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trend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Seasonal-Trend Decomposition과 시계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비정상 이벤트 탐지 시각적 분석 시스템 (Visual Analytics for Abnormal Event detection using Seasonal-Trend Decomposition and Serial-Correlation)

  • 연한별;장윤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066-107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트윗 스트림에서 비정상적인 이벤트에 대한 상관관계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는 트윗에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한 다음 계절요인과 추세요인을 반영한 시계열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이벤트 후보군을 추출한다. 추출된 토픽이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시 한 번 토픽을 추출하여 시계열 분석을 수행한 다음 앞서 추출한 토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이벤트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정상 이벤트를 탐지하는 모든 과정에 시각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단순한 수치 정보가 아닌 시각적 패턴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비정상 이벤트의 동향과 주기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트윗을 대상으로 2개의 사건[경주 마우나 리조트 붕괴 사건(2014.02.17.), 진도 여객선 침몰 사건(2014.04.16.)]에 대해 시각적 분석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용자는 쉽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을 보였다.

Spatio-Temporal Trends in Temperature, Acidification and Dissolved Oxygen in Lower Mekong Basin for 1985-2005

  • Ratanavong, Nilapha;Lim, Sam-Sung;Lee, Hyung-Seok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2
    • /
    • 2011
  • 침전물 변화의 이해는 수질모니터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수질 변수는 시공간에 의해 변하므로 시간분석이나 공간분석 한 가지만으로는 모형화하거나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05년까지 메콩강 하류 유역에서 수집된 침전물 기록과 공간 자료를 근거로 온도, 페하 수준 및 용존산소 수준을 파악하고, 역거리가중법을 이용하여 시공간 경향과 시각 분석을 평가하고자 한다. 그 결과, 온도와 페하의 최대값은 이 기간 동안 큰 변화없이 나타났고 최대 용존산소는 2002년까지 점점 증가하여왔다. 최소 페하와 용존산소는 이 기간 동안 불안정한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역거리가중법 보간을 이용한 경향 분석에서는 연구 지역의 전반적인 수온이 계속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페하는 1993년부터 2005년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용존산소농도는 1989년 이후 증가하였고 2002년부터는 많이 확산되지 않았다.

수질오염총량제 대응을 위한 경남 하천 수질의 시공간 경향성 분석 (Analyzing the Spatio-temporal Trend in TMDL Water Quality for Gyeongnam Using Emerging Hot Spot Analysis)

  • 선단비;김지호;김상민;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53-65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water quality of national and regional 1st rivers in Gyeongnam by analyzing the emerging hot spot patterns in BOD, T-P, and TOC, and by grouping the changing trends into clusters. The emerging hot spot analysis for each water quality item was implemented in ArcGIS Desktop with monthly water quality data from 96 water environmental monitoring stations in Gyeongnam, and then four patterns of water quality change were classified by the K-mean cluster analysis. As for BOD, persistent cold spot pattern covered about 42.9% of target rivers, and T-P concentration tended to be low or be getting lower at over 70% of target rivers. While, for TOC, about 70% of target rivers resulted in oscillating hot spot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had the top priority in term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because of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for all the three water quality.

우리나라 5대 대설지역의 적설량 변화 분석 (Spatio-temporal Analysis of Snowfall for 5 Heavy Snowfall Areas in South Korea)

  • 김샛별;신형진;하림;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103-111
    • /
    • 2012
  • 본 연구는 5개의 대설지역을 울릉도(a), 영동북부(b), 서태백산맥(c), 소백산맥북서부(d), 남해안(e)으로 구분하여 30년(1980-2010)동안의 최심신적설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30년 동안의 적설량과 빈도를 분석한 결과, c와 d의 일부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980년부터 2000년까지의 기간(A)과 1990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B)으로 구분하여 공간적 경향성을 비교한 결과, A에서 B기간까지 대설경보의 빈도수는 c와 d지역의 일부 지역에서 B기간 동안 감소한 경향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연평균 적설량은 A기간부터 B기간까지 b지역이 증가하는 동안 d지역은 감소하여 지역간 큰 격차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하였다.

공간통계를 이용한 공주시의 시공간적 지가변화패턴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 Pattern of Spatio-Temporal Land Price in Gongju City Using the Geostatistical Methods)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3-99
    • /
    • 2012
  • 본 연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에 따라 이에 편입되는 지역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한 공주시를 대상으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패턴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2005년, 2010년을 기준시점으로 209개의 동/리별 평균지가를 산출하여 GIS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공간통계기법의 일종인 크리깅 보간에 의한 5년 단위의 지가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둘째, 동서축과 남북축의 방향별 변화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경향분석(trend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시점별 지가중심점의 이동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지가를 가중치로 하여 가중평균중심점(weighted mean center)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지목(Land Category)별 지가변화추세는 행정중심복합도시에 편입되는 동부지역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심점의 이동방향 역시 동북부지역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GIS와 RS를 이용한 농촌지역 토지이용 및 도시화 변화현상의 시공간 탐색 - 용인 및 안성지역을 중심으로 -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land-use and urbanization in rural areas using GIS and RS - Case studies of Yongin and Anseong regions -)

  • 고옥결;김대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53-16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land-use and urbanization in Yongin and Anseong regions, Kyunggi Province, using three Landsat-5 TM images for 1990, 1996, and 2000. Remote sensing (R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iques were used for image classification and result analysis. Six land-use types were classified using supervise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In the two study areas, the land-use chang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decrease of arable land and forest and increase of built-up area. Spatially, the urban expansion of Yongin region showed a spreading trend mainly along the national road and expressways. But in Anseong region the expansion showed 'urban sprawl phenomenon' with irregular shape like starfish. Temporally, the urban expansion showed disparity - the growth rates of urbanized area rose from the period 1990-1996 to 1996-2000 in both study areas. The increased built-up areas were converted mainly from paddy, dry vegetation, and forest.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uicide Risk in Iran: A Bayesian Hierarchical Analysi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 Nazari, Seyed Saeed Hashemi;Mansori, Kamyar;Kangavari, Hajar Nazari;Shojaei, Ahmad;Arsang-Jang, Shahram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2호
    • /
    • pp.164-172
    • /
    • 2022
  • Objectives: We aimed to estimate the space-time distribution of the risk of suicide mortality in Iran from 2006 to 2016. Methods: In this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the age-standardized risk of suicide mortality from 2006 to 2016 was determined. To estimate the cumulative and temporal risk, the Besag, York, and Mollié and Bernardinelli models were used. Results: The relative risk of suicide mortality was greater than 1 in 43.0% of Iran's provinces (posterior probability >0.8; range, 0.46 to 3.93). The spatio-temporal model indicated a high risk of suicide in 36.7% of Iran's provinces. In addition, significant upward temporal trends in suicide risk were observed in the provinces of Tehran, Fars, Kermanshah, and Gilan. A significantly decreasing pattern of risk was observed for men (β, -0.013; 95% credible interval [CrI], -0.010 to -0.007), and a stable pattern of risk was observed for women (β, -0.001; 95% CrI, -0.010 to 0.007). A decreasing pattern of suicide risk was observed for those aged 15-29 years (β, -0.006; 95% CrI, -0.010 to -0.0001) and 30-49 years (β, -0.001; 95% CrI, -0.018 to -0.002). The risk was stable for those aged >50 years. Conclusions: The highest risk of suicide mortality was observed in Iran's northwestern provinces and among Kurdish women. Although a low risk of suicide mortality was observed in the provinces of Tehran, Fars, and Gilan, the risk in these provinces is increasing rapidly compared to other regions.

우리나라 강풍의 기후학적 시공간 변화 특성 (Climatological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trong Wind in Korea)

  • 김현욱;김백조;남형구;정종혁;심재관
    • 대기
    • /
    • 제30권1호
    • /
    • pp.47-57
    • /
    • 2020
  • In this study, the climatological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3 to 2018 was analyzed using daily maximum wind speed and daily maximum instantaneous wind speed data recorded at 61 observations. Strong wind and gust wind were defined as 14 m s-1 and 20 m s-1, which are the same as the KMA's criteria of special weather report. The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nce was divided into regions with the higher 25 percent (Group A) and the lower 75 percent (Group B). The annual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nce tended to be decreased in most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Group A with stations located at coastal region, strong wind and gust wind occurred most frequently in winter with higher frequency at 1200~1600 LST and 2300~2400 LST due to influence of East Asian winter monsoon. In addition, a marked decreasing trend throughout the four seasons was shown at Daegwallyeong, Gunsan and Wando observations. In contrast, it can be found in Group B that the monthly frequency of strong wind and wind gust occurrence was higher in August and September by effect of typhoon and hourly frequency was higher from 1200 LST to 1800 LST.

Spatio-Temporal Variation of Soil Respir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Bluepine Forest of Western Bhutan

  • Cheten Thinley;Baghat Suberi;Rekha Chhet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13-19
    • /
    • 2023
  • We investigated Soil respiration in Bluepine forest of western Bhutan, in relation to soi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soil pH and it was aimed at establishing variability in space and time. The Bluepine forest thrives in the typical shallow dry valleys in the inter-montane Bhutan Himalaya, which is formed by ascending wind from the valley bottom, which carries moisture from the river away to the mountain ridges. Stratified random sampling was applied and the study site was classified into top, mid, low slope and further randomized sample of n=20 from 30 m×30 m from each altitude. The overall soil respiration mean for the forest was found 2248.17 CO2 g yr-1 and it is ~613.58 C g yr-1. The RS from three sites showed a marginal variation amongst sites, lower slope (2,309 m) was 4.64 μ mol m-2 s-1, mid slope (2,631 m) was 6.78 μ mol m-2 s-1 and top slope (3,027 m) was 6.33 μ mol m-2 s-1 and mean of 5.92 μ mol m-2 s-1, SE=0.25 for the forest. Tempor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were observed more pronounced than in the space variation. Soil respiration was found highest during March and lowest in September. Soil temperature had almost inverse trend against soil respiration and dropped a low in February and peak in July. The moisture in the soil changed across months with precipitation and pH remained almost consistent across the period. The soil respiration and soil temperature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R2=-0.61, p=0.027 and other variables were found insignificant. Similar relationship are reported for dry season in a tropical forest soil respiration. Soil temperature was found to have most pronounced effect on the soil respiration of the forest under study.

지역 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패턴 비교 (A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 Pattern of Sea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egional Scale in the South Sea of Korea)

  • 윤동영;최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2-193
    • /
    • 2011
  • 지역 규모에 따른 한국 남부해역 표층 수온의 시 공간적 변동 패턴을 비교하고자 시기적으로는 31년간(1980~2000)의 동계와 하계를, 지역적으로는 남부해역 전체 해역(A 지역)을 비롯하여 제주도를 중심으로 서부 해역(B 지역)과 동부 해역(C 지역) 등 세 해역을 선정하였다. 수온의 시간적 변동 패턴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수온의 공간적 변동패턴 분석을 위해서는 수온의 가중평균중심과 표준편차타원체 분석이 각각 적용되었다. 수온의 회귀분석 결과 세 지역에서 두계절 모두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31년 평균수온이 하계에는 세 지역 모두 유사하였지만, 동계에는 C 지역이 B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두 계절 수온의 공간적 변동 패턴은 세 지역에서 각기 다름을 보였다. A 지역에서는 동-서 방향, B 지역에서는 남동-북서 방향, C 지역에서는 남서-북동 방향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동계에 수온의 가중평균중심 위치와 평균 수온과의 관계가 A와 B 지역에서는 상관성이 있는 반면, C 지역에서는 상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온의 시 공간적 변동패턴 분석 시 지역적 규모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