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temporal variation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5초

진해만 빈산소수괴의 경년변동 특성 (Annual Variation in Oxygen-deficient Water Mass in Jinhae Bay, Korea)

  • 이인철;오유진;김헌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4-139
    • /
    • 2008
  • To improve the oxygen-deficient water mass (ODW),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the water quality and characteristic of ODW occurrence were analyzed using yearly water quality data from 1989 to 2006 in Jinhae Bay, Korea. In addition, we estimated $ODW_{area},\;ODW_{vol.}$ and $ODW_R$ for Jinhae Bay. The overall water quality improved during the 2000s, based the annual variation in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etc. A cluster analysis classified Jinhae Bay into the southwestern, central, northern, and eastern regions. ODW occurred throughout the southwestern region in 1993 and 2002-2004, and the estimated $ODW_{vol.}$ was about $1.92km^3$. ODW did not occur in the eastern region because circulating seawater was exchanged in that part of Jinhae Bay. As ODW was generated every year in the southwestern region, this is the most polluted area in Jinhae Bay. The ODWR decreased in the northern region, showing that the water quality there has improved since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began operating in 1994.

In-situ and remote observ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off the Korean coast

  • Ahn Yu-Hwan;Shanmugam P.;Ryu Joo-H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53-556
    • /
    • 2004
  •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in complex coastal ecosystems, off the southern Korean coast,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data obtained from SeaWiFS and AVHRR as well as in-situ observations. Hydrographic parameters measured using CTD sensors were used to elucidate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chlodinium.p blooms. The results show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hlorophyll-a (Chl-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reveal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Cochlodinium.p blooms and process underlying their evolution. Satellitederived Chl-a estimates appear to be potential in explicating the evolution,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the enclosed bays of the South Sea. The existence of thromohaline waters offshore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apid growth and subsequent southward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that are influenced to flow on the offshore branch (OB) during September.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un-induced chlorophyll-a fluorescence signal in the remote sensing fluorescence spectra and its high-intensity was recognized during the period of exponential growth and physical transport. Satellite-derived Chl-a concentration during September 1999 ranged between $3­60mg/m^3$ inside the Jin-hae and adjacent Bays and $1-6mg/m^3$ in offshore waters, with varying Cochlodinium.p abundances 1500 to 26000 cells $ml^{-1}.$ The closely spaced CTD surveys and satellite-derived SST give a complete overview on the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hydrodynamically active regions of the offshore southern East Sea by the influence of Tsushima Warm Current (TWC).

  • PDF

격자기반의 토양수분 추적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추정기법 개발 (Groundwater Recharge Assessment via Grid-based Soil Moisture Route Modeling)

  • 김성준;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61-72
    • /
    • 2000
  •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격자기반의 일변 토양수분 추적기법을 모델링하였다. 본 모델은 GRASS-GIS를 이용하여 모델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모델은 이들을 ASCII 형태로 받아들여 일별 수행결과(유역출구에서의 유출량, 지표유출 분포도, 토양수분 분포도 등)들을 GRASS상에서 도시하여 주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보청천유역의 일부인 이평교 유역($75.6\;\textrm{km}^2$)을 대상으로 모델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95년 및 '96년도의 IHP유역 연구보고서 자료를 이용하여 실측 일유출자료와 모의 일유출자료를 비교하였다. 일단위 및 월단위의 유역 토양수분의 변화양상을 공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기법을 이용하여 1995년도 보청천의 이평교유역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다.

  • PDF

산지사면의 효과적인 토양수분 측정을 위한 흐름분배 알고리즘과 TDR을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망의 구성 (Development of Soil Moisture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Soil Moisture Measurement for Hillslope Using Flow Distribution Algorithm and TDR)

  • 강창용;김상현;정성원;김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31-41
    • /
    • 2004
  • 국내산지사면의 토양수분 시공간적 분포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토양수분 측정법이 개발되었다. 대상유역을 정밀측정하여 수치고도모형을 구성한 다음 흐름분배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공간적 변화의 대표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측정체계를 구축하였다. 토양수분이 강우-유출형성과정에 기여하는 기작을 표현하는 유도과정도 전개되었다. 측정은 설마천 유역의 법륜사 우측사면에서 수행되었다. 다중 측정망의 운영을 통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토양수분 자료를 획득하였다. 습한 조건에서 토양수분이 토양수분 추정 알고리즘과 비교적 높은 상관도를 보여주었다.

경기도 지역 농경지의 천부 지하수 내 질산염 오염특성과 변화 (Variation in Nitrate Contamination of Shallow Groundwater in a Farmland in Gyeonggi-do, Korea)

  • 이은재;우남칠;이병선;김양빈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4호
    • /
    • pp.393-403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서 유기비료로 살포되는 축산 분뇨가 농경지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 변화를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의 한 농경지에서 200길 2월, 4월, 6월, 10월에는 관측정을 통한 지하수위 관측과 함께 지하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봄-여름-가을로 이어지는 계절과 축분을 뿌리는 시기에 따라서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현상의 변화는 축분을 가장 많이 뿌리는 시기인 4월에 질산성 질소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수 내 Mn, Fe 등의 농도와 용존 유기물함량(DOC) 등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천부 지하수의 산화-환원상태와 대수층 내 미생물의 활성도가 연구부지 지하수 내 질산성 질소의 농도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강우공간상관구조의 변동 특성 (On the Variation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 김경준;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2호
    • /
    • pp.943-956
    • /
    • 2007
  • 강우장의 특성을 정량화하는 여러 통계적 특성치 중에 자주 사용되는 공간상관함수(또는 공간상관도)는 강우의 평가나 설계 그리고 강우장을 모형화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강우의 공간상관 구조는 여러 요인에 의해 많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강우의 공간상관구조에 대한 변동특성은 유역을 대표하는 공간상관구조를 결정하는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월별, 자료의 시간간격별로 공간상관도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유역인 금강유역의 28개 강우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무강우자료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결과, 세 가지의 경우(Case A, B, C) 중에서 Case A(+,+)의 경우가 #0#에 대한 공간상관함수의 왜곡이 최소가 되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경우이다.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규분포보다는 이론적 그리고 실증적으로 더 적절한 대수정규분포를 사용해야 함이 바람직하다. (3) 월별 공간상관함수 중 지수함수적인 감소경향이 가장 뚜렷한 7월의 경우가 유역을 대표하는 공간상관함수로 적절하다. (4) 자료의 시간해상도별 공간상관도는 다르게 유도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한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Determining the Effect of Green Spaces on Urban Heat Distribution Using Satellite Imagery

  • Choi, Hyun-Ah;Lee, Woo-Kyun;Byun, Woo-Hyuk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127-135
    • /
    • 2012
  • Urbanization has led to a reduction in green spaces and thus transformed the spatial pattern of urban land use. An increase in air temperature directly affects forest vegetation, phenology, and biodiversity in urban area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nging land use patterns and urban heat distribution (UHD) in Seoul on the basis of a spatial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assess the functions of green spa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reen space. In addition, we estimated the influence of green space on urban temperature using Landsat 7 Enhanced Thematic Mapper Plus (ETM+) imagery and climatic data.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UHD differences cause differences in temperature variation and the spatial extent of temperature reducing effects due to urban green space. The ratio of urban heat area to green space cooling area increases rapidly with increasing distance from a green space boundary. This shows that urban green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mitigating urban heating in central area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 by characterizing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temperature associated with urban green spaces.

Source Identific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of an Agricultural Site, Jeungpyeong, Korea

  • 전성천;이강근;배광옥;정형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63-66
    • /
    • 2003
  • This study applied a hydrogeological field survey and isotope investigation to identify source locations and delineate pathway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nitrogen compounds. The infiltration and recharge processes were analyzed with groundwater-level fluctuation data and oxygen-hydrogen stable isotope data. The groundwater flow pattern was investigated through groundwater flow modeling and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oxygen isotope data. Based on the flow analysis and nitrogen isotope data, source types of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re identified. Groundwater recharge largely occurs in spring and summer due to precipitation or irrigation water in rice fields. Based on oxygen isotope data and cross-correlation between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changes, groundwater recharge was found to be mainly caused by irrigation in spring and by precipitation at other times. The groundwater flow velocity calculated by a time series of spatial correlations, 231 m/yr, is in good accordance with the linear velocity estimated from hydrogeologic data. Nitrate contamination sources are natural and fertilized soils as non-point sources, and septic and animal wastes as point sources. Seasonal loading and spatial distribution of nitrate sources are estimated by using oxygen and nitrogen isotopic data.

  • PDF

동중국해에서 위성에서 추정된 10년 동안의 표층 입자성 유기 탄소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Satellite-derived 10-year Surfac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 the East China Sea)

  • 손영백;이태희;최동림;장성태;김철호;안유환;유주형;김문구;정섬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1-437
    • /
    • 2010
  • SeaWiFS자료를 Maximum Normalized Difference Carbon Index(MNDC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된 particulate organic carbon(POC)는 장강에서 유입된 담수의 영향을 받는 동중국해에서 시/공간적 해양환경 변화를 조사하는데 사용했다. 10년 평균한 POC 농도는 (1997년-2007년) 뚜렷한 계절적 변화를 보인다. POC 경년 변화는 전체 지역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세 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평균한 결과에서 1998년 이후 꾸준한 감소를 보이는 장강과는 달리 감소되는 경향이 관측되지 않았다. 자세한 POC 시/공간적인 변화를 관측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여름철 (6월-9월) 자료를 선정하여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성분은 장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으로 공간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두 번째 성분은 장강의 유출량과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공간적으로 남-북 방향의 변화가 관측되었다.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상대적으로 높은 POC 분포는 연구지역 남쪽 부분에서 나타난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이런 변화는 연구지역 북쪽 부분에서 관측되었다. 장기적인 변화는 방류량의 감소에 의한 영향보다는 공간적인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현장 관측자료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GOCI-II 기반 저염분수 산출과 태풍 힌남노에 의한 시간별 염분 변화 (GOCI-II Based Low Sea Surface Salinity and Hourly Variation by Typhoon Hinnamnor)

  • 김소현;김대원;조영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2호
    • /
    • pp.1605-1613
    • /
    • 2023
  • 해양 내의 다양한 물리적 변화는 수온과 염분의 지속적인 변동에 의해 결정된다. 수온과 더불어 넓은 영역의 염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분을 관측하는 위성인 Soil Moisture Active Passive (SMAP)는 낮은 시·공간 해상도로 인해 연안 근처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해양환경을 관측하기에는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 해양 관측 위성의 정지궤도 해색 센서인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OCI-II) 원격반사도 자료를 입력자료로 하여 고해상도 표층 염분을 산출하는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PNN)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SMAP과 비교한 결과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는 0.94, 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0.58 psu 그리고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는 1.87%였으며, 공간적인 분포 또한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R2의 공간 분포는 0.8 이상을 보여주었으며 RMSE는 전반적으로 1 psu 이하의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어도 과학기지에서의 실측 염분값과도 비교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산출된 GOCI-II 기반 고해상도 염분 자료를 활용하여 2022년 11호 태풍 힌남노에 의한 하루 동안의 동중국해 표층 염분 변화를 표준편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SMAP에서 관측할 수 없는 시공간의 염분 변화를 고해상도의 GOCI-II 기반 염분 산출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시간 단위로 변화하는 해양환경 모니터링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