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t %26 recre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캐나다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고찰을 통한 국내 스포츠시스템의 통합모델과 운영방안 (Integration of the Korea Sport System: Feasibility of the Canadian LTAD framework)

  • 이은영;임희준;원도연;전용관;정재용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619-633
    • /
    • 2016
  • 지난 2015년 3월 27일 공포된 체육단체의 통합은 대한민국이 "스포츠강국"에서 "스포츠선진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국내 체육계의 노력의 결실이며, 스포츠계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체육단체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스포츠시스템과 프로그램 측면 토대의 마련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캐나다의 체육단체 통합과 스포츠시스템의 운영에 발판이 된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프레임워크를 비판적으로 살펴 본 후, 국내 활용도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통합모델의 제시와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우리나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연령·발육발달단계·스포츠 입문 시기 별 스포츠 참여의 틀을 제공한다. 이는 지난 10년 간 체육계의 쟁점이었던 학교체육·엘리트체육·생활체육의 연계는 물론 엘리트선수의 발굴과 육성, 그리고 평생체육으로의 연계까지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앞으로 실제에의 적용, 평가, 그리고 수정의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진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Influence of Body Weight Perception on Weight Management Behavior among Korean Female Adolescents

  • Lee, Dae Taek;Lee, Myung Chon;Kim, Jae Ho;Cho, Jung Ho;Cha, Kwang Suk;Chandler, Steve B.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241-246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weight perception on weight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diet and exercise in Korean female adolescents. Junior (J) and senior (S) high school girls were divided in two groups; those who had $\leq$100% (BI) and > 100% (AI) of ideal weight (J-BI, n=376, 14.8 yr, 46.1 kg; J-AI, 11=128, 15.0 yr, 57.4 kg; S-BI, n=325, 17.4 yr, 50.1 kg; and S-AI, n=133, 17.5 yr, 58.2 kg, mean values). Questionnaires to assess weight perception, desire to lose weight, body image, eating behavior, weight control strategies and physical activity (PPA) were administered J-AI(9.4 kg) and S-AI(9.8 kg) desired to lose weight more than J-BI(2.5 kg) and S-BI(3.6 kg), respectively (p < 0.001). 85% of J-AI and 93% of S-AI perceived their weight being above average and 23% of J-BI and 34% of S-BI responded similarly (p < 0.001). Body dissatisfaction index (BDI) and eating attitude (EAT26) scores were lower in J-BI(9.7, 12.0) vs. J-AI(16.4, 14.7) and S-BI(12.4, 12.4) vs. S-AI(19.5, 15.4) (p < 0.001). However, PPA was not different for J-BI vs. J-AI, and S-BI vs. S-AL Only 17, 18, 9, and 15% of J.BI, J.AI, S-BI, and S-AI, respectively, exercised regularly. PPA and BDI were only slightly correlated in J-BI(r=0.194, p < 0.005) and S-BI(r=0.220, p < 0.005). Even that the majority of Korean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they were heavy and desired to lose weight, appropriat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not practiced.

쇼트트랙 관련 스포츠 손상 예방프로그램이 엘리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비접촉성 손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iciency of Short Track-related Sports Injury Prevention Program on Non-contact Injury Incidence for Elite Short Track Speed Skaters)

  • 김은국;최호경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2호
    • /
    • pp.405-416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쇼트트랙 선수에서 다빈도로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에 대해 무릎과 발목관절 및 허리의 근력강화 운동과 신경근 훈련을 기반으로 한 스포츠 손상 예방프로그램 적용이 비접촉성 스포츠 손상의 발생률과 그 특징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G시청에 소속된 25명의 쇼트트랙 선수를 대상으로 2017년 1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스포츠 손상에 대한 정보 수집과 함께 스포츠 손상 예방프로그램을 매 훈련 및 시합 전 준비운동 단계에서 적용하였고, OSTRC 과사용 손상 설문지(overuse injury questionnaire)와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CAIT)를 사용하여 스포츠 손상의 증상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 손상 예방프로그램 적용 후의 손상 발생률은 훈련 및 시합 1,000시간 노출(1,000HEs)당 2.79건으로 적용 전(3.04건/1,000HEs)보다 감소하였고, 허리와 무릎관절의 증상 수준인 OSTRC 점수는 프로그램 적용 후(각각 30.89±28.34점과 23.84±23.61점)가 적용 전(각각 58.47±26.77점과 52.36±21.55점)보다 낮게 나타나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목관절의 증상 수준인 CAIT점수가 프로그램 적용 후(16.26±7.28점)가 적용 전(13.47±6.07점)보다 높게 나타나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쇼트트랙 선수들의 움직임과 특성에 적합하게 맞춤 설계된 스포츠 손상 예방프로그램이 쇼트트랙 선수들의 비접촉성 손상 발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 보행 시 하지 근 활동 양상과 관절의 안정성이 낙상에 미치는 영향 -후향성 연구- (Effects of Muscle Activation Pattern and Stability of the Lower Extremity's Joint on Falls in the Elderly Walking -Retrospective Approach-)

  • 류지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45-356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자와 비낙상자 간 보행 시 하지의 국부적 안정성과 근 활동 양상을 후향성 접근을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보행 시 낙상 경험이 있는 20명과 낙상 경험이 없는 20명이 선정되었다. 트레이드밀 보행 시 3차원 운동 캡쳐 시스템과 무선 근전도 장비를 이용해 운동학적 좌표와 근전도 신호를 수집했다. 운동좌표를 이용해 무릎과 발목 관절의 3차원 각 변위를 산출했으며, 이들의 국부적 안정성을 Lyapunov 지수를 통해 계산했다. 근 활성도는 근전도 신호를 이용해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과 비복근을 살펴봤으며, 또한 이들의 동시 수축 지수를 정량화했다. 연구 결과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의 국부적 불안정성은 비낙상자 집단이 낙상자 집단보다 컸으며(p<.05), 전경골근의 근활성도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적게 나타났다(p<.05). 또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는 낙상자 집단이 비낙상자 집단보다 컸다(p<.05). 그 밖에 낙상자 집단에서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동시 수축 지수와 발목 관절의 굴신 움직임에 대한 국부적 안정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따라서 보행 시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릎 관절의 내·외전 움직임에 관여하는 근들을 강화하고, 발목 관절의 굴신에 작용하는 비복근과 전경골근을 균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