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environmental release categor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환경배출범주/특수환경배출범주 기반 ECETOC TRA 및 주요/산업/용도 분류체계 이용의 K-CHESAR에 의한 환경예측농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from ECETOC TRA Based on Environmental Release Categories/Specific Environmental Release Categories and K-CHESAR Using Main/Industrial/Use Categories)

  • 전현표;양지수;조하나;최은경;김상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12-323
    • /
    • 2023
  • Backgroun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of substances can be estimated by K-CHESAR based on main, industrial, and use categories (MC/IC/UC) and ECETOC TRA based on environmental or specific environmental categories (ERC or spERC). Objectives: Three different systems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to figure out their order with possible reasons along with relationship of regional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PECregional) and final PEClocal for various uses of a substance. Methods: Typical uses of the case substance and their corresponding ERCs were selected from the webpage of the European Chemical Agency. Proper MC/IC/UC and spERC were assigned to each ERC. Emission fractions were compared for each assessment code from the available database. PECs were calculated by three estimating systems: K-CHESAR using MC/IC/UC, ECETOC TRA using ERC, and ECETOC TRA using spERC with their default values for input parameters. Percentage of PECregional to PEClocal were manually calculated for each use. Results: Emission factors decreased in the order of ERC > MC/IC/UC > spERC. Values of the final PEClocal derived as sum of PECregional and Clocal decreased in the order of calculations using ECETOC TRA-ERC>KCHESAR with MC/IC/UC>ECETOC TRA-spERC for all environmental media. Percentages of PECregional,water to PEClocal,water ranged from 0 to 10.3% in industrial uses calculated with MC/IC/UC and ERC but 96.3 to 100% in wide dispersive uses of ERC and spERC where values of Clocal,water are estimated to be very low. Conclusions: ECETOC TRA generated the most refined PNEC values with spERC and the least with ERC, while K-CHESAR with MC/IC/UC generated values between the two results. The ratio of PECregional to PEClocal can be a good measure for performing suitable estimation of PNECs according to use.

환경보고서 혹은 웹사이트를 통한 자발적 환경공시의 내용분석: 환경성과 및 경제적 성과와의 동시적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Voluntary Environmental Disclosure Made in Stand-alone Environmental Reports or Company Web-sites: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Disclosure Quality,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conomic Performance)

  • 최종서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3호
    • /
    • pp.69-1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환경보고서 혹은 웹사이트를 통한 환경정보의 자발적 공시실태를 조사하였다. GRI 보고기준을 기반으로 한 공시수준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본기업의 공시의 질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공시항목의 범주를 객관적 공시와 주관적 공시로 구분할 때 특히 객관적 공시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함께 본 논문에서는 TRI 자료를 이용하여 환경성과를 측정하고 주식시장의 산업조정수익률로 경제성과를 정의하여 환경공시수준, 환경성과 및 경제성과 사이의 동시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OLS 방법에의하여 개별회귀식을 추정할 경우 공시수준과 환경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성과와 경제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나아가 2SLS 접근법에 의하여 연립방정식을 추정할 경우 세 변수 사이에 내생성을 발견할 수 없었으며 이들 세 변수 중의 어떠한 두 변수 사이에서도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분석에서 감사보고서 각주공시의 수준을 GRI 기준에 입각하여 평가한 결과 공시의 질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각주공시의 선택 여부가 환경보고서 공시의 질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 PDF

점포의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 브랜드 개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Service Brand Personality and Repurchase Intention)

  • 김형길;김정희;김윤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41-173
    • /
    • 2007
  • 본 연구는 점포를 방문하는 동안 노출되는 매장의 물리적 환경 특성이 서비스 브랜드 개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특정 서비스 브랜드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선,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은 주변요인, 디자인요인, 사회요인으로, 그리고 서비스브랜드 개성은 유능함, 성실함, 흥분됨, 세련됨, 강인함 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물리적 환경의 모든 차원들이 모든 서비스 브랜드 개성차원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물리적 환경의 서비스 브랜드 개성에 대한 영향력은 각 차원별로 상이하였다. 셋째, 서비스 브랜드 개성은 모두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세련됨 차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켰다. 넷째, 서비스의 물리적 환경은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물리적 환경 중 사회요인이 재구매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물리적 환경 연출은 브랜드 개성 형성의 결정요인으로 서비스 브랜드 차별화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하므로, 호의적인 브랜드 개성 창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물리적 환경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