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fic IgY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34초

실험적 요꼬가와흡충증에서의 특이 IgG 항체 반응 (Specific IgG antibody responses in experimental cat metagonimiasis)

  • 조승열;김석일;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49-153
    • /
    • 1987
  • 요꼬가와홉충을 고양이 등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키면 그 기생부위인 소장의 점막에는 융모의 위축, 융합 등의 병적 변화가 일정기 간 나타나며 점막기 질(stroma)에는 심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일어난다. 이상의 병리학적 소견을 기초로 생각할 때 요꼬가와흡충 감염 경과중 특이 항체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요꼬가와흡충의 피낭유충을 10,000개 및 80,000개씩 감염시킨 고양이 25마리에서의 혈청내 특이 IgG 항체가를 면역효소측정법 으로 조사하였다. 자연감염된 은어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실험감염 개의 소장에서 4주일후 분리한 성충의 생리식염수 추출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감염된 충체의 수를 부검때에 세어 실제 감염략으로 하였다. 특이 IgG 항체가는 대조군 혈청에 비하여 감염 7일째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후 2∼4주일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그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이 IgG항체는 피낭유충 항원보다는 성충 항원에 대하여 더 높게 반응하였다. 그리고 감염충체수가 적은 고양이의 혈청내 IgG 항체가는 같은 감염기간의 대 량감염 고양이에 비하여 음았다.

  • PDF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Measles Specific IgG in Adults)

  • 최정훈;신영규;정지태;독고영창;윤재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245-252
    • /
    • 1999
  • 목 적 :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홍역 특이 IgG 항체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각 연령층의 홍역특이 IgG 항체의 양성들과 항체 역가를 알아봄으로써 우리 나라의 홍역 집단 면역의 실태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홍역 퇴치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7월까지 고대 안산 병원 외래 검사실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 156명(남 78, 여 78)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결합흡착검사(ELISA)로 홍역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검사는 SIATM Measles IgG kit(Sigma Co. St Louis)를 이용하였으며, 홍역 특이 IgG의 농도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110AU/ml 이상인 경우 항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1) 홍역 특이 IgG 항체 양성률은 전체적으로 94.9% 였고, 연령 별로는 20대 90.3%, 30대 96.9%, 40대 96.7%, 50대 95.5%, 60대 94.7%, 70대 95.5% 였으며, 연령별 항체 양성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홍역 항체 역가(평균${\pm}$표준편차, AU/ml)는 전체적으로 $238{\pm}84$이었으며, 연령별로 20대 $251{\pm}117$, 30대 $208{\pm}72$, 40대 $235{\pm}82$, 50대 $268{\pm}76$, 60대 $232{\pm}58$, 70대 $240{\pm}67$ AU/ml 등이었으며, 30대에서 평균 홍역 항체 역가가 다른 연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연령증가와 평균 홍역 항체 역가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양성률은 94.9%였으며, 연자들의 이전의 연구에서 나타난 소아 및 청소년기의 항체 양성률에 비해 성인층에서의 홍역에 대한 집단 연역이 높은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성인중 홍역 항체 음성률이 소아 및 청소년에 비해 낮고 또한 성인층에서 항체 음성인 경우에 대한 대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앞으로는 백신 접종세대인 소아 및 청소년기의 홍역 유행의 주요 문제인 일차 백신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더욱 더 많은 노력이 기울여 져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systemic and mucosal immune responses in mice administered with novel recombinant Salmonella vaccines for avian pathogenic Esherichia coli

  • Oh, In-Gyeong;Lee, John Hwa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99-205
    • /
    • 2013
  •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PEC) is a causative agent for a number of extra intestinal diseases and account for significant losses to the poultry industry. Sinc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APEC is largely directed to virulence antigens, we have individually expressed four different viulence antigens, papA, papG, IutA, and CS31A, using an attenuated Salmonella Typhimurium and a plasmid pBB244. Following oral immunization of mice with combination of two or four of these strains, serum IgG and mucosal IgA responses were elicited against each antigen represented in the mixture. The antigen-specific mucosal IgA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mice immunized with the heat-labile Escherichia coli enterotoxin B subunit (LTB) strain than those in the group of mice immunized without the LTB strai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in antigen-specific serum IgG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LTB could act as mucosal immune adjuvant. To assess the nature of immunity, the distribution of antigen-specific IgG isotypes was analyzed. All groups promoted Th1-type immunity as determined by the IgG2a/IgG1 ratio. Thus, our findings provided evidence that immunization with a combination of several vaccine strains is one of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effective vaccines against APEC.

Inhibitory Effects of Chicken Egg Yolk Antibody on Infection of Escherichia coli in Macrophage

  • Lee, Jin-Ju;Kim, Dong-Hyeok;Lim, Jeong-Ju;Kim, Dae-Geun;Kim, Gon-Sup;Min, Won-Gi;Lee, Hu-Jang;Rhee, Man-Hee;Chang, Hong-Hee;Kim,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107-114
    • /
    • 2012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use of immunoglobulin prepared from egg yolk of chickens immunized with Escherichia coli K88 (IgY-Ec) in the control of E. coli K88 infection in RAW 264.7 murine macrophage. The binding activity of IgY-Ec against E. coli K88 surface protein was more specific and increased than control IgY. In infection assay of E. coli in macrophage, the specific IgY-Ec to E. coli K88 remarkably inhibited the phagocytic activity comparing to nonspecific IgY (p<0.001). In adherence assay, bacterial adhesion on macrophage cells was definitely reduced by preincubation of IgY-Ec compared with nonspecific IgY (p<0.05).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gY-Ec have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pathogens and IgY-based diets may have potential benefi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infections in domestic animals.

마우스 EAE, GVHD 질환에서 CTLA4Ig 융합단백의 면역치료 효과 (Immunotherapeutic Effects of CTLA4Ig Fusion Protein on Murine EAE and GVHD)

  • 장성옥;홍수종;조훈식;정용훈
    • IMMUNE NETWORK
    • /
    • 제3권4호
    • /
    • pp.302-309
    • /
    • 2003
  • Background: CTLA4 (CD152), which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 cells following activation, has a much higher affinity for B7 molecules comparing to CD28, and is a negative regulator of T cell activation. In contrast to stimulating and agonistic capabilities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CTLA-4, CTLA4Ig fusion protein appears to act as CD28 antagonist and inhibits in vitro and in vivo T cell priming in variety of immunological conditions. We've set out to confirm whether inhibition of the CD28-B7 costimulatory response using a soluble form of human CTLA4Ig fusion protein would lead to persistent inhibition of alloreactive T cell activation. Methods: We have used CHO-$dhfr^-$ cell-line to produce CTLA4Ig fusion protein. After serum free culture of transfected cell line we purified this recombinant molecule by using protein A column. To confirm characterization of fusion protein, we carried out a series of Western blot, SDS-PAGE and silver staining analyses.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CTLA4Ig in vitro such as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 cytotoxic T lymphocyte (CTL) response and in vivo such as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and skin-graft whether this fusion protein could inhibit alloreactive T cell activation and lead to immunosuppression of activated T cell. Results: In vitro assay, CTLA4Ig fusion protein inhibited immune response in T cell-specific manner: 1) Human CTLA4Ig inhibited allogeneic stimulation in murine MLR; 2) CTLA4Ig prevented the specific killing activity of CTL. In vivo assay, human CTLA4Ig revealed the capacities to induce alloantigen-specific hyporesponsiveness in mouse model: 1) GVHD was efficiently blocked by dose-dependent manner; 2) Clinical score of EA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nomal control; 3) The time of skin-graft rejec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CTLA4Ig treated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Human CTLA4Ig suppress the 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nd efficiently inhibit the EAE, GVHD in mouse model. The mechanism of T cell suppression by human CTLA4Ig fusion protein may be originated from the suppression of activity of cytotoxic T cell. Human CTLA4Ig could not suppress the rejection in mouse skin-graft, this finding suggests that other mechanism except the suppression of cytotoxic T cell may exist on the suppression of graft rejection.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 통관산(通關散)이 Total IgE, specific IgE 생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ngkwansan on the Changes of Total IgE and Specific IgE in Allergic Rhinitis Mouse Model)

  • 이승주;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16-26
    • /
    • 2007
  • Background &Objectives : Rhinitis is an inflammation of nasal mucosa and the major symtoms are watery rhinorrhea, sneezing, itchy nose, and nasal obstruction. Rhinitis is classified into allergic rhinitis and nonallergic rhinitis. Allergic rhinitis is an immune reaction by allergen, and vasomotor rhinitis which is nonallergic and noninfectious is hypersensitive reaction. The incidence of allergic rhinitis has increased and the rate of vasomotor rhinitis is high.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about vasomotor rhinitis compared with allergic rhinitis. And there have been no studies so far performed on the effect of Tongkwansan.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ongkwansan on allergic rhinitis and vasomotor rhinitis.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BALC/c mous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normal group, control group and sample group. To induce the allergic rhinitis in control group and sample group, mouses were sensitized intrapertioneally 0.1% ovalbumin solution three times at intervals of 1 week. Then intranasal sensitization was performed by diffusing 0.1 % ovalbumin solution 3 times at intervals of 2 days. After that time, mouses in the sample group were oral administration treated by Tongkwansan for 28 days. We observed changes in the segment of IL-4, IL-5, $IFN-{\gamma}$, Total IgE, and ovalvumin specific IgE in blood. We used the statistical methods of ANOVA test(p<0.05).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statistically in $IFN-{\gamma}$, IL-4, and IL-5 in blood(p<0.05).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changes statistically in Total IgE, OVA-specific IgE in blood(p<0.05).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Tongkwansa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allergic rhinitis. But it is supposed that Tongkwansan has significant effects on vasomotor rhinitis which is nonallergic and noninfectious

  • PDF

난황으로 부터 항충치 항체의 분리 및 그 특성 (Properties of Anti-S. mutans IgY Separated from Egg Yolk)

  • 손동화;노정해;김영붕;한찬규;성기승;이남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29-1034
    • /
    • 1998
  • 충치유발균인 Streptococcus mutans (혈청형 C)를 면역한 산란계의 난황에서 항체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난황으로 부터 항체의 추출효율을 검토하였을 때, ${\lambda}-carrageenan$, $gammaYolk^{TM}$, $EGGstract^{TM}$의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 중 항체의 순도는 전기영동에서 각각 20, 46, 48%로 나타났으며, 난황 1 g에서 얻은 항체의 수율은 각각 11.3, 1.7, 1.8 mg이었다. 정량면역침강반응의 결과, ${\lambda}-carrageenan$방법으로 얻은 조난황 항체 중 특이항체의 비율은 12.2%이었다. 이로부터 계란 하나분인 15 g의 난황에서 얻은0.85 g의 조난황 항체에는 특이항체가 100 mg가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종류 충치유발균주(혈청형 b, c, f)에 대한 특이항체의 반응성을 조사하였을 때, 설탕 첨가배지에서 배양한 균주는 C(+), f(+), b(+)의 순으로 48%이상의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었으나 무설탕 배지에서 배양한 균주의 반응성은 각각 이보다 낮게 나타났다. 조난황 항체의 열 및 pH안정성은 양호하여, $70^{\circ}C$까지 50%이상의 활성을 유지하였고 $pH\;4{\sim}8$에서 대체로 안정하였다.

  • PDF

폐흡충 충란항원의 항원성 평가 (Antigenicity of the soluble egg antigen of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고응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49-54
    • /
    • 1986
  • 폐흡충 충란항원의 항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감염 후 10개월된 충체에서 유리된 충란의 수용성 항원을 제작하였다. 실험감염 개 페흠충증에서 특이 IgG, IgM 항체의 생성을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충체항원과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disc-PAGE로 충란항원의 구성 단백질을 관찰하였다. 1. 폐흡충 충란항원에 대한 특이 IgG 항체는 충체가 충란을 형성하는 감염 8주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12주에 최대치에 이르고 이후 일정한 항체가를 유지한 반면, 특이 IgM 항체의 생성은 대단히 미약하였다. 2. 폐흡충 충체항원에 대한 특이 IgG 항체는 감염 2주에 상승하여 관찰기간인 13주까지 계속 상승하였다. 항체가도 충란항원보다 높았다. 충체항원에 대한 특이 IgM 항체는 감염 2주부터 나타나 8주까지는 일정량을 유지하나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주에는 감염전 상황으로 되돌아왔다. 3. 폐흡충 충란항원은 전기영동상에서 단백질 band 2개로 관찰되었으며 성충의 충체항원에서 관찰되는 10개의 단백질 band중 Band 1과 Band 2에 해당되는 단백질 band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2개의 단백질로 구성된 폐흡충의 수용성 충란항원은 특이 IgG 및 특히 IgM 항체 생산을 유도하나 성충충체항원에 비하여 그 항원성이 대단히 미약하다고 판단하였다.

  • PDF

간흡충종 환자의 혈청내 IgE 열 간흡충 특이 IgE 항체의 상승 (Elevation of Specific IgE Antibody in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 민득영;소진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27-31
    • /
    • 1983
  • 21명의 간흡충 감염환자 및 15명의 건강인으로부터 혈청을 수집하여 혈청내 IgE와 간흡충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RIST와 RAST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흡충 감염환자 및 건강인의 혈청 IgE와 특이 IgE는 각각 2,372 lU/ml과 364IU/ml 그리고 52.0%와 4.4%로 간흡충 감염자에서 모두 유의하게 상승되어 있었으며 (p<0.001 및 p<0.01), 혈청 IgE의 상승과 특이 IgE의 상승은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r=0.9451), 혈청 IgE와 EPG(r=0.6056), 특이 IgE와 EPG(r=0.5693) 역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흡충 감염은 인체 혈청내 IgE 및 특이 IgE항체를 상승시키며, IgE 및 간흡충에 대한 특이 IgK는 숙주-기생충간의 면역반응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뇌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의 기원 (Intracranial synthesis of specific IgG antibody in cerebrospinal fluid of neurocysticercosis patients)

  • 조승열;김석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15-26
    • /
    • 1988
  • 뇌 유구낭미충증의 진단에는 혈청뿐만 아니라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도 측정하여 혈청학적 진단의 민감도를 약 10%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 그 환자의 혈청에서 혈관-뇌 장벽을 넘어 이전된 것인지 또는 두개강내 병변에 형성된 육아종에서 생성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 측정의 의미를 부여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기원을 찾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확진된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82례와 기타 신경계질환 환자 및 건강대조인 45례에서 오은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각각 총단백질, 알부민 및 IgG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Tourtellotte and Ma (1978)의 공식에 의하여 뇌척수액내 IgG농도를 여출(濾出, transudation; 혈관-뇌장벽이 정상인 상태에서 생리적으로 뇌척수액으로 이전된 것), 삼출(渗出, exudation; 혈관-뇌장벽이 파괴된 상태에서 병적으로 이전된 것) 및 두개강내 생사 등 세가지 기원으로 분리하였다. 고리고 혈청 및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가를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뇌척수액내 특이 Ig9G항체가와 각기원별 IgG량과의 관계를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1.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 뇌척수액에는 총단백질, 알부민 및 IgG평균치가 상승되어 있었다. 각 단백질 농도는 혈청내 특이 IgG항체가와는 관계없이 뇌척수액내 IgG항체가 양성자에서 높았다. 2.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IgG량(14.0mg/dl)은 여출(4.52mg/dl), 삼출(2.94mg/dl) 및 두개강내 생산(6.88mg/dl)으로 구성되었다. 뇌척수액왜 특이 IgG항체가는 여출 및 삼출에 의한 IgG양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는 관계이었으나 두개강내 생산량과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3. 제 4뇌실에 병 변이 화인된 뇌유구낭미충증 환자의 측뇌실에서 얻은 뇌척수액에는 총단백 질, 알부민 및 IgG량이 정상범위이었고 특이 IgG항체는 음성이 었다. 같은 환자의 요추천자로 얻은 뇌척수액에서는 각 단백질이 상승되어 있었고 특이 IgG항체가는 양성이었다. 4. 뇌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EgG량중 삼출에 의한 양이 증가된 예에서는 대부분 두개강내 IgG생산이 동반되고 있었다. 따라서 삼출에 의한 뇌척수액내 IgG 출현은 뇌유구낭미충증의 진행중 어느 시기에 특히 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구낭미충증 환자의 뇌척수액내 특이 IgG항체는 두개 강네 병변에서 생산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척수액을 이용한 특이 IgG항체 측정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