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usage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7초

GIS를 이용한 TMS측정망 분포의 적정성 분석 (The Allocation Analysis of TMS Using GIS)

  • 나영우;김중식;최병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1-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TMS측정망의 적정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대기오염자료를 이용하여 TMS 분포의 적정성을 분석한 결과 TMS 주위의 토지이용상태가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토지이용상태에 따른 분포의 적정성을 분석한 결과 현재 대부분의 측정소가 주거지역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TMS의 재배치 및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TMS를 적절한 위치에 이전하고 인구밀도에 따른 차등배분방법을 사용할 경우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할 측정소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관가정과 향단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사회·문화 및 조영자의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Gwangajung and Hyangdan - Focused on society·culture and consciousness of an architect -)

  • 조우용;이석권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A호
    • /
    • pp.119-126
    • /
    • 2010
  • The special character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been formed suitably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usage and function, which was influenced wit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atural, social, physical, cultural and thoughtful. There was some differences in building placement and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 such as climate, customs, and a gap of convention (long-established custom) and one's social position system and custom character of family. Howev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re nicely contain the era's architectural character. But these characters are developed or extinc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elements that formed social cultural element and background architect's thought. And,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re are looking for Occupation. A traditional architecture had been formed correspond with the purpose of usage and function, which was influenced with physical nature environment elements such as regional character, climate, customs and social cultural environment elements such as government,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houghtful elements.

  • PDF

A Study of Edge Detection for Auto Focus of Infrared Camera

  • Park, Hee-D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5-3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ge detection algorithm for auto focus of infrared camera.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dge detection of infrared image by using a spatial filter on FPGA. The infrared camera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the image processing time and usage of hardware resource because these days surveillance systems should have the fast response and be low size, weight and power. we applied the $3{\times}3$ mask filter which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usage of memory and the propagation delay to process filtering. When we applied Laplacian filter to extract contour data from an image, not only edge components but also noise components of the image were extracted by the filter. These noise components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focus state. Also a bad pixel of infrared detector causes a problem in detecting the edge components. So we propose an adaptive edge detection filter that is a method to extract only edge components except noise components of an image by analyzing a variance of pixel data in $3{\times}3$ memory area. And we can detect the bad pixel and replace it with neighboring normal pixel value when we store a pixel in $3{\times}3$ memory area for filtering calculation. The experimental result prov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to implement the edge detection for auto focus in infrared camera.

동행여부와 보행속도를 고려한 노인의 근린가로환경 이용특성 해석 - 망원동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Exploring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through Walking Companions and Walking Speeds - A Case Study of Mang-won Neighborhoods with the Elderly Focus Group -)

  • 허진아;이선재;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127-138
    • /
    • 2019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walking speed of elderly people by using the travel route big data collected by travel diary and smart phone application. We analyzed the change of walking behavior in the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of the elderly whether they had a company or not. We interpreted the mean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se of the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hange in spatial speed according to the companion. The result reveals that the usage patterns of the residential street environments change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accompanied or not. First, the elderly tend to do more social activities while walking alone than when they were accompanied. When they were accompanied the social activities occur in empty lot near the residential area. However,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occur in open space such as neighborhood park or playground while walking alone. Finally, This study has strength that it empirically analyzes the elderly's walking behavior and usage paths in small outdoor spaces, including residential streets.

토지이용규제 법률정보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Leg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Land Usage Regulations)

  • 이범석;문경원;홍성한;김의찬;황병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9-50
    • /
    • 2006
  •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토지정보 시스템은 사회의 발전과 사용자 요구사항이 증대함에 따라 토지의 소유뿐만 아니라 토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축적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적절한 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2003년 1월 정부는 국토에 관한 법률인 국토 이용관리법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개정하면서 비도시지역 즉, 준 도시지역, 준 농지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전지역에 대한 관리수준을 도시지역 관리수준으로 강화하였다. 또한, 개별법으로써 산림법과 산지관리법, 농지법, 건축법, 도시계획법 등의 시행으로 사실상 전 국토는 어떠한 개발행위를 하고자 할 때 엄격한 법률의 통제를 받게 되었으며, 관련되는 법률도 $5{\sim}10$가지나 된다. 이는 특정 토지에 대한 규제의 정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법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순히 해당 토지에 대한 규제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어떠한 조항이 적용되는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토지이용규제 법률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결과를 알기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 요구내용에 대한 결과를 필요한 부분만 요약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지식기반의 전문가시스템을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설계한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생성한 결과는 기존의 법률서비스에서 보여주던 것보다 더 간결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 PDF

관심 문자열 인식 기술을 이용한 가스계량기 자동 검침 시스템 (Automatic gasometer reading system using selective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이교혁;김태연;김우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2호
    • /
    • pp.1-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획득한 가스계량기 사진을 서버로 전송하고, 이를 분석하여 가스 사용량 및 계량기 기물 번호를 인식함으로써 가스 사용량에 대한 과금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응용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모바일 기기는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에 준하는 기기를 사용하였으며, 획득한 이미지는 가스 공급사의 사설 LTE 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 서버에서는 전송받은 이미지를 분석하여 가스계량기 기물 번호 및 가스 사용량 정보를 추출하고, 사설 LTE 망을 통해 분석 결과를 모바일 기기로 회신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내에는 많은 종류의 문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본 연구의 응용분야인 가스계량기 자동 검침과 같이 많은 종류의 문자 정보 중 특정 형태의 문자 정보만이 유용한 분야가 존재한다. 본 연구의 응용분야 적용을 위해서는 가스계량기 사진 내의 많은 문자 정보 중에서 관심 대상인 기물 번호 및 가스 사용량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검출하고 인식하는 관심 문자열 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관심 문자열 인식을 위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 기반의 객체 검출 기술을 적용하여 이미지 내에서 가스 사용량 및 계량기 기물번호의 영역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열 영역 각각에 CRNN (Convolu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 심층 신경망 기술을 적용하여 문자열 전체를 한 번에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관심문자열 기술 구조는 총 3개의 심층 신경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관심 문자열 영역을 검출하는 합성곱신경망이고, 두 번째는 관심 문자열 영역 내의 문자열 인식을 위해 영역 내의 이미지를 세로 열 별로 특징 추출하는 합성곱 신경망이며, 마지막 세 번째는 세로 열 별로 추출된 특징 벡터 나열을 문자열로 변환하는 시계열 분석 신경망이다. 관심 문자열은 12자리 기물번호 및 4 ~ 5 자리 사용량이며, 인식 정확도는 각각 0.960, 0.864 이다. 전체 시스템은 Amazon Web Service 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현하였으며 인텔 제온 E5-2686 v4 CPU 및 Nvidia TESLA V100 GPU를 사용하였다. 1일 70만 건의 검침 요청을 고속 병렬 처리하기 위해 마스터-슬레이브 처리 구조를 채용하였다. 마스터 프로세스는 CPU 에서 구동되며, 모바일 기기로 부터의 검침 요청을 입력 큐에 저장한다. 슬레이브 프로세스는 문자열 인식을 수행하는 심층 신경망으로써, GPU에서 구동된다. 슬레이브 프로세스는 입력 큐에 저장된 이미지를 기물번호 문자열, 기물번호 위치, 사용량 문자열, 사용량 위치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 큐에 저장한다. 마스터 프로세스는 출력 큐에 저장된 검침 정보를 모바일 기기로 전달한다.

증.개축에 따른 도시한옥 공간사용 방식의 변화에 관한 실태 조사연구 - 서울시 도시한옥의 DK화를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Change of Spatial Usage though Enlargment and Remodeling of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 Focused on Dining-Kitchen conversion of seoul Urban Traditional Residences -)

  • 김석우;구수영;김용범;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1-118
    • /
    • 2009
  •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are a type of habitation that happened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modernization of habitation had progressed in 1930s, and also a habitation folding societal trails that had adapted and developed into urbanization together with the native trait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s. Because they keep our style of living and the process of change just as they were, it is important work to shed light on and keep a record of it. So, this thesis arranges the contents of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living, and may try to reason by analogy the changing style of residents' living through the change of space composition and the way of space usage for the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that were changed by extension and remodeling of residents. As the concrete matters, it is to grasp the physical and spatial change of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in accordance with extension and remodeling, and to analyze in which part and how they had been changing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urban houses of traditional Korean sty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ving style, and especially the change toward a stand-up type of k stand-and the following traits and factors of the change toward Dining-Kitchen. The kitchen changed toward Dining-Kitchen shows some typical discrepanc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kitchen as like a case of changing toward Dining-Kitchen from the existing location, a case of extending into the rear side of kitchen, a case of switching of location between kitchen and the inner room, and a case of changing toward Dining-Kitchen from the location of a room across from the main living room. As kitchen changed toward Dining-Kitchen like these, it shows that the connecting trace into the inner room came out, each room came to show a bit clearer function but grow smaller relation with the threshing ground, and also the function of the threshing ground came reduced.

이동형 치과 X선 발생장치의 공간선량 분포 (Spatial Dose Distribution from Portable Hand-Held Dental X-Ray Equipment)

  • 한경순;안성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4-258
    • /
    • 2015
  • 치과병의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동형 치과 X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두경부 마네킹에 X선을 조사할 때 주변의 공간선량을 측정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형 X선 발생장치에 적용하여 측정된 공간선량을 상호 비교하며, 더불어 기기 및 위치별 공간선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동형 X선 발생장치의 평균 공간선량은 $37.51{\mu}Sv$로 고정형 X선 발생장치의 $10.77{\mu}Sv$보다 매우 높았다(p<0.001). 이동형 X선 발생장치의 기기별 공간선량은 $17.77{\mu}Sv$부터 $68.90{\mu}Sv$까지 큰 차이를 나타냈다(p<0.05). 위치별로는 직전 위치가 $54.14{\mu}Sv$로 가장 높았고, 직우 위치가 $13.60{\mu}Sv$로 가장 낮았으며, 직좌와 직후 위치는 $42.12{\mu}Sv$, $40.18{\mu}Sv$로 유사하였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이동용 치과 X선 발생장치는 이동 불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반드시 환자와 술자 모두 납 방어복을 착용하여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지목정보를 이용한 토지오염지역 분석 (Analysis of the Land Pollution Area Using Land Category Information)

  • 민관식;김홍진;김재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33-40
    • /
    • 2015
  • 최근 토지오염은 토지이용 현황에 따라 많은 환경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점 및 비점오염원 인자에 의한 토지오염 지역의 합리적 분석을 위해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른 지목정보를 이용하여 토양오염 지역을 분류하였다. 또한 지목정보 분석을 통해 토지오염원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었다. 이는 토양오염 실태조사 및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분류한 토지정보는 토양환경 관리와 보존을 위해 활용 되어지며 향후 토지의 이용규제와 합리적인 보존관리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Using Omnidirectional Images for Semi-Automatically Generating IndoorGML Data

  • Claridades, Alexis Richard;Lee, Jiyeong;Blanco, Ariel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19-333
    • /
    • 2018
  • As human beings spend more time indoors, and with the growing complexity of indoor spaces, more focus is given to indoor spatial applications and services. 3D topological networks are used for various spatial applications that involve navigation indoors such as emergency evacuation, indoor positioning, and visualization. Manually generating indoor network data is impractical and prone to errors, yet current methods in automation need expensive sensors or datasets that are difficult and expensive to obtain and process. In this research, a methodology for semi-automatically generating a 3D indoor topological model based on IndoorGML (Indoor Geographic Markup Language) is proposed. The concept of Shooting Point is defined to accommodate the usage of omnidirectional images in generating IndoorGML data. Omnidirectional images were captured at selected Shooting Points in the building using a fisheye camera lens and rotator and indoor spaces are then identified using image processing implemented in Python. Relative positions of spaces obtained from CAD (Computer-Assisted Drawing) were used to generate 3D node-relation graphs representing adjacency,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in the study area. Subspacing is performed to more accurately depict large indoor spaces and actual pedestrian movement. Since the images provide very realistic visualization, the topological relationships were used to link them to produce an indoor virtual t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