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aker-microphon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5초

변압기 소음제어를 위한 음향 시스템의 동특성 해석 및 전달함수 추정 (Dynamic Characteristic Analysis and Transfer Function Estimate of Acoustic System for Transformer Noise Control)

  • 김영달;정창경;심재명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7-24
    • /
    • 1999
  • 본 연구는 스피터와 마이크폰쌍을 이용하여 변압기 소음 감소를 위한 적응 능동소음제어에 있어서 스피커-증폭기-마이크로폰 경로와 스피거-마이크로폰 쌍의 동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음향경로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폰-스피커 쌍의 전달함수를 SLS(sequential least square)알고리즘으로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전달함수에 대한 identify는 z 평면에서 안정된 극점과 영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SP56001을 이용한 능동소음제어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with DSP56001)

  • 김영훈;박장관;구춘근;정찬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54-656
    • /
    • 1998
  • This paper deal with the implementation of Active Noise Control (ANC) in a short duct. In case of ANC in the air duct, input microphone, control speaker, error microphone are used. But we can't use input microphon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duct. It is difficult to avoid howl. So we propose single-channel adaptive feedback ANC which is composed only error microphone and control speaker without input microphone. FXLMS algorithm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time delay of the error pat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troller reduce noise signal sufficiently.

  • PDF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을 고려한 단일 센서 능동소음제어 (A Single Sensor Active Noise Contro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 김현태;박장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131-1138
    • /
    • 2003
  • 능동소음제어는 원치 않는 소음에 대하여 2차 소음으로 상쇄 간섭을 발생시켜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능동소음제어기의 성능은 2차 소음이 주 소음을 얼마나 잘 추정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2차 소음은 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며 마이크를 통해 오차 신호를 수음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은 이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신호를 왜곡시켜 능동소음제어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을 고려한 단일센서 능동소음제어기를 제안한다.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에 의한 2차 소음의 왜곡을 줄이기 위하여 적응 역모델링 기법으로 전달 특성을 추정하고 주 소음은 Kalman필터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단일센서 능동소음제어기가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킴을 보인다.

  • PDF

능동소음제어 시스템의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 최적위치 선정 (Optimal Selection of Microphone and Speaker Positions in Adaptive Noise Control Systems)

  • 이홍원;서성대;남현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66-2768
    • /
    • 2003
  • In this paper, positions of microphones and speakers in adaptive noise control systems are selected using optimization techniques. To get the optimal control characteristics of adaptive noise control system, It is necessary to optimize positions of microphones and speakers. Assume that control speakers are placed in a experimental enclosure several place indoors. Acoustic transfer functions from control speaker positions to microphone positions are measured for simulation program by experiments, and simulated annealing methods are used to select optimal positions of speakers and microphones.

  • PDF

어레이 마이크로폰용 광대역 소형 위상교정기의 설계 (Design of the broadband and compact phase-calibrator for array microphones)

  • 주형식;김양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32-1035
    • /
    • 2004
  • Pressure distribution is measured by way microphones to identify noise sources in the space. For example, beam-forming method or acoustic holography use phas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source. Therefore, the phase is significant information to correctly identify the source position. However, due to the microphone characteristics and measuring systems, measured signals always have errors, which make the identification difficult. Therefore, phase calibration of microphones is needed. Duct and speaker systems are generally used as calibrators.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calibrator are, of course, functions of many Parameters of the system: i.e. duct size, frequency, and microphone spacing. In this paper, design parameters which effect on the performance and size of the calibrators are considered. Then the parameters would be applied to design and real product of the phase-calibrator.

  • PDF

OATSP를 이용한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특성 응답 측정 알고리즘 (The Measurement Algorithm for Microphone's Frequency Character Response Using OATSP)

  • 박병욱;김학윤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1-68
    • /
    • 2007
  •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마이크로폰이 레벨 허용 범위로 재생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마이크로폰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음향 특성 파라메타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그 측정 조건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컴퓨터로 생성한 Optimized Aoshima's Time Stretched Pulse(OATSP) 신호를 표준 스피커를 통하여 발생시킨 다음, 측정하고자 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수음된 신호와 역 OATSP 신호를 컨볼루션시켜 마이크로폰의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할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구하는 방범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한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 측정값과 그들이 갖고 있던 주파수 응답 특성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 측정한 각각의 마이크로폰 주파수 응답 특성들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였으나, 오차가 그 측정값들이 허용 오차(${\pm}3{\sim}{\pm}5dB$) 범위에 내에 있었으므로 제안한 알고리즘이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저작운동으로 인한 진동 잡음 신호의 경감을 위한 측두골 이식형 마이크로폰의 설계 (The Design of Temporal Bone Type Implantable Microphone for Reduction of the Vibrational Noise due to Masticatory Movement)

  • 우승탁;정의성;임형규;이윤정;성기웅;이정현;조진호
    • 센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4-150
    • /
    • 2012
  • A microphone for fully implantable hearing device was generally implanted under the skin of the temporal bone. So, the implanted microphone's characteristics can be affected by the accompanying noise due to masticatory movement. In this paper, the implantable microphone with 2-channels structure was designed for reduction of the generated noise signal by masticatory movement. And an experimental model for generation of the noise by masticatory movement was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temporal bone and skin. Using the model, the speech signal by a speaker and the artificial noise by a vibrator were supplied simultaneously into the experimental model, the electrical signals were measured at the proposed microphone. The collected signals were processed using a general adaptive filter with least mean square(LMS) algorithm. To confirm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ignal to noise ratio(SNR) before and after the signal processing were calculated. Fin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each other.

음장과 외이도 내부에서의 음성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voice between the free field and the external auditory canal)

  • 허승덕;김리석;고도흥;이정학
    •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83-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ear canal. It was assumed that a sound outside the external auditory canal could be different from the sound inside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acoustic signals were captured by a probe microphone placed at a distance within 1 cm from the tympanic membrane, and a reference microphone was placed over the upper pinna. Three vowels /a/, /i/, /u/ were recorded from a normal adult male speaker. The parameters such as the formant frequency ($Fl\simF5$) and the peak intensity were measured using a speech analyser, PCquirer. It was found that the entering part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functions as a narrowing point as to the speech that passes through the free field. Results show that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for speech discrimination rather than speech perception.

  • PDF

양단이 지지된 Fabry-Perot 광섬유센서의 음압 감지 특성 연구 (Sound Detection Characteristics Using Fabry-Perot Fiber Optic Sensor which Simply Supported in Structure)

  • 이종길;이진우;이준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85-59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소형화 및 경량화의 특성을 가진 Fabry-Perot형 간섭계를 구성하였다. 음향이 광섬유의 횡방향으로 감지되도록 센서 헤드부를 1㎝정도로 제작하고 총 길이가 9.5㎝인 광섬유의 양단을 단순 지지토록 하였다. 센서의 음향 감지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무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인가하였다 횡방향으로 입력된 음향 신호를 광섬유 센서와 마이크로폰이 감지한 신호를 비교하였다. 1㎑ 이하의 신호에서는 광섬유 센서가 마이크로폰보다 감지 특성이 좋으나 2 ㎑에서는 광섬유센서의 감지 특성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제작된 광섬유 센서의 지지구조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며 실험을 통하여 Fabry-Perot 간섭계용 센서는 횡방향의 음향을 잘 감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센서는 지능구조물의 건강진단 모니터링 분야에도 적용가능 하리라 판단된다.

열음향 냉장시스템 (II) : 제작 및 실험 (Thermoacoustic Refrigerating System, Part II :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 하재규;안철용;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3-20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열음향 냉장시스템을 실제로 설계, 제작하고 그 동작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시스템은 4인치의 중음부 스피커로 구동되며 스피커 하우징, 챔버, 스택하우징, 스택, 열교환기, 가는관, 그리고 공명구로 구성되었으며 내부에 10기압의 He을 채워 실험하였다. 실행 중 온도하강측정을 위하여 T 타입의 열전쌍을 열교환기에 부착하였고, 내부음압측정용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장착하였다. 스피커의 열손상을 막고 고온 열교환기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급하였다. 실제 실험을 위하여 제작된 열음향기관의 전기적인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공진특성을 파악하였는데, 실험 결과 설계치와는 약간 다르게 340Hz로 구동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이러한 해석을 기초로 실제 냉장실험을 수행한 결과 $30^\circ{C}$의 조건하에서 340Hz, 50W로 구동하였을 때 $16^\circ{C}$의 냉장효과를 관찰하였다. 관찰된 냉각효과와 설계치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제작된 열음향기관의 미비점을 고찰하였는 바, 냉각부의 단열이 제일 중요한 문제임을 파악하였으며 그외의 보완이 필요한 사항은 이후의 진행될 연구의 과제로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