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lled oil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유류누출 지역에서 유래한 토착세균, Pseudoalteromonas sp. HK-3 배양에서 생물계면활성제의 최적 생산 (Optimized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Indigenous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Originating from Oil-Spilled Areas)

  • 조수희;마채우;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57-61
    • /
    • 2011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indigenous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originating from oil-spilled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biosurfactant produ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biosurfactant production were evaluat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software. The effects of various supplemental carbon sources (e.g., glucose, dextrose, mannitol, citrate, acetate) on the maximal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test culture of Pseudoalteromonas sp. HK-3 was then evaluated. As a result, mannitol was found in this study to be the best supplemental carbon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 spot inoculation of crude cultural liquid containing the HK-3 cells generated the largest clear zone, whereas only small clear zones appeared around the spots inoculated with either supernatant only or cell pellets following centrifuga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K-3 test culture supplemented with 2% mannitol at an initial pH of 6 generated the maximal amount of biosurfactant within 72 h of incubation.

해상 유출 기름 제거 시 미생물을 이용한 제거 기술의 종류와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 분석

  • 장승룡
    • 한국석유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석유지질학회 1999년도 제6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68-84
    • /
    • 1999
  • 자연 미생물 분해 (Biodegradation)는 미생물들이 유출 기름 또는 기타 환경 오염물들을 분해시키는 자연 풍화 과정이며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미생물에 필요한 영양분 공급 또는 미생물들을 추가로 파종하는 것을 미생물 분해법 (Bioremediation)이라고 한다 현재 해상 기름 유출 사고 시 기계적 장비를 이용한 제거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제거 방법의 대안으로서 화학분산제 (Chemical Dispersants) 사용과 현장 소각 (In-situ Burning) 방법이 있다. 또 하나의 대안으로서 이 미생물 분해법이 지적되고 있으며 충분한 시간이 주어질 때 해안으로 유입되는 기름에 대하여 일부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유출 기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상 유출 기름 제거를 위한 미생물 분해법의 종류와 기술의 잠재력 그리고 적용 시 고려하여야 할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발생 가능한 피해를 최소화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정리하였다.

  • PDF

수차형 유회수기의 개발 (Development of Water Wheel Type Oil Skimmer)

  • 노준혁;박안진;강상훈;이영식;김종현;윤범상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8
    • /
    • 2000
  • The ocean is now increasingly suffering from pollution mainly caused by oil spill accidents roil increasing marine transportation. It cause not only the deterioration of ocean resources but also critical damage on the ocean ecosystem. Present study is an experimental o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oil skimmer which can collect spilled-oil actively and effectively from the sea surface. As an effort of achieving it, a new type of water wheel attached nil skimmer was devised, based upon the concept of orifice. The shapes of the water wheel, blades and oil storing tank a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on the oil skimming performance through systematic experimental analysis. Real oil recovery test was also carried out in square tank using the oil skimmer with their optimal shapes. Quite satisfactory result are obtained from the test which showed 99% and 98% recovery rates for light oil and heavy oil in still water condition, respectively.

  • PDF

고해상도 광학위성을 이용한 해상 유출유 면적 산출: 심포니호 기름유출 사고 사례 (Calculation Method of Oil Slick Area on Sea Surface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M/V Symphony Oil Spill Accident)

  • 김태호;신혜경;장소영;유정미;김평중;양찬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773-1784
    • /
    • 2021
  • 해상에서 발생하는 유출유 사고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 신속한 현황 정보 수집이 필수적이며, 인공위성은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탐지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최근에 활용 가능한 인공위성 수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사고발생 이후 준실시간 수준의 해상 유출유 현황 정보 생성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4월 27일 중국 칭다오항 앞바다에서 발생한 심포니호 기름 유출사고를 대상으로 다종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기름 유출 면적을 산출하였다. 특히, 2 m 공간해상도 정보 획득이 가능한 고해상도 상용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기름유출 면적 산출의 정확도 향상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4월 27일부터 5월 13일까지 Sentinel-1, Sentinel-2, LANDSAT-8, GEO-KOMPSAT-2B (GOCI-II) 및 Skysat 위성영상을 수집하였으며,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탐지 가능한 5장의 영상을 대상으로 유출유 탐지를 수행하였다. 유출된 기름은 사고발생 지점으로부터 남서-북동 방향으로 확산하면서, 외해에서 육지 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이동 경향은 Skysat 영상에서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사고 위치로부터 기름 입자의 이동예측을 수행한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고해상도 인공위성 영상 탐지결과 및 이동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5월 1일 Sentinel-1A 영상에서 사고지점 북쪽 해역의 패치는 유사 기름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오탐지를 제거한 결과 유출유 면적은 사고발생 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고해상도 광학위성의 사용이 유출유의 분포 면적을 더욱 정확하게 산출함을 보여주었으며, 해상유출유 대응 과정에서 효율적인 방제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struction of Oil-Spill Warning System based on Remote Sensing/Numerical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the 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and Restoration System

  • Goto, Shintaro;Kim, Sang-W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43-248
    • /
    • 1999
  • From the lessons after the Nakhodka oil-spill in Jan. 1997, oil slick detection by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assimilating the data to the simulation program is important for monitoring the oil-drift pattern. For this object, we are going to construct the oil-spill warning system for estimating the oil-drift pattern using remotesensing/numerical simulation Model. Additionally we plan to use this system for restorating oil-spill damage domestically, such as estimating the ecological damage and making the priority fur restorating the oil-spilled shoreline. This report is intended to summarize the role of geo-informatics in the oil spill accident by not only paying attention to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information management via the map, but also reporting the interim result in part based on the details discussed in the processes of recovery suppor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during the Nakhodka's accident.

  • PDF

벨트식 유회수기의 유회수율 데이터의 무차원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dimensional Analysis for the Recovery Rate of Oil Using a Belt Type Skimmer)

  • 윤경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39
    • /
    • 1999
  • Removal of spilled oil over the sea and the river has become one of the urgent problems in these days. Removing oil using mechanical devices by adhesion method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problem of estimating the thickness of film remaining on the surface of solid withdrawn from a quiescent liquid. In the present study a series of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analytic estimation for the thickness of film remaining on the solid surface using non-dimensional analysis. For the case of pure water both results show the remarkable agreement. However, discrepancy has been found for the case of Bunker C oil and diesel oil. The analytic estimation over-predicts the experimental value for the case of Bunker C oil and under-predicts it for the case of diesel oil.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real situation including a contact angle and the property difference between oil and water.

  • PDF

해상유출유의 분산모델링에 대한 응집효과 (The Effect of Coagulation for Dispersion Modelling of Spilled Oil)

  • 설동관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4-52
    • /
    • 2000
  • The dispersion of surface oil is generally described as a break-up of oil slick into small oil droplets. These small droplets are subjected to turbulence and vertical circulation so that it can be entrained into subsurface. Sometimes they tend to be submerged into sea bottom permanently. The diameter of oil droplets is a critical parameter to determin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under water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variations of droplet stability depends on the weathering of it. That is why the weathered oil has different mechanism from the unweathered one. The variability of physical properties of oil including viscosity and density contribute to interfere with effective separation of oil and emulsion droplets in water. Also in the presence of interactions among the droplets there are coalescing or coagulating effects on the dispersion process of droplets.

  • PDF

토양에 유출된 유류의 오염도 조사에 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Oil Spills in Soil; Oil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Soil)

  • 박규홍;박준범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1-39
    • /
    • 1997
  • Between 40,000 and 60,000 liters of light oil were spilled when an underground pipe broke at a newly constructed landfill site in coastal area, Korea. Methods were presented to examine the subsurface distribution of the contaminants in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As results, large quantities of oil and grease were found to have migrated horizontally at the site. Oil and grease plume at concentrations of 38-88 mg/kg was formed horizontally through silty sand with gravel fill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taminants was thought to be limited to groundwater level between 2 and 4 m corresponding to sea water level. Right after finding the leakage area, the early action of excavation and pumping out the mixture of groundwater and oil was taken and it was proved to be very effective for preventing further contamination. Two months after the leakage, oil and grease in sea water sample near contaminated area was not detectable.

  • PDF

海上 流出油 識別法에 關한 硏究 (Comparative Identification of Oil Spills by Gas Chromatography Fingerprinting)

  • 김영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3
    • /
    • 1986
  • 流出油는 GC分析에 의한 油指紋法(Oil Fingerprinting Method)으로 流出原因油와 比較分析하여 識別한다. 一般的으로는 GC에 의하여 飽和炭化水素, 黃化合物을 分離分析한다. 그러나, 기름의 成分은 複雜하고 流出된 상태에 따라 成分組成이 변하므로 어느 한 成分의 分析에 의한 識別보다는 여러성분에 대한 多角的인 分析에 의한 識別方法이 要求된다. 本 硏究에서는 原油, 重油中에 含有되 어 있는 多環芳香族 炭化水素를 分離分析하였다. 이들은 比較的 安定하기 때문에 時 化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GC에 의한 多環芳香族 炭化水素 分析은 産油地 判別 및 油種을 識別할 수 있는 油脂紋法의 한 方法이다.

  • PDF

미국 멕시코만 기름유출사고에서 본 유처리제 사용의 효용성 고찰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ersant Use during the "Deepwater Horizon" Incident -REVIEW of the Proceedings from 2011 International Oil Spill Conference-)

  • 조현진;하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65
    • /
    • 2012
  • 바다에 기름오염 사고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방제 방법 중 물리적 회수 방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유처리제는 최후 수단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 유처리제는 수중으로 기름이 신속히 분산되도록 하여 해수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이다. 해수면으로부터 신속히 기름을 제거하는데 대한 유처리제의 효용성은 널리 증명되어 왔으나 아직도 대부분의 국가들은 해양환경에 미치는 독성을 우려하여 적극적인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보고된 자료에 의하면 유처리제와 혼합된 기름이 기름 그 자체보다 독성이 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멕시코만 기름유출 사고시 미국 정부와 BP사는 최대한 해안에 기름이 도달하지 않는데 중점을 두고 해수면뿐만 아니라 수중의 기름에 대해서도 유처리제를 사용하였다. 유처리제에 대한 순환경편익을 분석하면 유처리제를 사용함으로써 기름이 생태계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며 장기간 노출을 예방하고 야생동물에 심각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멕시코만 유류오염 사고와 같은 대규모 해양오염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우리 실정에서도 과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유처리제 사용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