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ata processing

검색결과 983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공간계획 데이터 수급에 대한 이해당사자 인식조사 (Stakeholder Awareness of Rural Spatial Planning Data Utilization Based on Survey)

  • 리재웅;이상현;이성윤;김진성;취뤼;배승종;김수진;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25-37
    • /
    • 2023
  • According to the 「Rural Spatial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Support Act」, enacted on March 29, 2024, all local governmen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Rural Spatial Reconstruction and Regeneration Pl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ural Spatial Plan'). In order for the 'Rural Spatial Plan' to be appropriately established, this study analyzed the supply and demand of spatial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stakeholder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rural spatial planning data utilization. In conclusion, three key recommendations come from this result. Firs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DB for rural spatial planning data. This can solve the problem of low awareness of scattered data-providing websites, reduce the processing time of non-GIS data, and reduce the time required to acquire data by securing the availability of data search and download. In particula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establishment of a spatial analysis simulation system to support stakeholders'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at many stakeholders have difficulty in spatial analysis becaus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were not actively used in rural project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agreement system in 2020. Secondly, research on how to improve data acquisition should be conducted in each data sector. The data sector group with the lowest ease of receiving are 'Local Community Domain',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and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Daily Life Services'. Lastly,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raise each rural spatial planning data supply stakeholder to the position of player. Stakeholders of 'University Institutions' and 'Public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give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formulation of rural spatial plans access to the raw data collected for public work. Stakeholders of 'Private company' need to come up with realistic measures to build a data pool centered on consultative bodies between existing private companies and then prepare a step-by-step strategy to fully open it by participating various stakeholders. In order to induce 'Village Residents and Associations' stakeholders to play a leading role as owners and producers of data, personnel should be trained to collect and record data related to the village. In addition,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continue these activities.

효과적인 공간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SOA 기반 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SOA-based Data Integration Framework for Effective Spatial Data Mining)

  • 문일환;허환;김삼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5호
    • /
    • pp.385-392
    • /
    • 2011
  • 최근 농업 분야에 IT를 접목시킨 농업-IT 융합 기술에 대한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공간 데이터 마이닝(spatial data mining, SDM)을 이용한 농작물 관련 예측 서비스들을 통해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예측 서비스를 위한 SDM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는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간의 이질성으로 인해 데이터 변환과 통합과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한다. 또한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 간의 공간적 이웃 관계를 연산하기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에 대한 복잡한 연산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데이터 소스를 하나의 서비스 단위로 취급함으로써 분산된 이질적인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고 SDM을 위한 학습 데이터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최적의 예측 서비스의 발견을 지원해 주는 SOA 기반의 데이터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경기도 이천시의 복숭아나무의 동해 피해지역에 대한 최적의 예측 서비스의 발견을 위해 제안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선된 공간 해쉬 조인 알고리즘을 이용한 편중 데이터 처리 기법 (Skewed Data Handling Technique Using an Enhanced Spatial Hash Join Algorithm)

  • 심영복;이종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2호
    • /
    • pp.179-188
    • /
    • 2005
  • 지난 수년 동안 공간 데이터의 조인 연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조인연산 시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후보 객체의 여과 단계 처리에 중점을 둔다. 이 분야에 대한 여러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으며 대부분의 경우 공간 데이터의 조인 연산 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조인을 위한 입력 테이블의 객체들이 편중되어 분포할 경우 조인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의 편중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공간 조인 알고리즘 중 Spatial Hash Join 알고리즘과 SSSJ 알고리즘의 장점을 결합한 Spatial Hash Sip Joi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을 SHJ 알고리즘의 객체 분포에 기반한 공간 분할 특성과 공간 조인 시 SSSJ 알고리즘의 우수한 I/O 특성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HSJ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Tiger/line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존 SHJ 알고리즘과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으며 평가 결과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는 입력 테이블에 대한 공간 조인 연산 시 모든 평가 파라미터에 대해 기존의 SHJ 알고리즘보다 우수함이 검증되었다.

Spatial Data Analysis using the Kriging Method

  • Jang, Jihui;Hong, Taekyong;NamKung, Py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2호
    • /
    • pp.423-432
    • /
    • 2003
  • The data observed at different positions are called the estimate of interested variable at new observation point on the Kriging utilize the space estimate technique, in which case there is correlation spatially.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estimate for Variogram and Kriging methods as a field of kriging theory and dealt with actually measured data. And at the same time we forecast the amount of ozone that was not measured at this point by Kriging method and compared Ordinary Kriging method with Inverse Distance Kriging method.

LANDSAT DATA의 映像處理手法에 의한 서울-東豆川 간의 LINEAMENT 硏究 (A Geological Study on the Seoul-Dongducheun Lineament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achniques of Landsat Data)

  • 姜必鍾;智光薰;曺民肇;崔映燮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51
    • /
    • 1985
  • The study was emphasized on applic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lineament analysis. The major lineament of the study area belongs to Choogaryong faults which many geologists have studied since 1903. Also the lineament is so significant in geological views, because the lineament runs through Seoul area. The several ima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gradient, Laplacian and spatial filter have been applied, and the spatial filtering is most suitable method for lineament analysis among them. The lineaments distribute predominently in the N20.deg.-30.deg.E trend and N80.deg.-90.deg.W trend which have the conjugated relationship each other, and it coincides with the Gyeongsang conjugate system. The circular structure of study area was developed by cooling circular joint.

MRSPAKE : Hadoop MapReduce를 이용한 웹 규모의 공간 지식 추출기 (MRSPAKE : A Web-Scale Spatial Knowledge Extractor Using Hadoop MapReduce)

  • 이석준;김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1호
    • /
    • pp.569-58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Hadoop MapReduce 병렬 분산 컴퓨팅 환경을 이용해 개발한 공간 지식 추출기를 제안한다. 이 공간 지식 추출기는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임의의 두 공간 객체들 사이에 만족되는 위상 관계와 방향 관계를 나타내는 정성 공간 지식 베이스를 생성해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MapReduce 기반의 대용량 공간 지식 추출기 MRSPAKE는 HDFS 상의 분산 공간 데이터 파일에 대한 R 트리 색인과 범위 질의들을 이용함으로써, 웹 규모의 정성 공간 지식 베이스를 매우 효율적으로 추출해낸다. 대표적인 공개 데이터 집합인 Open Street Map(OSM)을 이용한 성능 분석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규모의 공간 지식 추출기 MRSPAKE의 높은 성능과 확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FRAMEWORK FOR QUERY PROCESSING OVER HETEROGENEOUS LARGE SCALE SENSOR NETWORKS

  • Lee, Chung-Ho;Kim, Min-Soo;Lee, Y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101-104
    • /
    • 2007
  • Efficient Query processing and optimization are critical for reducing network traffic and decreasing latency of query when accessing and manipulating sensor data of large-scale sensor networks. Currently it has been studied in sensor database projects. These works have mainly focused on in-network query processing for sensor networks and assumes homogeneous sensor networks, where each sensor network has same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framework for efficient query processing over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Our proposed framework introduces query processing paradigm considering two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of sensor networks: (1) data dissemination approach such as push, pull, and hybrid; (2) query processing capability of sensor networks if they may support in-network aggregation, spatial, periodic and conditional operators. Additionally, we propose multi-query optimization strategies supporting cross-translation between data acquisition query and data stream query to minimize total cost of multiple queries. It has been implemented in WSN middleware, COSMOS, developed by ETRI.

  • PDF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를 위한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플랫폼 (Spatial Data Stream Processing Platform for Ubiquitous Application Services)

  • 정원일;김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06-913
    • /
    • 2010
  •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들은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종합적인 정보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형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인 u-City 사업 등과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응용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지리적으로 광역의 분산된 형태로 설치 운영되므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들은 대량의 실시간 연속 데이터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u-GIS 서비스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해 지리정보를 갖는 센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대량의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플랫폼을 이용하여 미아방지서비스 구축하여 제안 기술이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 구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GOOD 2.0 : 공간 인덱스를 사용한 지리 데이타 관리기 (GOOD 2.0 : a Geographical Data Manager using Spatial indices)

  • 오병우;한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7-149
    • /
    • 1995
  •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공간 인덱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한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데이타 관리기인GOOD 1.0에 공간 인덱스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 인덱스 처리 모듈을 추가하여 GOOD 2.0을 설계 및 구현한다. 즉, 공간 인덱스로는 R tree 및 R* tree를 지원하여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효율성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능 평가를 길시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성능 평가 시에는 다양한 환경 요소들을 고려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 관리자가 해당 도메인에 적합한 공간 인덱스를 선택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Lattice형 공간정보의 선형모형 추정방법 (Estimation Methods for Linear Spatial Model on Lattice)

  • 권오룡;염준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53-159
    • /
    • 1996
  • 공간자료의 선형모형은 지역적 특성과 해당지역의 격자형태의 통계량을 처리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간모형을 추정하여, 희귀 분석방법과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공간정보의 모형추정은 최근에 국내 소개 되 었으며, 격자형 공간정보의 자기상관 여부는 Moran의 지수 및 이에 대한 Correlograms를 통하여 자료간의 인접성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모형의 희귀추정에서 상관 계수 $ ho$의 최우추정방법은 많은 컴퓨터 시간 및 경비가 소요되어 eigenvalue에 의한 방법으로 개선하였다. 캘리포니아주의 해안선과 육지지역의 식물종수에 대한 공간정 보의 희귀모형을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