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milk-coagul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milk-clotting Enzyme Produced by Penicillium sp.

  • Koo, Sung-Keun;Lee, Sang-Ok;Lee, T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1호
    • /
    • pp.14-20
    • /
    • 1992
  • Som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oil, including some bacteria and fungi, were found to secrete an extracellular soymilk-clotting enzyme. Among them, an isolated fungus showed the highest soymilk-clotting activity and the strain was assigned to genus Penicillium based on its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ed as Penicillium sp. L-151K. Soymilk-clotting enzymes A and B produced by Penicillium sp. L-151K were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chromatographies on Sephadex G-25, CM-Sephadex, Sephadex G-100 and phenyl-Toyopearl gel. The two purified enzymes A and B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t pH 9.5. The molecular weights of enzyme A and B were 24, 000 and 40, 000, respectively, by gel filtration on Sephadex G-100. Enzymes A and B coagulated soymilk optimally at $60^\circ{C}$ and were stable up to $50^\circ{C}$. Both enzymes were most active at pH 5.8 for soymilk coagulation, and were stable with approximately 80% of original activity from pH 3.0 to 5.0. Each enzyme was an acidic protease with an optimum pH of 3.0 for casein digestion. The soymilk-clotting efficiency of these enzymes was improved with $CaCl_2\;or\;MgCl_2$ when making soymilk-curd.

  • PDF

고형 두유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Soymilk Yogurt and the Related Studies)

  • 오혜숙;이경혜;윤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4호
    • /
    • pp.175-181
    • /
    • 1981
  • 한국인의 기호에 맞고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대두 yogurt의 개발의 시도하였고, 그에 관련된 일련의 실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L. acidophilus, S. thermophilus, L. bulgaricus 세 균주는 모두 glucose galactose, lactose를 발효시켰다. 대두의 주요한 당인 sucrose는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에 의해 발효되었으나, L. bulgaricus는 sucrose를 이용하지 못하였다. 인체내에서 gas생성요인이 되는 raffinose와 melibiose 는 본 실험에 사용한 어느 균주에 의해서도 발효되지 못하였다. 2) 두유에서 유산군의 생육도를 조사한 결과 배양 초기에는 L. acidophilus가 가장 우수한 성장도를 보였으나, 배양 16시간 이후부터는 S. thermophilus도 비슷한 성장도를 현미경을 통해 혼합균주의 생육 정도를 관찰하였을 때 S. thermophilus가 대부분이었고, L. bulgaricus는 매우 드물었다. 배양 16시간 째에 L. bulgaricus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산도 0.6%, pH 4,6이 되도록 산을 생성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산도와 pH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S. thermophilus를 사용하여 우유 yogurt, 두유 yogurt, 우유 두유 yogurt를 제조하여 관능 검사를 한 결과 냄새에서 두유 yogurt가 우유 yogurt 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 풍미, 질감 등 관능 검사의 총 점수는 세 제품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 검사의 결과는 두유 yogurt가 새로은 식품으로 소개될 때 별 저항없이 받아들여질 것 으로 해석된다.

  • PDF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A Study on the Soybean Curd(Tofu) made from Defatted Soybean Flour)

  • 김진희;우은열;김강성;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2-27
    • /
    • 2006
  • 탈지 대두분을 이용하여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각 공정의 최적조건을 알아보았다. 탈지 대두분을 물과 1:9 (wt/wt)의 비율로 혼합하고 용액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탈지 대두분 두유를 $80^{\circ}C$ 이상으로 가열해야 응고제를 가할 경우 단백질이 응고현상을 보였으며 두부의 형태로 만들 수 있었다. 한편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 온도 $80^{\circ}C$에서 가장 높은 수율로 두부가 제조되었다. 두부의 수분 함량 역시 탈지 대두분 두유 가열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85{\sim}90^{\circ}C$에서 77%로 가장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80^{\circ}C$이상으로 탈지 대두분 두유를 가열하는 과정이 두부 제조에 필수적인 과정인 것으로 판단된다. 탈지 대두분 두유의 가열시간의 경우, 5분 미만일 때 응고현상을 나타내지 않았고 가열시간이 $5{\sim}10$분일때 두부의 무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1{\sim}10$분 사이일 경우 80%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10분을 초과할 경우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부를 $5{\sim}10$분 가량 가열하는 것이 대두 단백질의 변성이 충분하게 일어나고 두부의 수분 함랑도 적절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질을 20 g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무게와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으로 첨가하였을 때는 두부의 무게와 수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높은 지방 함량이 두부 조직과 물 분자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무게는 비례하게 증가되었고 12 g 이상 첨가된 두부의 무게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량은 견고성에 영향을 끼치는데 첨가량이 5 g일 때 가장 단단한 두부가 만들어졌으며 그 이상을 첨가하면 견고성은 감소하다 추가적인 글루코노 델타 락톤 첨가에도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고제 첨가온도에 따른 두부의 무게는 $75^{\circ}C$일 때 가장 많은 두부가 제조되었으며 $65^{\circ}C$의 낮은 온도나, $85^{\circ}C$의 높은 온도에서는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 역시 $75^{\circ}C$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고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에서는 비교적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저장성은 실온과 $4^{\circ}C$ 모두 저장시간이 경과할수록 colony 수가 증가하였다.

석회-소다회를 주입한 십자흐름 세라믹 한외여과공정을 이용한 경도 이온 제거 (Removal of Hardness Ions by Crossflow Ceramic Ultrafiltration Process with Adding Lime-soda Ash)

  • 박진용;박보름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도 이온의 화학적 침전을 위하여 지하수에 과량의 Lime-Soda ash를 주입하여 플럭(floc)을 형성한 다음 침전과정을 십자흐름(Crossflow) 방식의 관형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한외여과(UF) 공정으로 대체하였다. 그 결과 두유 포장팩 세척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의 총경도를 10 mg/L as $CaCO_3$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한편, TMP(Trans-membrane pressure) 및 유량 변화 실험에서 투과선속(Permeate flux, J) 및 무차원한 투과선속($J/J_0$) 변화를 조사하여, TMP 및 유량이 무기물로 형성된 응집 플럭에 의한 막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실험 범위에서 TMP 및 유량 변화가 막오염과 총경도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