. Ethrel처리 : 절단서면 500ppm, 전형서면 1000~2000ppm에 60분처리. GA와 Ethrel의 혼합처리 : 절단서면 GA 1~2ppm+Ethrel 250~500ppm, 전형서면 GA 5ppm+Ethrel 250~500ppm, 60분처리. 2. 처리법과 부패 (a) 18~24시간의 GA처리는 거의 완전한 부패를 초래하였다(표 2) (b)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심한 부패를 유발하고(표 2), 6-Benzyladenine처리도 많은 부패를 유발하는(부표 7) 경향이 보였다. (c) 처리중에 교반하여 표피가 갈리게 한것은 전량 부패하였다(부표 1) (d) 종서에 칼로 3-4곳에 자상을 내서 GA처리를 한 것은 발아조장의 효과가 없고, 부패를 조장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 3. 상토와 발아(부표 1) (a) 최아상의 상토로써 부식질세토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사상의 경우보다 부패가 없고 발아도 양호 하였다. (b) 사상의 경우에는 세사보다 조사가 양호하였다. 4. 처리시기와 발아 (a) 7월 15일처리에 비하여 8월 24일처리의 경우에 Ethrel의 전형서처리에서는 발아가 4일 빨랐으나, Ethrel 절단서처리 및 GA처리에서는 발아가 거의 빨라지지 않았다(그림 9) (b) 처리시기가 늦어져서 휴면이 경과될수록 발아와 발근이 조장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8) (c) 최아기간이 매우 고온건조하였던 경우(8월 14일처리)에는 심한 부패를 보였다(그림 10) 5. 처리법 및 정식기와 수량 (a) 정식기를 같게 할 경우의 수량은 Ethrel>GAㆍEthrel 혼합>GA 처리의 순위로서 정식당시의 싹의 건실도 및 발근상태와 깊은 관련이 있어보였다. Ethylene Chlorohydrin처리는 포장결주가 많아서 수량이 적었다(그림 11) (b) 처리기를 같게 하여 정식기가 GA보다 Ethrel 처리가 15일 늦어 질 경우에는 Ethrel이 GA처리보다 감수경향을 보였다(부표 10) (c) 어느 처리에서나 정식기가 빠를수록 증수되는 경향이 보였다(부표 10) (d) GA처리 조식의 경우에는 고간 도장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기타처리 및 GA처리라도 만식의 경우에는 도장이 보이지 않았다(그림 1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