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elling error correction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using Deep Learning (답 러닝을 이용한 문맥 의존 철자 오류 교정)

  • Hwang, Hyunsun;Choi, Kyoungho;Lee, Cha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819-821
    • /
    • 2015
  • 문맥 철자 오류란 단어만 봤을 때에는 오류가 아니지만 문맥상으로는 오류인 문제를 말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맥 정보를 보아야 하는데 기존의 방법들은 언어학의 전문가가 설계한 규칙을 사용하거나, 통계적인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지만 높은 성능을 얻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자연언어처리에서 연구되고 있는 딥러닝을 사용하여 문맥 철자 오류 교정을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 자질 설계 등의 복잡한 작업 없이 워드 임베딩 만을 사용하여 해당 단어들에 대해 F1-measure 91.43 ~ 97.27%의 성능을 보였다.

Using Naïve Bayes Classifier and Confusion Matrix Spelling Correction in OCR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혼동 행렬을 이용한 OCR에서의 철자 교정)

  • Noh, Kyung-Mok;Kim, Chang-Hyun;Cheon, Min-Ah;Kim, Jae-Hoo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10-312
    • /
    • 2016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정 어휘 쌍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철자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철자 오류 중 한글에 대한 철자 오류만을 교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는 한국어 원시 말뭉치와 OCR 출력 말뭉치, OCR 정답 말뭉치이다.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부터 자소 단위의 언어모델(language model)과 교정 후보 검색을 위한 접두사 말뭉치를 구축했고, OCR 출력 말뭉치와 OCR 정답 말뭉치로부터 교정 어휘 쌍을 추출하고,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혼동 행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모델(error model)을 구축했다. 접두사 말뭉치를 이용해서 교정 후보를 찾고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통해 확률이 높은 교정 후보 n개를 제시하였다. 후보 n개 내에 정답 어절이 있다면 교정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했고, 그 결과 약 97.73%의 인식률을 가지는 OCR에서, 3개의 교정 후보를 제시하였을 때, 약 0.28% 향상된 98.01%의 인식률을 보였다. 이는 한글에 대한 오류를 교정했을 때이며, 향후 특수 문자와 숫자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교정을 시도한다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Using Naïve Bayes Classifier and Confusion Matrix Spelling Correction in OCR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혼동 행렬을 이용한 OCR에서의 철자 교정)

  • Noh, Kyung-Mok;Kim, Chang-Hyun;Cheon, Min-Ah;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10-312
    • /
    • 2016
  •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정 어휘 쌍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과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한 철자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에서는 철자 오류 중 한글에 대한 철자 오류만을 교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말뭉치는 한국어 원시 말뭉치와 OCR 출력 말뭉치, OCR 정답 말뭉치이다. 한국어 원시 말뭉치로부터 자소 단위의 언어 모델(language model)과 교정 후보 검색을 위한 접두사 말뭉치를 구축했고, OCR 출력 말뭉치와 OCR 정답 말뭉치로부터 교정 어휘 쌍을 추출하고, 자소 단위로 분해하여 혼동 행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오류 모델(error model)을 구축했다. 접두사 말뭉치를 이용해서 교정 후보를 찾고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통해 확률이 높은 교정 후보 n개를 제시하였다. 후보 n개 내에 정답 어절이 있다면 교정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했고, 그 결과 약 97.73%의 인식률을 가지는 OCR에서, 3개의 교정 후보를 제시하였을 때, 약 0.28% 향상된 98.01%의 인식률을 보였다. 이는 한글에 대한 오류를 교정했을 때이며, 향후 특수 문자와 숫자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교정을 시도한다면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daptive English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for Language Environments (언어 사용환경에 적응적인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

  • Kim, Minho;Jin, Jingzhi;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33-136
    • /
    • 2015
  • 문서 교정기에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교정하는 방법은 크게 규칙을 이용한 방법과 통계 정보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뉜다. 한국어와 달리 영어는 오래전부터 통계 모형에 기반을 둔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문제를 특정 어휘 쌍을 이용한 분류 문제로 간주하기 때문에 실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대규모 말뭉치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지만, 통계 정보 자체에 오류가 있을 경우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 포함된 모든 단어에 대하여 문맥의존 철자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단어가 오류일 경우 대치어를 제시하는 영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통계 정보의 오류가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에 미치는 영향과 오류 발생률의 변화가 철자오류 검색과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글 웹데이터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통계 모형을 구성하고 평가를 위해 브라운 말뭉치에서 무작위로 2,000문장을 추출하여 무작위로 문맥의존 철자오류를 생성하였다. 실험결과, 문맥의존 철자오류 검색의 정확도와 재현율은 각각 98.72%, 95.79%였으며,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의 정확도와 재현률은 각각 71.94%, 69.81%였다.

  • PDF

Adaptive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System Based on Self-Attention for Social Network Service Chatting Data (SNS 채팅 데이터에 적응적인 Self-Attention 기반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시스템)

  • Choi, Hyewon;Jang, Daesik;Son, Dongcheol;Lee, Seungwook;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62-36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Self-Attention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모델을 제안한다.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은 최근 철자오류 교정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문제 중 하나이다. 기존에는 규칙 기반, 확률 기반, 임베딩을 활용한 철자오류 교정이 연구되었으나, 아직 양질의 교정을 수행해내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교정 모델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elf-Attention을 활용한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Self-Attention을 활용하여 기존의 임베딩 정보에 문맥 의존적 정보가 반영된 더 나은 임베딩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전체 문장의 정보가 반영된 새로운 임베딩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타겟 단어와의 관련 단어들을 찾아 문맥의존 철자 오류교정을 시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평가를 위해 세종 말뭉치를 평가 데이터로 이용하여 제안 모델을 실험하였고, 비정형화된 구어체(Kakao Talk) 말뭉치로도 평가 데이터를 구축해 실험한 결과 비교 모델보다 높은 정확율과 재현율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