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ing-seeding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2초

파종량 및 질소시비수준이 봄 연맥의 생육특성 , 사료가치 및 사초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gronomic Charicteristics , Nutritive Value and Forage Yield of Spring Oat)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6
    • /
    • 1992
  • 본 시험은 봄 연맥(Avena sativa L.)에 대한 파종량및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사초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987년 9월부터 11월 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솔은 파종량이 ha당 120,160 및 200kg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93.4, 71.4 및 70.6%로 낮아졌다(P<0.01) 2. 분벽솔 발생은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여 유의적인 감소가인정되어(P<0.05), ha당 파종량 120kg, 질소시비수준 200kg인 구가 3.3개로 가장많았던 반면 파종량이 200dkg으로 높아지면 2.1개로 낮아졌다.3. 엽폭은 파종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엽폭은 감소하였으며 (P<0.05), 엽신장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해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파종량이 낮을수록 엽신장은 약간 증가되는 경향만을 나타내었다. 4. 초장은 질소시비수준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파종량의 증가에 대하서는 유의성을 나타내어(P<0.05), 파종량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깅어졌다.5.파종량이 낮고 질소시비량이높은 시험구가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질소시비효과가 커서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200kg으로 높아짐에 따라 19.3,20.2,및 21.4%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아졌다. ADF와 NDF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만 MDF함량에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상호작용만이 인정되었다. In vitro 건물소화솔은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만을 나타냈다.6. 파종량이 120,160, 및 200kg/ha로 증가되면 건물수량도 ha당 3,197,3.583 및 3.713kg로 증가되었으나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건물수량 증가는 그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7. 조단백질수량은질소시비수준 증가에 의해서만 고도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어(P<0.01), 질소시비수준이 ha당 100,150,및 200kg일때 증가되었다.8. In virto 가상화건물수량은 파종량이나 질소시비량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예리용을 위한 봄 연맥의 파종량은 연맥의 가을철 청예로서의 이용적 측면을 고려해 볼 때 ha 200kg 정도로 높여주고 질소시비수준은 ha당 100kg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 PDF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V. 추파 유채 ( Brassica napus L. ) 의 파종시기가 월동중 저장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Partitioning of Carbon and Nitrogen Reserves During Winter Adaptation and Spring Regrowth IV.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content of organic reserves on the wintering period and forage yeild in rape ( Brassica napus L. ))

  • 김태환;김기원;정우진;전해열;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ussicu napus L.) was sown at 10 day> interval from Sep. I to Nov. 1. Field-grown palnts were sampled on the before wintering (Dec. 4) and on the wintering period (Jan. 16) to analyze the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hohydrate reserves. The rate of winter survival and regrowth yield were also measured in the spring of next year. On the before wintering, the dry matter yields from the plots sown on Sep. 1, Sep.11 and Sep. 21 were 860, 596 and 260 kg/lOa, respectively. No. harvest was canied out on the plots sown after Oct. 1 because the growth state was not enough to cut. Both of nitrogen and starch contents per 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later. On the wintering period, the contents of nitrogen reserves in roots were 176.8. 120.1, 71.7, 84.0, 72.1, 45.3 and 33.3 mg/plant, those of starch reserves were 199.0. 55.8, 21.8, 92.6, 86.5, 36.4 and 29.0 mglplant, resepctively, in the plots sown on Sep. 1, Sep. 11, Sep. 21, Oct. I, Oct. 11, Oct. 21 and Nov. 1. The rates of winter survival were 40, 36, 33, 85, 87, 59 and 49% and regrowth yields were 161, 86, 65, 520, 451, 121 and 33 kgD.M/lOa, respectively, in each plots. 'I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seeding date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level of organic reserves and forage yield, and that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utilization on the before and alter wintering is extremely limited by seeding date.

  • PDF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Changes of Green Manure and Nitrogen Yield of Hairy Vetch According to Seeding Date in Autumn)

  • 서종호;이호진;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00-404
    • /
    • 2000
  • 헤어리베치의 추계 파종시기별 이듬해 4월 하순의 녹비량 및 녹비질소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1996년 및 1997전 파종기 9월 10일, 10월 1일 및 10월 20일에 각각 파종량 10, 20, 30 및 40kg/ha의 처리를 두어 이듬해 1997년 및 1998년의 5월 1일에 각각 수확하였고, 둘째 1999년의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파종하고 이듬해 4월 22일, 4월 27일, 5월 2일의 3회에 걸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7년 및 1998년 5월 1일 수확시 헤어리베치의 질소함량은 4% 내외, 2000년 수확시는 3.5% 내외를 나타내었는데 파종이 빠를수록 수확시 질소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헤어리베치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녹비의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2년 모두 파종량 30 kg/ha와 40 kg/ha간에 차이가 없어 적정 파종량은 30 kg/ha로 생각되었다. 적정 파종량에서 녹비건물중 이 9월 10일 파종은 5.5-7 ton/ha, 10월 1일 파종은 4-4.5ton/ha, 順월 20일 파종은 1.3-2.2 ton/ha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파종기 10월 이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녹비의 질소량은 녹비건물중과 거의 비례하였는데 지상부에 포함된 질소량(파종량 30-40 kg/ha)은 9월 10, 10월 1일 및 10월 20일 파종이 각각 220-280, 160-180, 60-100 kg/ha로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2000년의 4월 하순 수확에서는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7-8, 6-7, 4-5 및 2-3 ton/ha의 녹비건물중을 나타내어 파종이 8월 하순이 9월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녹비질소량 역시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집약초지의 조성기술 (Agronomic Practces on Intensive Pasture Establishment)

  • 김동암;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5
    • /
    • 1981
  • In reviewing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agronomic practices on intensive pasture establishm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 (1) The seedbed preparation should be involved physical manipulation of the soil tilth and consolidation of the soil by harrows and heavy roller. (2) In terms of methods of sowing, drilling favours the first and broadcasting the second however, the apparent superiority of band sowing over the above conventional methods is to reduce the direct toxic chemical effects from fertilizers to germinating seeds. (3) The most satisfactory seeding depth for grasses and legumes is commonly agreed to be approximately 1.3cm and seeding depth greater than 2.5cm seems to be generally detrimental. (4) Autumn and spring are most common sowing periods for grasses and legumes, however, early autumn being the most generally favoured, particularly in areas not subject to severe winter kill. (5) Select nurse crop species or cultivars which make Bess demands on light, nutrients and water, and lower seed rates should be used. (6) Seeding mixtures should be simple rather than complex and aggressive species should be included to a minor extent.

  • PDF

유채 봄 재배 시 기계이식과 직파 재배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비교 (Effects of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during Spring Cultivation)

  • 이지은;김광수;안다희;차영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419-427
    • /
    • 2021
  • 유채 봄 재배를 위한 육묘 후 기계이식 재배와 종자 직파 재배시기에 따른 생육량, 종실 수량, 그리고 종자 품질 등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식 유채와 직파 유채의 개화기 차이는 파종 시기가 늦어질수록 더 커졌으며, 2020년 2월 말 파종 방법별 개화기 차이는 12일이었으나, 4월 초 파종 시 23일이었다. 또한, 유채 개화소요 일수는 이식 및 직파 시기가 늦어질수록 짧아졌다. 2. 유채의 결실기 생육 조사 결과, 초장은 기계이식 재배에서 평균 101.6 cm로 유의성이 없으나, 직파 재배의 경우 파종 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여 유의성을 보였다. 종자 결실 비율 또한 4월 상순 기계이식 재배에서 83.6%, 3월 하순, 4월 상순 직파 유채 각각 80.4, 74.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종자 수량은 2월 직파한 유채에서 275.5 kg/10a로 가장 높았으며, 4월 초 직파한 유채에서 34.6 kg/10a로 가장 낮았다. 또한, 2월 말 직파 유채에 비하여 4월 초 직파 유채의 수량은 87.4% 감소하였으며, 같은 시기 이식 유채는 31.8% 감소하여 감소폭이 적었다. 4. 유채 종자의 품질과 관련된 조지방 함량은 기계이식 재배에서는 4월 상순 이식 시 27.8%로 다른 이식 시기에 비하여 15%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3 이식시기 간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직파 재배는 2월 하순에서 4월 상순까지 직파 시기가 늦어질수록 파종시기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이식 유채에서는 이식 시기와 결실 비율, 수량, 올레산 함량, 조지방 함량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파 재배 또한 직파 시기와 초장, 꼬투리 생육, 결실비율, 수량, 종자 품질 간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6. 이러한 이식 및 직파 시기에 따른 유채 생육의 변화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파종 시기가 늦어질수록 직파에서 받는 생육 감소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본 결과는 논 안전 재배를 위한 유채 이식 및 직파 재배의 한계 파종일 및 이식일을 설정할 수 있는 자료로써, 재배법 확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grain quality according to sowing times in spring sowing wheat

  • Kim, Young-Jin;Na, Sang-Il;Kim, Kyeong-Hoon;Kim, Kyeong-Min;Shin, Dong-Jin;Cha, Jin-Kyung;Lee, Choon-Ki;Ko, Jong-M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615-622
    • /
    • 2018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optimum sowing time for spring sowing wheat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Jokyoung and Keumkangmil were sown four times at one-week intervals starting from Feb. 14, 2013. The thousand grain weights of the two wheat varieties were the highest on February 14 with the seed weights ranging from 36.6 to 40 g and significantly decreasing as the seeding time was delayed. The unmatured grain percentage increased sharply when both cultivars were sown starting on March 7. The grain yields were the highest for Keumkangmil with 3.07 MT/ha when sowed on February 21 and 3.37 MT/ha for Jokyoung when sowed on February 14. In both cultivars, the grain yield decreased drastically when they were sown on March 7. Ash content did increase when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 flour gluten index was the highest at 96.2 in Keumkangmil with a February 28 sowing, and the sodium dodecyl sulphate (SDS) segmentation was the lowest ranging from 63.8 to 65.3 mL with the February 28 sowing. The falling number tended to increase with the delay of the sowing period. The flour milling rate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delay of sowing, and the bran gradually decreased. When both cultivars were sown after February 28, the grain and flour yields sharply decreased. In the southern region, the optimum time for the spring sowing of wheat is from February 14 to February 21.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논 춘파재배시 시비수준, 분시비율, 파종방법이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Levels, Split Application Rate, and Seeding Methods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in Early Spring on Paddy Field)

  • 김영진;정종성;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3-308
    • /
    • 2016
  • 본 연구는 중남부지역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춘파재배시 시비수준, 파종방법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를 통해 최적 춘파재배법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비수준간 건물수량을 살펴보면 $N-P_2O_5-K_2O$ = 140-120-120+규산질비료(Silicate fertilizer) 200 kg/ha 처리에서 8,330 kg/ha으로 가장 높았으며, 160-140-140 kg/ha 처리에서도 7,686 kg/ha으로서 표준시비량 (140-120-120 kg/ha) 처리(7,347 kg/ha)에서 보다 높았다.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함량은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규산질 비료를 추가한 처리에서 11.62%로 가장 높았으나 건물률은 17.6%로 가장 낮았다. 춘파시 표준시비량을 기비로 전량시용 (100:0) 했을 때의 건물수량은 7,347 kg/ha으로서 기비:추비 (50:50)로 시용했을 때의 7,405 kg/ha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표준시비량을 전량 기비로 주고 3~4엽기에 요소 100 kg/ha를 추가 시용했을 때는 표준시비량만을 기비시용 했을 때에 비해 건물수량이 9,469 kg/ha으로 29%나 증가하였다. 파종방법별 건물수량은 조파(8,176 kg/ha) > 로터리-산파-답압 (7,947 kg/ha) > 로터리-산파 (7,810 kg/ha) > 산파 (7,347 kg/ha) > 산파-로터리 (7,034 kg/ha) 순으로 많았으며, TDN 함량은 산파(61.72%)와 로터리-산파(61.67%) 처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고 산파-로터리(59.57%)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로터리 작업을 수행한 처리에서 높았으며 산파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에 의한 잡초성벼 방제 (Weedy Rice Control by No-tillage Direct Seeding on Flooded Paddy Field)

  • 정남진;윤영환;김정곤;강양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5-198
    • /
    • 2000
  •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잡초성벼의 발생양상과 비선택성 및 토양처리제를 이용한 잡초성벼 방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무경운에 의해 토양표면에서 월동한 잡초성벼의 생존율은 92.7%였고 재배벼는 4.3%였다. 2.토양내의 잡초성벼 발생심도는 건답에서 6.8cm, 무논에서 3.0cm, 그리고 무경운답에서 1.5cm로, 무경운답의 잡초성벼 발생은 건답과 무논에 비하여 토양 표층부위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3. 4월 하순의 우리나라 중부지역 평균기온인 13$^{\circ}C$에서 잡초성벼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는 14-15일이었다. 4. 무경운상태에서 포장 표면위에 떨어져 있는 잡초성벼의 발아를 유도한 후 비선택성 제초제인 paraquat 처리한 결과 92.2%의 잡초성벼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토양처리제 중 가장 높은 출아억제를 보인 제초제는 oxadiazon으로 53.3%의 방제 효과가 있었다. 5. Paraquat과 oxadiazon의 체계처리에 의해 96.4%의 잡초성벼를 방제할 수 있었다.

  • PDF

호밀품종의 조만성과 연맥-호밀의 파종량이 혼파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Yield and Quality of Forage Mixture as Affected by Maturity of Rye Cultivar and Oat-Rye Seeding Rate)

  • 고한종;박형수;김수곤;김동암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239-250
    • /
    • 2002
  • 본 시험은 사초용 연맥(Avena sativa L.)과 호밀(Secale cereale L.)의 혼파시 호밀 품종의 숙기 및 혼파량이 사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9년 8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실험목장 사초시험 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호밀 품종의 숙기가 다른 조생 품종인 ‘Koolgrazer'와 만생품종인 'Kodiak'을 주구로 하고 혼파량(T1: 연맥 200kg/ha + 호밀 0kg/ha, T2: 연맥 150kg/ha + 호밀 40kg/ha, T3: 연맥 100kg/ha + 호밀 80kg/ha, T4: 연맥 50kg/ha + 호밀 120kg/ha 및 T5: 연맥 0kg/ha + 호밀 160kg/ha)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다. 연맥 호밀 혼파조합에서 가을 수확시 호밀 품종의 숙기는 사초의 조단백질 함량에 영향이 없었으나 호밀의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13.6%에서 19.3%로 높아졌다(P$<$0.05). 그러나 봄 수확시 만생품종이 15.1%로 10.1%인 조생품종에 비해 높았다(P$<$0.01). 사초의 ADF 함량은 가을 수확시는 호밀 품종의 영향이 없었으나 호밀의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27.8%에서 20.7%로 감소했다(P$<$0.01). 봄 수확시 만생품종이 28.0%로 조생품종의 35.8%보다 낮았다(P$<$0.01). 또한 NDF 함량과 in vitro 건물소화율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최고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ha당 조생종 호밀 품종 80kg과 100kg의 연맥을 혼파한 처리구에서 12,356kg/ha의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호밀 품종의 숙기와 혼파량간의 유의적인 교효작용효과가 인정되었다(P$<$0.01).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할 때 옥수수의 후작으로 연맥이나 호밀의 재배시 단파보다는 혼파를 하는 것이 건물수량의 증수, 사료품질의 향상에 바람직하며, 혼파량은 ha당 호밀 80kg과 연맥 100kg이 적절하다. 또한 호밀 품종의 숙기는 만생품종보다 조생품종이 사초의 건물수량 증가와 조기수확의 이점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