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rm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7초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with oral contraceptive pill pretreatment in poor responders undergoing IVF/ICSI

  • Kim, Chung-Hoon;You, Rae-Mi;Kang, Hyuk-Jae;Ahn, Jun-Woo;Jeon, Il-kyung;Lee, Ji-Won;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4호
    • /
    • pp.228-233
    • /
    • 201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nRH antagonist multiple-dose protocol (MDP) with oral contraceptive pill (OCP) pretreatment in poor responders undergoing IVF/ICSI, compared with GnRH antagonist MDP without OCP pretreatment and GnRH agonist low-dose long protocol (LP). Methods: A total of 120 poor responders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options; GnRH antagonist MDP after OCP pretreatment (group 1), GnRH antagonist MDP without OCP pretreatment (group 2) or GnRH agonist luteal low-dose LP without OCP pretreatment (group 3). Patients allocated in group 1 were pretreated with OCP for 21days in the cycle preceding COS, and ovarian stimulation using recombinant human FSH (rhFSH) was started 5 days after discontinuation of OCP.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among three groups. Total dose and days of rhFSH used for C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3 than in group 1 or 2. The numbers of mature oocytes, fertilized oocytes and grade I, II embryo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or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implantation rate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 GnRH antagonist MDP with OCP pretreatment is at least as effective as GnRH agonist low-dose LP in poor responders and can benefit the poor responders by reducing the amount and duration of FSH required for follicular maturation.

Misuse of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in men in infertile couples and its influence on infertility treatment

  • Song, Seung-Hun;Sung, Suye;Her, Young Sun;Oh, Mihee;Shin, Dong Hyuk;Lee, Jinil;Baek, Jeongwon;Lee, Woo Sik;Kim, Dong S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73-177
    • /
    • 2019
  •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en with testosterone replacement therapy (TRT)-induced hypogonadism and its effect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n infertile couple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20 consecutive male patients diagnosed with azoospermia or severe oligozoospermia (< 5 × 106/mL) who visited a single infertility center from January 2008 to July 2018. All patients were treated at a primary clinic for erectile dysfunction or androgen deficiency symptoms combined with low serum testosterone. All men received a phosphodiesterase 5 inhibitor and TRT with testosterone undecanoate (Nebido®) or testosterone enanthate (Jenasteron®). Patients older than 50 years or with a chronic medical disease such as diabetes were exclud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7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infertility was 16.3 ± 11.6 months. At the initial presentation, eight patients had azoospermia, nine had cryptozoospermia, and three had severe oligozoospermia.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evels were below 1.0 mIU/mL in most patients. Three ongoing ART programs with female factor infertility were cancelled due to male spermatogenic dysfunction; two of these men had normal semen parameters in the previous cycle. After withholding TRT, serum hormone levels and sperm concentrations returned to normal range after a median duration of 8 months. Conclusion: TRT with high-dose testosterone can cause spermatogenic dysfunction due to suppress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testicular axis, with adverse effects on infertility treatment programs. TRT is therefore contraindicated for infertile couples attempting to conceive, and the patient's desire for fertility must be considered before initiation of TRT in a hypogonadal man.

Alterations in uterine hemodynamics caused by uterine fibroids and their impact on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s

  • Moon, Jei-Won;Kim, Chung-Hoon;Kim, Jun-Bum;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2권4호
    • /
    • pp.163-168
    • /
    • 2015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ibroids on the blood flow of the uterine and subendometrial arteries and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Methods: In this study, we analyzed 86 IVF/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cycles in which a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protocol was used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March 2009. The subjects comprised 86 infertile women with (fibroid group, n=43) or without (control group, n=43) uterine fibroids. Results: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the fibroid and control groups. The IVF/ICSI outcomes in patients with fibroids were similar to those of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resistance index (RI) and pulsatile index (PI) of the uterine and subendometrial arteries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IVF outcomes and uterine hemodynamics in patients with multiple (${\geq}2$) fibroids were similar to those of patients with a single fibroid. However,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experienced uterine cavity distortion than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had a normal uterine cavity (both p<0.05). The RI and PI of the subendometrial artery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day of embryo transfer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experienced uterine cavity distortion than in patients with fibroids who had a normal uterine cavity (both p<0.05). Conclusion: Fibroids which distorting the uterine cavity might impair the subendometrial artery blood flow clinical pregnancy rate and embryo implantation rate in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 Otherwise, IVF outcom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presence of uterine fibroids.

메기, Silurus asotus 정자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in the Catfish, Silurus asotus)

  • 권애숙;김구환;이영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75-80
    • /
    • 1998
  • 메기 정자는 그 길이가 약 62.5 \mu m이며 구형의 핵, 짧은 중편 및 꼬리를 ㄱ진 일반적인 메기류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정자는 대부분의 경골어류의 정자에서와 같이 첨체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염색질은 완전치 농축되어 있었다. 핵와(nuclear fossa)는 약 0.6 \mu m 함입되어 있었고 그 속에 기부 중심립과 말단 중심립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두 중심립은 140 \circ C의 각도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말단 중심립에서 9개의 부수체가 언형질막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는 중편 세포질에서 2층 또는 3층으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핵의 후반부와 꼬리의 기부를 둘러싸고 있었다. 꼬리는 축사만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lateral fins는 관찰되지 않았다. 메기 정자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중편 세포질에 구성되어 있는 관구조(tubular structure)이었다. 대부분의 경골어류의 정자는 중편 세포질에 미토콘드리아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메기 정자에서는 중편 세포질의 전반부에 미토콘드리아가 포함되어 있고, 후반부에는 소관이 모여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관구조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관구조는 현재까지 Characiformes의 정자 이외의 다른 경골어류에서는 보고된 바 없으며 이러한 구조는Characiformes과 메기류의 계통학적 관계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형질로 여겨진다. ^u The spermatozoa of Silurus asotus are appoximately 62.5 \mu m in length and relatively simple cells composed of spherical head, a short midpiece and a tail as in most Siluriformes. The ultrastructure of the spermatozoa of S. asotu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The nucleus measuring about 1.5 \mu m in length is depressed with a deep nuclear fossa of about 0.6 \mu m in length, two fifth of the nuclear diameter. The fossa contains the proximal centriole and the half of the distal centriole. Two centrioles form an angle of approximately 140 \circ to each other. the nine satellite rays radiat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centriole. the mitochondrea surround the basal nucleus and the axoneme, and are arranged in two or three layers in the postnuclear cytoplasm. The lateral fins are lost in the sperm tail.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is manifested in the midpiece. The midpece comprises two parts, the mitochondria and the tubular structure unlike other teleost fishes containing only the mitochondria. The tubular structure was reported only in the spermatozoa of Citharinus belonging to the characiformes of teleost fishes. Thus it is considered to be a good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of phylogenetic link between Siluriformes and Characiformes.

  • PDF

동자개의 형태발달과 성장특성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 of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reared in the laboratory)

  • 한경남;남기봉;정충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4-84
    • /
    • 2001
  • 사육 조건하에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발육에 따른 형태 변화 및 상대성장에 대해 검토하여 발육단계를 구분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정난은 난경 2.04${\pm}$0.07 mm (n = 100)의 비교적 큰 구형의 분리되는 침성부착난으로서 수조의 바닥 및 기질에 강하게 부착한다. 2. 부화자어는 전장 약 4.92${\pm}$0.33 mm로, 부화 후 1일에 입이 열리고, 부화 2일후에는 항문이 열리고, 부화 후 3일에 섭이를 시작하여 후기자어기에, 부화 후 30일경에 전장 약 32 mm에 유어기에 이른다. 3. 전장에 대한 각 부위의 상대성장에 굴곡점은 전장 7~8 mm, 17~32 mm, 32 mm 전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외부형태의 변화 및 상대성장의 굴곡점이 나타나는 어체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어기에서 유어기까지의 발육단계를 구분하면, 자어기는 전장 17 mm 이하, 치어기는 17~32 mm, 유어기는 32 mm 이상으로 사료된다. 상대성장의 측정결과 전기자어기에는 머리부분에 관련된 형질, 후기자어기 이후에는 운동능력에 관련된 형질의 우성장이 뚜렷하였다.

  • PDF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정상피세포의 분화와 미세구조 (Cell Differentiation and Ultrastructure of the Seminiferous Epithelium in Myotis macrodactylus)

  • 이정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1호
    • /
    • pp.25-39
    • /
    • 2003
  •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의 세정관 정상피의 분화과정과 미세구조적 특징들은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자형성 과정은 4월부터 9월까지로 나타났다. 정자형성세포의 미세 구조적 특징에 있어서, A형 (Ad, Ap)의 정원세포는 기저막 위에 위치하며, Sertoli cell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대부분의 세포는 타원형이다. Ad형은 Ap형 보다 핵과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높은 것이 특징적인 반면에, B형의 정원세포는 구형의 세포로서 A형 정원세포 보다 세포가 크며, Ap형과 마찬가지로 세포질이 밝고, 거의 핵소체가 핵막에 인접되어 있다. 정모세포는 크고 구형이지만, 제 1 정모세포가 제 2 정모세포보다 다소 크다. 정자변태는 골지, 두모, 첨체, 성숙 및 이탈기로 구분하였고, 세포구조물의 특징들에 의해 각각 전 후기로 다시 세분하여 전과정을 9 (기)로 나누었다. 핵질의 변화는 골지후기부터 서서히 응축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정자꼬리의 형성시기는 골지전기에서 형성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성되었다. 동면직전 10월부터 동면기 (11월, 12월, 이듬해 1, 2, 3월)까지는 정자형성 세포의 퇴화과정이 일어났다. 즉 미분화 정자형성 세포들은 세르톨리 세포의 식작용에 의해 포식되어졌는데 이는 동면을 위한 에너지 효율적 이용과 번식조절을 위한 적응 메카니즘이라 여겨진다.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의 Androgenic Gland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Androgenic Gland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 김대현;강정하;김대중;한창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53-58
    • /
    • 1999
  • 대부분의 연갑류에서 androgenic gland (AG)는 수컷의 성 분화와 성징의 발달에 관여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징거미새우, M. nipponense의 AG는 제5보각 (fifth waking legs)의 저절 (coxopodite)내에 위치한 사정관과 수정관의 말단부 (distat vas deferens)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AG는 단일 세포 가닥 (simple cellular strand)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세포 가닥의 바깥은 섬유성 외피 (fibrious sheath)로 둘러싸여 있었다. 특히, 각 세포 가닥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성 외피에는 미세융모 (microvilli)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AG 세포의 핵은 난구형으로 관찰되었고, 핵 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2∼3개의 핵소체 (nucleolus)와 전자밀도가 다소 낮은 과립상의 염색질 (chromatin)들이 분산되어 존재하였다. 세포질 내에는 매우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Golgi 복합체 그리고 횡 방향의 크리스테를 갖는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는 점으로 보아 본 종의 AG 세포는 단백-생산세포 (protein-production cell)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단백-생산세포의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 세포로부터 분비과립과 같은 어떠한 물질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분비물질이 관찰되지 않는 점은 생합성된 물질이 세포 내 축적없이 혈강으로 분비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경골어강, 메기목, 동자개과)의 정자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in the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Teleostei, Siluriformes, Bagridae))

  • 이영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1호
    • /
    • pp.39-48
    • /
    • 1998
  • 동자개 정자는 구형의 두부와 짧은 중편 및 긴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고 그 길이는 $76{\mu}m$이다. 대부분의 경골어류에서와 같이 첨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1.67{\mu}m$의 직경을 가진 핵에는 $1.0{\mu}m$ 정도로 깊이 함입된 핵와가 있고 그 속에 기부 및 말단 중심립이 들어있었다. 두 중심립은 서로 약 $160^{\circ}$의 각도로 배열되어 있으며, 말단부 중심립의 삼중미세소관과 핵 기부에 있는 축사의 이중미세소관 각각으로부터 부수체가 핵막을 항해 접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약 20개 정도의 미토콘드리아가 중편 세포질에 2층 또는 3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축사와는 세포질관에 의해 분리되어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었다. 축사의 이중미세소관의 A소관에는 디네인 외완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 쌍의 lateral fins는 중심미세소관의 축에 평행하게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동자개 정자 꼬리의 특징으로서 다른 메기류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다.

  • PDF

Luteal estradiol supplementation in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cycles for infertile patients in vitro fertilization

  • Kwon, Su-Kyoung;Kim, Chung-Hoon;Lee, Kyung-Hee;Jeon, Il Kyung;Ahn, Jun-Woo;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0권3호
    • /
    • pp.131-134
    • /
    • 2013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estradiol to luteal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in GnRH antagonist cycles for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ICSI. Methods: One hundred and ten infertile patients, aged 28 to 39 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vaginal progesterone gel (Crinone) along with 4 mg estradiol valerate (group 1, n=55) or only Crinone (group 2, n=55) for luteal support. A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using recombinant human FSH was used for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in all of the subjects. The COS results and pregnancy outcom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Group 1 and 2 were comparable with respect to the patient characteristics. The COS and IVF results were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gnancy rate (PR) and multiple P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embryo implantation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that in group 2 (22.2% vs. 13.3%, p=0.035). The incidence of luteal vaginal bleeding (LVB)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7.4% vs. 27.8%, p=0.010). Conclusion: The addition of estradiol to luteal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in GnRH antagonist cycles reduces the incidence of LVB and increases the embryo implantation rate in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IVF/ICSI.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II. 난발생과 유생의 발달 (Studies on the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Geoduck Clam, Panope japonica II.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 이채성;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2
    • /
    • 1997
  •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성숙된 모패를 절개법에 의하여 인공수정시켜 난 발생 및 유생의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끼리조개의 난은 분리침성란으로 나타났으며, 방란직후 알의 모양은 타원형이나 수정이 되면 직경 $70\mu$m의 구형으로 된다. 수정난의 발생은$ 11^{citc}C$에서 4시간 후 4세포기로 되고, 2일이 지나면 담륜자 유생(trochophore larvae), 수정 후 3일째에는 D상 유생, 23일째에는 각정기, 36일째에는 성숙유생으로 되었다. 수온(w)에 따른 각 단계별 소요시간(t)의 관계를 보면, 8세포 : 1/t=0.0209 w-0.1167 (r=0.9967) 포배기 : 1/t=0.0055 w-0.0192 (r=0.9825) 담륜자기 : 1/t=0.0034 w-0.0155 (r=0.9907) D상 유생기 : 1/t=0.0014 w-0.0023 (r=0.9843) 상기 식에서 산출된 코끼리조개의 생물학적 기초수온은 3.82$^{\circ}C$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