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ayed amount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초

고려인삼에 대한 제초제 2, 4-D의 반응연구 (Study on the Response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o the Herbicide 2,4-D Application)

  • Jo, Jae-S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91-296
    • /
    • 1990
  • Various rates of 2,4-D were sprayed on 2 and 3 year old ginseng plants as foliar spray to define the critical concentration. No apparent plant injury was noticable for those ginseng plants when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2,4-D doubled the recommended dosage (70 ml/10a). Neither abnormal foliar change occurred nor any inhibition in leaf and stem growth was resulted for the plants treated with 2,4-D concentrated two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When the rates of 2,4-D application were increased greater than this level, injury ratings increased linearly with the rates of 2,4-D application and plant you was inhibited. Ethylene gas was not produced from the ginseng plant treated with 2 times concentrated 2,4-D, however the ginseng plants produced 0.03 to 0.09 ppm ethylene gas when the rate of application were increased 3 and 4 tim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oybean treated with the recommended amount of 21-D produced ethylene gas of 10-20 times higher compared with ginseng plants and died. Photosynthesis ability of the ginseng lea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D foliar application but it was recovered 4 weeks after 2,4-D foliar treatment. The herbicide 2,4-D was applicated to 2,3 and 4 years old ginseng plants as foliar spray with the rates of 0.5, 1.0, 1.5 and 2.0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to define the effects of 2,4-D on the plant growth and root yield of the ginse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f and stem growth between untreated and 2,4-D treated plant. Berry maturing of 3 and 4 year old ginseng was not influenced by 2,4-D. The root weight of 4 years old ginseng plant was not reduced by application of 2,4-D concenrated 2 times of the recommended dosage, Application time of the herbicide 2,4-D had no effects on the leaf or stem growth of 2,3 and 4 year old year old ginseng plants. When the ginseng seedling was treated with 2,4-D, detrimental phenomena as stem bending and docoration of seedling leaf margin occurred, but stem bending was recovered in a few day s. Keywords Panax ginseng C.A. Meyer, 2,4-D , herbicide.

  • PDF

지베렐린 도포와 폴리아민 살포에 의한 배 품질과 저장성의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and storage by Gibberellin and Polyamine Treatment of Oriental Pear (Pyrus Pyriflia))

  • 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3
    • /
    • 2004
  • 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에 따른 과실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품종은 '황금배', '영산배', '추황배'로 하여 제베렐린을 만개 30일 후에 처리하고 폴리아민을 수확 7일 전에 과총 엽과 수관에 100, 200, 500ppm으로 엽면살포 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하여 과중은 모든 품종에서 $10\%$ 정도 커졌고 경도는 $0.3\~0.4kg/\phi5mm$만큼 낮아졌으나 당도와 식미는 차이가 없었다. 과경부의 형태적 특성은 지베렐린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수(髓, pith) 부분에서 내피세포까지의 거리와 내피에서 표피세포까지의 거리가평균 $42.0\%$신장되어 양 수분의 이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른 공급량이 많아져 과실의 무게가 비대해 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저장 30일 후 과실의 특성을 보면 '황금배'는 과총엽 살포의 스퍼미딘 200ppm이, 수관살포는 스퍼미딘 500ppm에서 과육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어 식미가 양호하였다. '영산배'와 '추황배'도 비슷한 경향으로 주당 살포량이 적은 과총엽 200ppm살포처리가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온실의 냉방부하 및 포그시스템의 증발효율 실험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Cooling Load and Evaporation Efficiency of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 남상운;서동욱;신현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7-152
    • /
    • 2015
  • 온실의 냉방부하 산정방법 개발을 위하여 열수지 방법에 기초한 냉방부하 산정식을 구성하고, 포그냉방 온실에서 냉방부하를 실측하여 검증하였다. 포그냉방 온실의 냉각열량은 포그분사에 의한 증발수량에 물의 증발잠열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수량은 포그 분사량에 증발효율을 곱하면 구할 수 있으며, 즉 분무수량을 계측하고 포그시스템의 증발효율을 알면 온실의 냉방부하를 실측할 수 있다. 따라서 온실의 냉방부하 실측을 위하여 실험온실에서 포그시스템의 증발효율을 실험하고, 실험온실의 열환경 계측과 더불어 포그 분사량을 계측하여 냉방부하 산정방법을 검토하였다. 먼저 냉방부하 산정식의 환기전열량을 검토하기 위하여 냉방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기량 실측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열수지식을 이용한 환기전열량 예측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증발효율은 0.3~0.94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0.67로 나타났고, 환기율이 증가함에 따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그냉방을 실시하면서 온실의 환경을 계측하여 열수지식으로 냉방부하를 계산하고, 분무량 실측치로부터 증발 냉각열량을 구하여 비교한 결과 냉방부하 계산치와 실측치는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방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실측치에 비하여 약간 크게 예측되었고, 냉방부하가 높은 경우에는 실측치보다 작게 예측되었다. 온실의 냉방시스템 설계 시에는 최대냉방부하를 이용하여 냉방설비의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냉방부하가 큰 쪽에서 실측치보다 작게 예측되는 부분은 검토가 필요하지만 설비용량 산정시의 안전계수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냉방부하 산정방법은 온실의 환경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살포 방법에 의한 살균제 Dithianon의 감귤 잎 부착량 비교 (Deposit Amounts of Dithianone on Citrus leaves by Different Spray Methods)

  • 전혜원;홍수명;현재욱;황록연;권혜영;김택겸;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6
  • 농약의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원하는 작물체의 부위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약 살포기술(application technology)은 노즐의 형태 및 종류와 같은 미세 조절이 가능한 기계적인 인자가 약효 발현과 작물 잔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의 더뎅이병에 사용되는 디티아논 액상수화제를 이용하여 감귤 과원에서 사용중인 약제 살포방식 차이에 따른 감귤 잎의 부착량 분포도를 조사하여 살포 방식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기계식 살포기를 대조구로 하고 노즐 및 살포 방식에 변화를 준 sprinkler 살포시스템 및 speed spray 분사 방법에 대한 감귤잎 부착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은 제주도에 위치한 감귤시험장 감귤과원에서 진행하였으며, 감귤잎의 높이 위치별 부착량, 전후면 부착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디티아논 43% 액상수화제 1,000배 희석 액을 살포한 후 filter paper와 나뭇잎을 상, 중, 하로 높이로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Speed spray 방식이 engine type spray 방식보다 부착량 및 부착균일성 우수하였고, 모든 살포방식이 잎 뒷면의 부착량을 증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감귤의 상부 위치의 부착량 평가에서는 마른안개 sprinkler 방식이 가장 우수하였다.

살포기 종류별 살포물량별 사과 중 농약 잔류량의 비교 (Comparison of Pesticide Residue Amounts in Apple Trees Applied by Different Sprayers and Spray Volumes)

  • 문성환;권혜영;홍수명;김상수;손경애;임치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4-270
    • /
    • 2016
  • 스피드스프레이어, 동력분무기, 배부식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사과원에서 fluquinconazole flusilazole 수화제를 동일한 물량으로 살포하고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살포기별 부착량을 비교하였으며 스피드스프레이어의 경우 살포물량을 고물량, 중물량, 저물량 처리를 두어 비교하였다. 살포기별 사과잎의 부착량은 두 농약 모두 스피드스프레이어의 부착량이 동력분무기와 배부식 동력분무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fluquinconazole: 스피드스프레이어 8.33 mg/kg, 동력분무기 4.56 mg/kg, 배부식 동력분무기 4.55 mg/kg; flusilazole: 스피드스프레이어 2.15 mg/kg, 동력 분무기 1.10 mg/kg, 배부식 동력분무기 1.12 mg/kg). 스피드스프레이어의 살포물량별 사과잎의 농약 부착량은 물량이 클수록 부착량이 많았으며 물량별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fluquinconazole: 고물량 10.76 mg/kg, 중물량 8.32 mg/kg, 저물량 6.04 mg/kg; flusilazole: 고물량 3.04 mg/kg, 중물량 2.14 mg/kg, 저물량 1.47 mg/kg). 이러한 결과는 농약의 살포기별 살포물량별 농약 부착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농약품목등록을 위한 시험의 기준 설정 및 자료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과수의 살포물량 설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캔터키블루그래스 잔디에서의 제초제와 비료의 단독과 혼용처리에 의한 잡초방제 (Weed Control by Herbicides and Fertilizers Applied Separately or Combined on Kentucky Bluegrass Lawn)

  • 다이엥리;컬크호와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9
    • /
    • 2007
  • 잔디밭 관리 시 제초제와 비료의 혼합 처리는 시간 절약 및 답압 감소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Weed & Feed는 제초제와 비료를 혼합 조제한 제품이다. 본 실험은 캔터키 블루그래스 잔디밭에서 비료 및 제초제를 단독으로 처리할 때와 Weed & Feed를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Weed & Feed 28-3-3에는 세 가지 제초제 - 2,4-D 0.64%, MCPP 0.31% 및 dicamba 0.03%가 혼합 조제된 약제이다. 첫 번째 처리는 5월에 실시하였고, 두 번째 처리는 6월 또는 9월에 실시하였다. 단독으로 사용한 제초제는 2,4-D(LV-4, 4EC), MCPP(4EC) 및 dicamba(Clarity, 4EC)로 Weed & Feed의 50% 및 100% 수준으로 적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우점 잡초는 민들레였으며, 제2 우점종은 2004년에는 엉컹키, 2005년에는 왕질경이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5월과 6월에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수용할 수 있는 잔디밭 품질 유지기간은 각각 112.3일과 83.7일 정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Weed & Feed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58.7일과 83.7일로 나타났다. Weed & Feed 효과는 사용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초방제 시 Weed & Feed에 비해 비료와 100% 수준의 제초제를 직접 처리하는 것은 Weed & Feed를 사용하는 그 이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 열손 결손에 대한 차폐막의 유도조직재생에 관한 연구 (Guided tissue regeneration using barrier membranes on the dehiscence defects adjacent to the dental implants)

  • 이동호;최상묵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301-32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new biodegradable membrane - atelocollagen as a guided tissue regeneration barrier on the dehiscence defects adjacent to the dental implants. 3 beagle dog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ll the mandibular premolars($P_1,P_2,P_3&P_4$) were extracted. Twelve weeks after the extraction, the edentulous ridges were formed to be placed the titanium plasma-sprayed IMZ implants. Four implant osteotomies were performed on each side of the mandible. The osteotomies were placed facially in the edentulous ridges to approximate an actual dehiscence defect as closely as possible, The standardized dehiscence defects were created 3 mm in width and 4 mm in height by osteotomy. A total 24 implants were placed. e-PTFE, ateloco11agen and $Collatape^{(R)}$ were placed to cover the defects and the one defect served as a control, not covered any membrane. By random selection, three dogs were sacrificed at 2 weeks, 4weeks and 8 weeks after fixation with 3% glutaraldehyde. A week before sacrificing, 8-week dog was infused intravenously with oxy-tetracycline 30mg/kg. The left mandibular blocks were used for full decalcified histologic preparation and the right mandibular blocks were selected for undeca1cified preparation, At 2 weeks, the regenerated bone of e-PTFE and atelocollagen groups appeared to be more dense than other groups and the percentage of bone defect fill was highest for e-PTFE and follwed by ateloco1lagen group. However, the $Collatape^{(R)}$ and control groups showed a little new bone formation. $Collatape^{(R)}$ was almost degraded within 2 weeks. At 4 weeks, the regenerated new bone were much greater and denser than at 2 weeks for e-PTFE and ateloco11agen group. Although a part of atelocollagen bagan to be degraded at the margin and surrounded by foreign body giant cells related to foreign body reaction, it was generally intact and the regenerated new bone was shown much more than at 2 weeks. The amount of new bone in $Collatape^{(R)}$ and control groups at 4 weeks were similar to that of 2 weeks group. At 8 weeks, the regenerated bone was matured and observed along the implant fixture. Direct new bone formation and calcium deposits beneath the e-PTFE were observed. No further bone growth was seen in the $Collatape^{(R)}$ and control groups. In reflected fluoromicrcocopic observation, the osteogenic activity was pronounced between e-PTFE membrane and the old bone. High osteogenic activity was also observed in atelocol1agen group.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teloco11agen as well as e-PTFE could be used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on dehiscence defects adjacent to the dental implants. But the $Collatape^{(R)}$ was completely resorbed within 2 weeks and was not a suitable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 PDF

Prohexadion-Calcium이 체리 '좌등금'의 신초생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Shoot Growth Inhibition by Prohexadion-Calcium in 'Sato Nishiki' Sweet Cherry)

  • 이세욱;남은영;윤석규;신용억;정재훈;강희경;윤익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7-391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체리 '좌등금' 품종에 항지베렐린계 생장억제제인 Prohexadione-Calacium과 Paclobutrazol을 이용하여 체리의 신초생장을 억제하여 효율적인 생산성을 높이고 과실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실수에 대한 Prohexadione-Calacium을 150, 200 및 $250mg{\cdot}L^{-1}$ 농도로 각각 정단부에 처리 후 신초의 생장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신초 생장이 억제 되었으며, 처리 간에는 $200mg{\cdot}L^{-1}$에서 억제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처리구 모두 엽록소 a와 b 함량이 증가되었거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과실의 특성(과실크기, 당도, 산함량 및 경도)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유목에 대한 Prohexadione-Calcium 수관살포(3회)와 Paclobutrazol 토양관주(1회) 처리한 후 신초 생장반응은 두 처리 모두 무처리에 비하여 높은 신초생장 억제를 보였고 약제간에는 Prohexadione-Calcium의 신초생장 억제효과가 더 높았으며 Paclobutrazol 토양관주 처리에서는 간주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rohexadione-Calcium과 Paclobutrazol 처리 모두 절간 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무처리에 비하여 엽면적이 억제 되었고, 엽록소 a 와 b의 함량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Prohexadione-Calcium 처리구에서 엽록소 함량이 더욱 높고 잎의 두께가 두꺼웠다.

선박용 소형 엔진에서 연료유 내 황 함유량이 운전 조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ulfur Content in Fuel Oil on the Emission of Air Pollutants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of Small Ship Engines)

  • 이경열;노범석;이원주;최재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34-84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엔진을 활용하여 E2, E3 사이클 시험 결과로부터 연료 내 황 함유량 변화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엔진은 360 PS의 엔진(Doosan L126TIH engine)을 활용하였고, 동력계로는 Horiba-Schenck사의 400급 동력계인 W400을 사용하였다. 엔진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 계측을 위해서는 오스트리아 AVL사의 FTIR과 SPC 장비를 배기라인 후단에 장착해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E2, E3 사이클 모두에서 연료 내 황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THC와 CO의 단위 출력 당 배출량은 감소하고 입자상물질은 증가하였다. 연료의 황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동점도가 증가되어 엔진의 연료소모율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엔진의 경우 연료 분사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동점도 증가에 따른 분무입자의 평균입경이 커짐에 따른 연소상태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어진다. 질소산화물의 경우 이번 연구에서는 황함유량의 변화에도 배출량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표면처리반응에 의한 용해속도조절용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제조 (Preparation of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with Controlled Solubility Rate by Surface Treatment Reaction)

  • 이무진;신영조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81-585
    • /
    • 1999
  • 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류의 일종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스(HPMC)에 40 wt % glyoxal 용액과 $KH_2PO_4$를 혼합, 용해시키고, HPMC의 표면에 분사, 반응시켜 알카리용액에서도 녹는 시간(용해속도)을 조절할 수 있는 표면처리된 HPMC를 제조하였고, 두 물질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나타나는 용해특성을 규명하였다. 순수한 HPMC류의 표면을 가교제인 glyoxal로 처리하면 중성의 용액에서는 분산을 일으키고, 용액을 알카리화 함으로써 즉시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나, 소량의 안산염을 동시에 첨가 반응시킨 미세분말상태의 HPMC는 용액의 액성에 관계없이 분산이 되고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급속히 용해되어 점성을 나타내게 되는 성질을 알 수 있었다. Glyoxal과 $KH_2PO_4$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용해지연시간이 길게 되었고, 반응은 $75{\sim}85^{\circ}C$에서 60분의 반응조건이 적당하였다. 특시 glyoxal과 $KH_2PO_4$처리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용액 상태로 반응시킴으로써 반응후 유기용매의 제거공정이 필요 없게 되었고, 또한 HPMC의 반응 치환도를 변화함으로써 수용액뿐 아니라 유기용제에서도 용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HPMC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