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ed of trus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7초

유사언어 활용 훈련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을 매개변수로 - (The Effects of Paralanguage Utilization Training for Audiobook Text Shaping - Professor's Friendly Behavior as a Parameters -)

  • 조예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41-15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음, 강세, 목소리의 톤, 속도, 휴지(Pause), 감정표현 등 유사언어 활용 훈련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의 매개역할 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오디오북 텍스트의 동적(動的)형상화를 위한 유사언어 활용 훈련과 매개변수인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에 대한 필요성과 영향력을 인식하는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언어 활용 훈련은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본래의 의미를 전달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유사언어 활용 훈련의 의의와 내용을 살펴보고 유사언어 활용 훈련을 지속한다면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은 유사언어의 활용 훈련과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은 훈련생에게 호의와 신뢰를 갖게 하여 유사언어 활용 훈련에 도움을 주었으며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대한 완성도를 높일 것이다. 따라서 유사언어 활용 훈련은 교수자의 우호적 행동과 함께 이루어질 때 오디오북 텍스트 형상화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피치각 제어형 수평축 조류 터빈의 형상설계 및 출력계수 비교 (Geometry Design of a Pitch Controlling Type Horizontal Axis Turbine and Comparison of Power Coefficients)

  • 박훈철;트롱 쾅 트리;판 레 쾅;고진환;이광수;레 쾅 투엔;강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블레이드 요소-모멘텀 이론을 바탕으로, 최대 출력계수를 갖는 직경 80 cm의 실험실용 수평축 조류 터빈의 형상을 제시하고, 블레이드 피치각이 변할 때 출력계수의 변화 경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ANSYS-Fluent를 이용한 전산유체해석을 실시하여, 주어진 블레이드 피치각에 대하여 블레이드 요소-모멘텀 이론으로 계산한 출력계수를 검증하였다. 전산유체해석에는 계산 영역의 직경과 길이를 조류 터빈 반경의 15배로 하였고, 계산 영역의 경계에는 열린 경계조건을 인가하였다. 블레이드 요소-모멘텀 이론과 전산유체해석으로 계산한 조류 터빈의 최대 출력계수 약 48%로 서로 잘 일치하였다. 블레이드 피치각을 증가한 경우에는 두 방법으로 산출한 출력계수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값들도 서로 유사하였다. 이로부터, 블레이드 요소-모멘텀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한 조류 터빈 형상 및 다양한 조건에서 대한 출력계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Personal Credit Evaluation System through Telephone Voice Analysis: By Support Vector Machine

  • 박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3-72
    • /
    • 2018
  • 인간의 목소리는 사람간의 정보 전달을 위한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이다. 음성의 특징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발성 속도, 발성기관의 형태와 기능, 피치 톤, 언어 습관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목소리는 사람의 의사소통 핵심 요소이다. 제 4 차 산업 혁명의 시대에 목소리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계, 기계 와 기계 사이의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 된다. 그 이유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의도를 다른 사람들에게 명확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목소리는 언어 정보와 함께 다양한 추가 정보가 포함되게 된다. 예를 들어 감정 상태, 건강 상태, 신뢰도와 관련되거나, 거짓말의 여부, 음주로 인한 목소리의 변화 등 다양한 언어 및 비언어 정보를 포함하며, 다양한 분석 파라미터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활용하면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성대의 기본 주파수의 특성과 성도의 공진 주파수 특성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 다양한 신용 상태의 변화에 따른 목소리 분석 및 특성 변화를 연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을 통해 추출 된 매개 변수를 통해 기계 학습을 통한 개인 신용 판별 기를 제안한다.

실시간 상호인증 지원을 위한 무선랜 보안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ireless LAN Crypto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Mutual Authentication)

  • 이상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1-170
    • /
    • 2005
  •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dmf 이용할 경우 시간차 문제 때문에 실시간으로 그 유효성을 검증할 수 없으며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를 이용할 경우 규모가 큰 보안시스템에서는 검증서버에 과부하를 주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IEEE 802. 1x 무선랜 표준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인증서버로부터 승인받기 전에는 유선랜으로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인증서버를 실시간으로 인증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랜에서 통신 내용을 보호하고 통신자 간의 신원을 상호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안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인증서 검증 프로토콜은 검증 결과의 현재성은 물론 시스템의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을 보여주었으며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 속도도 시스템의 규모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며 사용자가 신뢰하고 있어야 할 기관의 수도 적고 검증서버의 과부하도 막을 수 있었다. 그리고 고속 고용량과 저속 저용량의 클라이언트에 적합한 사용자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은 실시간 상호 인증은 물론 인증 사실의 공인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CAS 시스템 기반의 IPTV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 이동성 지원을 위한 인증 프로토콜 (An Authentication Protocol Supporting User Device Mobility in CAS-Based IPTV Environments)

  • 노효선;정서현;이정현;정수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B호
    • /
    • pp.302-312
    • /
    • 2010
  • IPTV 서비스는 인터넷 망을 통해 가입자가 원하는 양방향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CAS 기반의 IPTV 서비스는 댁내에 존재하는 IPTV 서비스 가용 단말들로 방송 콘텐츠를 재분배하는 과정에서 셋탑박스와 IPTV 서비스 가용 단말간의 보안, 댁외로 이동하는 IPTV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보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댁내 셋탑박스에서 이동 단말로 안전하게 콘텐츠를 재분배하기 위한 인증 프로토콜과 댁외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및 서비스 접속인증을 위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 한다. 제안 기법은 대리 서명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CAS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를 재암호화 과정 없이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STB가 인증 서버를 대신하여 발급한 서명을 이용하여 댁외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 인증과 IPTV 서비스 접속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보안 기술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인증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전체 통신 오버헤드 및 연산시간이 감소함을 보였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Predictors of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trajectories among Korean adolescents)

  • 유창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25-58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의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의 관계가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 년도(2010년), 3차 년도(2012년), 5차 년도(2014년), 6차 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350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점차 그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이차함수의 모형으로 변화하였다. (2)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의 종류가 달랐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관계와 소득이 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유무와 부모의 과잉간섭 요인이 있었다.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부모의 애정, 또래신뢰와 또래소외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독립적인 개입이 필요하고, 청소년의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에 개입할 수 있는 세분화된 개입의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기반이 될 수 있다.

전남 지방에 있어서의 양송이 재배에 최적한 환경조건 조절법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trolling Mechanique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ushroom Growing House in Chonnam Province)

  • 정병재;이은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32-34
    • /
    • 1974
  • 본 논문은 1968년 과학기술처 Trust Fund에 의하여 실시된 연구로서 전남 지방에 있어서 최적합한 양송이 재배사를 구명하기 위하여 이미 구미에서 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기후적 조건과 경제적 조건을 고찰한 자연공기 순환법을 적용, 양송이 재배에 최적한 환경 조건과 이의 조절법을 구명코저 시상식재배사와 지하실에 구축한 태양열을 이용하는 태양열식 재배사를 본실험용으로 구축하고 전자에 대하여서는 외가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측벽구조와 천정의 구조, 환기구의 위치 및 그 환기량등에 관하여 검토하였으며 후자에 관하여는 태양열 이용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동기에 있어서의 계속적 재배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양송이 재배사의 보온에 적합한 가열 장치에 대하여서도 검토하였다. 1. 실험용 지상식 양송이 재배사의 효과에 관하여는 이미 실험결과 및 그 분석에서 지적된 바 있거니와 그 측벽 및 천정의 구조는 재배사를 외계의 기상조건에서 격리하는데 충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2. 반지하실에 구축한 실험용 태양식 양송이 재배사의 효과에 관하여는 실험결과 및 그 분석에 지적한 바와 같거니와 태양열을 이용하는데 있어 충분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이것을 농가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제점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즉 (1) 태양식의 지붕과 천정은 실험용 지상식재배사의 그것과 동일히 하고, (2) 태양열 수열 장치는 적당히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3. 본 실험 연구에서 실시한 각조의 환기법중 GE-CV 및 VS-CV 환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본다. 4. 측벽수치 및 지중 환기장치는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농가용 양송이재배사의 자연환기법으로 실용적 가치가 충분하다. 그것은 이들 환기장치는 그 환기로를 통하여 사내에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인공적으로 가열이나 또는 냉각하지 않고 사내 온도에 접근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 외온을 $X^{\circ}C$로 할때 각종 환기로에 의하여 흡수되는 온도 $Y^{\circ}C$를 X의 함수로 하는 실험식은 다음과 같이 회귀직선으로 표시된다. GP$\cdots$Y=0.9X-12.8 GE$\cdots$Y=0.96X-15.11 VS$\cdots$Y=0.94X-17.57 5. 재배사내에 유입되는 공기 및 사외로 배출되는 공기에 관한 실험식은 다음과 같이 회귀직선 및 지수곡선으로 표시된다. 5.1 배출속도 Ycm/sec.를 유입속도 Xc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1.0X-1.65 GE-CV(100%)법$\cdots$Y=0.42X+2.03 VS-CV(100%)법$\cdots$Y=0.85X+0.96 5.2 배출량 $Ym^3$/hr.를 유출량${\times}m^3$/hr.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2.59X-10.88 GE-CV(100%)법$\cdots$Y=2.16X+26.53 5.3 상면 공기이동 속도 Ym/sec.를 배출공기 속도${\times}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법$\cdots$Y=0.5X+0.84 5.4 $CO_2$ 축적량 Y(%)를 상면공기이동속도 cm/sec.의 함수로 하는 회귀직선식 GE-CV(50%)$\cdots$Y=114.53-6.42X 5.5 $CO_2$ 축적량Y(%)를 배출공기량 $m^3$/hr.의 함수로 하는 지수곡선식 GE-CV(50%)$\cdots$Y=$127.18{\times}1.0093^{-x}$ 5.6 Natural ventilation system에 있어서 양송이 생육에 적합한 환경적조건을 마련하기 위한 환기구의 단면적은 재배사 전용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비율로할 수 있다. GE(지중유입 환기구 단면적)$\cdots$0.3-0.5%(요조절) CV(천정배출 환기구 단면적)$\cdots$0.8-1.0% (요조절) 6. 본 연구에서 실험한 각종의 가열장치중 무압증기수 보이라도 사요할 수 있는 온수 보이라가 농가용 양송이재배사 가열장치로서, 그 효과면에 있어서나 또는 그 가격면에 있어서 최적합다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PDF

유효녹색시간 조정을 활용한 중앙버스정류장 용량 부족 완화 방안 연구 (Mitigation of Insufficient Capacity Problems of Central Bus Stops by Controlling Effective Green Time)

  • 구교민;이재덕;안세영;장일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5-50
    • /
    • 2022
  •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이후 버스의 통행우선권이 보장되어 버스 이용자들의 신뢰도가 향상되었지만 중앙버스정류장 용량 부족으로 정차 노선들의 통행속도와 정시성이 감소되는 등 정체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중앙버스전용차로 및 중앙버스정류장 설치 시 기존시가지의 도로 기하구조를 바탕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물리적인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버스정류장 진출부의 신호 시스템 유효녹색시간을 최적화하여 운영 차원에서의 중앙버스정류장 용량 부족 문제의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론으로 TCQSM과 도로용량편람을 기초로 활용하였다. 물리적인 요인을 변수에서 제외할 수 있도록 구축 예정인 중앙버스정류장의 정차면수를 산정하였고 서울시의 현재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운영 중인 9개소의 중앙버스정류장을 임의로 선정 후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정류장 용량이 부족한 중앙버스정류장을 대상으로 정류장별 유효녹색시간 조정을 통해 시나리오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중앙버스정류장의 용량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운영 차원만의 개선 방안으로 용량이 부족한 중앙버스정류장 중 26.7%인 4개소의 정류장은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영 차원의 개선 방안을 통하여 현재 운영 중인 중앙버스정류장의 용량 증대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검증하였고 중앙버스정류장의 계획단계에서 공학적으로 산정된 중앙버스정류장의 정차면수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중앙버스전용차로가 확대됨에 따라 중앙버스정류장 용량 문제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실질적인 중앙버스정류장의 개선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물리적인 개선 방안을 도입하기 이전에 운영 차원 개선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