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atial building model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7초

풍하중을 받는 테이퍼 고층건물의 진동변위응답 평가 (The Evaluation in Displacement Response of Tapered Tall Buildings to Wind Load)

  • 조지은;유기표;김종수;김영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01-108
    • /
    • 2005
  • 고층건물의 진동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 진동응답의 저감 연구는 건물의 외관을 병화 시키는 방법과 건물에 부가감쇠장치를 설치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고층 건물의 형태의 변화에 다른 진동변위응답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고층건물의 형태변화 중에서도 외관에 테이퍼를 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류의 특성은 도심 및 교외지역을 중심으로 풍동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Lifecycle Health Assessment Model for Sustainable Healthy Buildings

  • Lee, Sungho;Lim, Chaeyeon;Kim, Sunkuk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9-378
    • /
    • 2014
  • A system to analyze, assess and manage the health performance of resources and spaces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shall be established to ensure sustainable healthy buildings. Decisions made in the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O&M) phases must help sustain the health performance of buildings at the level specified by clients or the relevant law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to ensure the consistent management of performance, as such performance varies according to the decisions made by project participants in each pha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Lifecycle Health Assessment Model (LHA) for sustainable healthy buildings. The developed model consists of four different modules: the Health-friendly Resources Database (HRDB) module, which provides health performance data regarding resources and spatial elements; the Lifecycle Health-performance Tree (LHT) module, which analyzes the hierarchy of spatial and health impact factors; the Health Performance Evaluation (HPE) Module; and the Lifecycle Health Management Module, which analyzes and manages changes in health performances throughout the lifecycle. The model helps ensure sustainable health performances of buildings.

동적 특성을 고려한 상주 양진당의 구조 안전성 평가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Yangjindang in Sang-ju Using Vibration Characteristics)

  • 이가윤;이성민;김시윤;이기학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7-44
    • /
    • 2019
  • Yangjindang house, which is located in Sang-ju province of South Korea, is one of the special Hanok structures dated back to Joseon dynas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ructural safety of the Yangjindang wood frame building considering dynamic parameters such as the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The numerical model of the wood frame building is implemented using Midas Gen, especially the wood joint where column and beam were connected. The behavior of the actual frame building was compared with the modeling results. In addition, structure responses such as shear force, axial force, flexural moment and deflection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allowable limit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generally, despite of some local members shear failure, Yangjindang's structural response does not exceed the limitation according to current standards.

GIS 자료와 연계한 시나리오별 홍수피해액 분석 (Flood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enarios Coupled with GIS Data)

  • 이근상;박진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11
  • 우리나라는 홍수피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편법과 개선법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2004년도에 개발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이용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액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배수강제알고리듬에 기초한 횡단측선 레이어에 FLDWAV 모델을 이용한 홍수위 자료를 입력한 후 DEM 자료와의 공간연산 처리를 통해 침수심 격자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건물 레이어와 토지피복도에서 추출한 농경지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체별 건물과 농경지 자산가치를 평가하였다. 또한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도시유형별 가정용품 평가액, 농작물 단가정보, 사업체의 유형 및 재고자산 평가액 자료를 건물, 농경지, 침수심 레이어와 연계하여 항목별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홍수피해액 분석을 통해, 200년 빈도의 홍수피해액이 100년, 50년, 10년 빈도에 비해 각각 1.19배, 1.30배 그리고 1.96배 높게 나타났다.

공간통계모형을 이용한 소규모 도시 형태 변경에 따른 소음도 예측 (Road Traffic Noise Simulation for Small-scale Urban Form Alteration Using Spatial Statistical Model)

  • 류훈재;전범석;박인권;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84-290
    • /
    • 2015
  • Road traffic noise is closely related with urban forms and urban components, such as population, building, traffic and land-use, etc. He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exposure problem depending on how to plan new town or urban planning alteration. This paper provides ways to apply for urban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oise exposure through road traffic noise estimation for alteration of small-scale urban form.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from the former study is used as statistical model for noise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by the spatial statistical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by the engineering program-based modeling for 5 scenarios of small-scale urban form alteration. The error from the limitation of containing informations inside the grid cell and the difficulties of reflecting acoustic phenomena exists. Nevertheless, in the stage of preliminary design, the use of the statistical models that have been estimated well could be useful in time and economically.

BIM-BEMS 연계를 위한 M-BDL 기반 BIM 데이터 맵핑 (BIM data mapping based on M-BDL for BIM-BEMS connection)

  • 강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48-354
    • /
    • 2018
  • 최근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공간정보가 포함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잘 활용한다면, 사용자는 공간정보와 연계된 직관적 건물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BIM-BEMS 연계를 위한 MF(Model Filter)을 활용한 데이터 맵핑 방법인 M-BDL(MF-based BIM Data Linkage)제안한다. 최근 BEMS은 3차원 공간정보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간정보가 연계된 직관적인 건물 에너지관리가 가능하다. BIM 데이터를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요구사항 관점에서 필요한 BIM 데이터만 BEMS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Rich dataset인 BIM을 그대로 연계한다면 사용자가 불필요한 정보까지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주게 된다. M-BDL을 통해, 무거운 BIM 데이터에서 BEMS에 필요한 데이터만 맵핑함으로써, BIM데이터를 경량화할 수 있었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이 기술은 필요한 BIM 데이터만 필터링된 BIM 데이터와 BEMS 데이터베이스 간 연계할 수 있는 M-BDL 맵핑 방법을 제안한다.

건축문화재의 보존관리를 위한 BIM 기반 공간정보 분류체계 구성개념 - 목조를 중심으로 - (Classification System of BIM based Spatial Information for the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Wooden Structure -)

  • 최현상;김성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07-215
    • /
    • 2015
  • It seems obvious that the spatial information of existing architectural heritage will be re-structured utilizing BIM technology. In the future to be able to implement such task, a new system of classif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which fit to the structural nature of architectural heritage is necessary. This paper intend to suggest the conceptual model that can be the base of establishing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architectural heritage. For this study we reviewed researches related to classification system of architectural heritage (CS-AH) and BIM based architectural heritage (BIM-AH), first. As a result, we found that CS-AH is focused on building elevation and type, and BIM-AH is biased on the Library and Parametric Modeling. Second, we figured o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CS-AH and BIM-AH. From this analysis, we found that BIM-AH is biased on Library and Parametric since the building elevation and type was focused on CS-AH. This review suggests a potential of the 3D CS-AH to expand the range of research for BIM-AH. At last, we suggest the three concept of classification are: 1)horizontality-accumulation relationship, 2)structure-infill relationship, 3)segment-member relationship. These three concept, together as one system of classification, could provide useful framework of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for architectural heritage.

BIM기반 실내공간정보구축 및 위치정보 활용 서비스 동향 고찰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 김민철;장미경;홍성문;김주형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41-50
    • /
    • 2015
  • Increasing size and complexity of indoor structures have led to much more complication in the spatial cogni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Contrary to outdoor environments, occupants have limi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indoor space syntax in terms of architectural and semantic information as well as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surroundings. The availability of such information could give conveniences to both users and manager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visualize the exact location of rooms and utilities in 3D, many studies and projects have utilized BIM models because of its promising value of representing building components. In fact, the application of BIM provides definitive spatial indoor data and creates services for indoor space management and navig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practices on BIM-bas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mplement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enabling of technologies, data-rich content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products will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spatially-related markets in various fields.

점군집 데이터에 의한 3차원 객체도화의 자동화와 정확도 (Automatic 3D Object Digitizing and Its Accuracy Using Point Cloud Data)

  • 유은진;윤성구;이동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12
  • 최근 공간정보 기술은 정확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 왔다. 특히, 항공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점군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3차원 공간 데이터 구축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의 관심 분야이며, 객체 모델링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 모델링의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데이터의 생성이다.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건물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경사형, 피라미드형, 돔형, 복합 다각형과 같은 여러 복잡한 형태의 지붕으로 구성된 객체이다. 이 논문에서는 면교차점(Model key point) 결정을 통한 자동 건물 모델링을 위하여 지붕면 패치를 기하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분할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분할된 면들은 최적의 수학적 함수에 의해 모델링 되며, 객체를 구성하는 면교차점들을 추출할 수 있었고, 인공지물에 대한 수치도화 제작을 위한3차원 도화가 가능하였다.

공동주택 바닥판에 대한 실용적인 진동해석 (Practical Vibration Analysis for the Floor of Dwelling Building)

  • 박강근;김용태;최영화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5-73
    • /
    • 2006
  • 공동주택의 바닥 슬래브의 합리적인 진동평가를 위하여 보다 정확한 진동해석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바닥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재료에 따라서 상세하게 모델화하여야 한다. 실제 바닥 슬래브의 수치해석에 있어서 매우 상세하게 모델화하여 진동해석을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에서 공동주택의 표준바닥 슬래브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수치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