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der fauna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논둑 태우기가 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vee-burning on the Surroundings of Rice Paddies)

  • 이영인;김길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5-352
    • /
    • 2003
  • 논둑 불태우기의 당위성을 찾기 위하여 1995년부터 1997까지 2년동안 안동 지방 2개 지역 농가 포장에서 논둑을 태운 뒤의 잡초상, 곤충상 및 거미상과 아울러 다각적인 환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및 기존자료들을 종합하여 볼 때 잡초상, 곤충상 및 도열병발생 등에는 별 영향이 없고 거미상 및 논둑 보존 등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며 더욱이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등 뚜렷한 득은 없고 확실한 손실만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논둑 불태우기를 절대 금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건의한다.

진주(晉州)와 남해지역(南海地域)의 논거미상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pider Fauna in the Paddy Fields of Chinju and Namhae Areas)

  • 송유한;이영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8-110
    • /
    • 1994
  • 논 주변에 서식하는 거미의 종류, 우점종, 월동상태, 증식상황, 이동상황, 년중 밀도변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종합적 해충방제체계에 있어서 논거미의 보호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경남 진주와 남해에서 1987년 12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논주변을 논둑, 보리밭, 휴한답, 본답 등으로 나누어 월 2${\sim}$4회 채집하고 종류와, 각 발육태별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거미는 총 10과 31속 34종이 채집되며, 논둑에서 34종, 보리밭에서 16종, 휴한답에서 17종, 본답에서 18종으로 나타나 논둑에서 종 구성이 다양하였다. 2. 진주와 남해의 각 채집장소별 논둑과 보리밭에서는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 L. Koch), 휴한답에서는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 et S.)), 본답에서는 턱거미(Pachygnatha clercki Sunduvall)로 나타났다. 3. 논 주변 거미의 서식장소, 월동태, 거미줄 유무등 생태학적 특성과 과(科)(Family) 또는 속(屬)(Genera) 수준의 분류학적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9개의 거미군(Group)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1 - 부이표늑대거미류(Pirata spp.); Group 2 - 턱거미류(Pachygnatha clercki); Group 3 - 소형정주성거미류(Theridiidae, Erigonidae, Linypiidae); Group 4 - 갈거미류(Tetragnatha spp.); Group 5 - 황닷거미류(Dolomedes surfureus); Group 6 - 긴마디늑대거미류(Pardosa spp.). Group 7 - 깡충거미류(Salticidae); Group 8 - 게거미류(Thomisidae); Group 9 - 염낭거미류(Clubionidae); 4. 9개 거미군 중 1-5군은 호습성 거미류로서 본 답기에 벼해충의 중요한 천적으로 여겨지며, 6-9군은 건조한 곳을 선호하는 거미류로서 논둑에서 월동중인 애멸구와 끝동매미충의 천적으로서 역할이 클 것으로 인식되었다.

  • PDF

코뿔애접시거미속 (거미목: 접시거미과)의 3 한국미기록종 (Three Species of the Genus Walckenaeria (Araneae: Linyphiidae) New to Korea)

  • 서보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01-108
    • /
    • 2013
  • 코뿔애접시거미속 (Walckenaeria)의 3종, 내장애접시거미 (Walckenaeria chikunii), 북방애접시거미 (Walckenaeria furcillata), 계곡애접시거미 (Walckenaeria ichifusaensis), 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북방애접시거미 (W. furcillata)는 구북구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나, 내장애접시거미 (W. chikunii)와 계곡애접시거미 (W. ichifusaensis)는 일본내의 모식산지에서만 알려져 있다. 사진과 진단형질의 그림을 첨부하였다.

Tmarus yaginumai Ono, 1977 (Araneae: Thomisidae) new to record for Korean spider fauna

  • Lee, Sue Yeon;Yoo, Jung Sun;Kim, Seung T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spc호
    • /
    • pp.51-53
    • /
    • 2017
  • There are five known species of the genus Tmarus (Thomisidae) in Korea to date: Tmarus horvathi Kulczyn'ski, 1895, Tmarus koreanus Paik, 1973, Tmarus orientalis Schenkel, 1963, Tmarus piger (Walckenaer, 1802) and Tmarus rimosus Paik, 1973. Two females of Tmarus yaginumai Ono, 1977, which was previously only known in Japan, were collected by sweep net between the shrubs at hillocks near the coast of Korea and are described with taxonomic illustrations.

한국산 미기록종 황갈새매거미(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와 무당귀털거미(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 (거미강: 거미목)의 기재 (Description of 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 and 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 (Arachnida: Araneae) New to Korean Spider Fauna)

  • 이수연;유정선;이준호;정종국;김승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1-54
    • /
    • 2015
  • 황갈새매거미(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와 무당귀털거미(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재 한다.

韓國産 깔때기거미屬 (가게거미 科)의 分類學的 硏究 (korean Spiders of Genus Coras (Araneae, Agelenidae))

  • Paik, Kap-Y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8
    • /
    • 1971
  • 깔때기거미屬(Coras)은 1898年에 E. Simon이 創設한 이래, 北美洲에서 約 15種, 極東地域에서 다음 3種이 記載되었다. 卽 C. insidiosus(L. Koch, 1877) 日本 C. luctuosus(L. Koch, 1877) 日本 $\\cdot$ 中國(\ulcorner) C.plancyi(Simon, 1880) 日本 $\\cdot$ 中國 本屬은 Coelotes 屬과 매우 닮아서, 그 사이에 뚜렷한 區分을 지우기란 困難하며, 따라서 種의 所屬에도 적지않은 混亂을 招來하고 있다. 本屬은 종래에는 Ageleidae의 Ageleninae에 所屬시켜 왔으나 最近에 Lehtinen(1967)은 이것을 F.O. Pickard-Cambridge(1893)가 設定한 Coelotinae로 옮겼는데 이것은 매우 타당한 處事라 하겠다. 韓國産 Coras 屬에 對해서는 白(1942, 1962, 1967), 白 $\\cdot$ 金(1956) 및 南宮(1964) 等이 日本과 共通種인 Coras insidiosus를 報告한바 있다. 그러나 이번 調査에서 이것은 Coelotes songminjae Paik et Yaginuma, 1969의 synonym으로 밝혀졌으므로 우리 나라의 spider fauna에서 除外하기로 했다. 한편 筆者 所藏의 標本을 整理한 結果 새로히 1韓國未記錄種 과 1新種을 얻었기에 이에 記載하는 바이다. 韓國未記錄種 Coras luctuosus (L. Koch, 1877) 왜깔때기거미 新種 Coras vulgaris n. sp. 한국깔때기거미

  • PDF

한국산 어리개미거미속 (거미목, 깡충거미과)의 재기재 (A Revision of the Genus Synagelides Strand, 1906(Araneae, Salticidae) in Korea)

  • Kim, Byung-Woo;Kim, Joo-Pi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183-190
    • /
    • 2000
  • 한국산 어리개미거미속의 2종, 어리개미거미 (Synagelides agoriformis)와 월정어리개미거미 (S. zhilcovae)을 정확한 그림과 검색표와 더불어 재기재하였으며 이중 월정어리개미거미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이들은 생식구, 생식관 그리고 수정낭의 위치와 모양에 의해 쉽게 동정할 수 있다.

  • PDF

Two New Records of Sac Spiders including a New Species (Araneae: Clubionidae) from Korea

  • Jang, Chang Moon;Bae, Yang Seop;Yoo, Jung Sun;Lee, Sue Yeon;Kim, Seung T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4호
    • /
    • pp.330-334
    • /
    • 2021
  • The genus Clubiona Latreille, 1804 is the most diverse and largest one in the family Clubionidae Wagner, 1887. Twenty-nine species of the genus have been described in various ecosystems from Korea to date. Clubiona semicircularis Tang, Song and Zhu, 2005 which was formerly only known in China and Clubiona ansa n. sp. were collected with a sweep net on the foliage of the shrubs in mixed forests from mountains and agricultural landscape during a seasonal survey of the spider fauna in Korea. This study describes these two species with a diagnosis, measurements, and morphological illustrations. In addition, the female of C. semicircularis is described with a diagnosis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resent study.

Two newly recorded wolf spiders with one new species(Araneae, Lycosidae) from Korea

  • Kim, Seung-Tae;Yoo, Jung S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283-287
    • /
    • 2019
  • Pardosa pseudolaevitarsis n. sp. and Hygrolycosa umidicola Tanaka, 1978 belonging to Lycosidae are described from Korea. To date, fourteen species in the genus Pardosa C. L. Koch, 1847 have been described from Korea. H. umidicola belongs to Hygrolycosa Dahl, 1908 was once described from Korea, but the previous description of this species could not provide adequate scientific evidence for adding H. umidicola to the Korean spider fauna. Pardosa pseudolaevitarsis n. sp. is similar to P. laevitarsis Tanaka & Suwa, 1986 in the shape of its epigyne and palp, but can be distinguished by the followings: epigynal atrium small; spermathecae extending to the end of atrium; shap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fertilization duct in epigyne and internal genitalia; blunt basal spur of median apophysis in palp;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cheliceral teeth on both margins. Both species were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on a ridge between rice fields and seem to prefer habitats with relatively high humidity.

Two new records of orb-weaving spiders with a new species (Araneae: Araneidae) from Korea

  • Lee, Sue Yeon;Yoo, Jung Sun;Kim, Seung Ta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87-391
    • /
    • 2021
  • Araneidae Clerck, 1757 is one of the largest families within the order Araneae Clerck, 1757, comprising 3,065 species in 177 genera. To date, two species of the genus Mengora O. Pickard-Cambridge, 1889 and four species of the genus Araniella Chamberlin & Ivie, 1942 have been recorded in Korea. During a seasonal survey of the spider fauna in mountainous terrain conducted from 2018 to 2019, females of Mangora foliosa Zhu & Yin, 1998 and a male of Araniella robusta sp. nov. were collected with a sweep net between shrubs in mixed forests from Mt. Juwangsan National Park. In this paper, we provide a diagnosis of the new species and descriptions including measurements and morphological illustrations. The new species, Araniella robusta sp. nov.,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in the genus Araniella Chamberlin & Ivie, 1942 by a branched conductor with two blunt tips and conjugation of the embolus tip and terminal apoph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