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auce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9초

양조간장의 항산화작용 및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 문갑순;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37-542
    • /
    • 1987
  • 가열우육과 양조간장의 model system을 조제한 후 $6^{\circ}C$에서 5주간 저장할 때, 우육지방질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조간장의 조합비율을 1/10, 2/10, 3/10, 4/10, 5/10수준으로 달리 했을 때 그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발효숙성기간을 0, 2, 4, 6개월로 달리한것들을 조합했을때 숙성기간이 긴 것일수록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양조간장의 항산화효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리아미노산 함량, 총phenol량과 Maillard형 갈색반응 물질 등에 대하여 숙성기간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또 항산화성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갈변반응 물질이 가장 유력한 항산화효과의 원인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갈변물질과 환원력은 양조간장의 발효숙성 기간에 따라 항산화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저온 숙성에 의한 양념 돈육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Pork during Aging 8t Cold Temperature)

  • 하경희;안종남;주선태;박구부;성낙주;박기훈;김일석;진상근;정구용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7-402
    • /
    • 2005
  • 본 연구는 저지방 등심 부위를 이용한 양념 돈육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고기의 등심을 채취하여 $5\times15\times5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양념액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28일간 숙성하면서 양념육(seasoned pork with soy sauce base, T1 : seasoned pork with red pepper sauce base, T2; seasoned pork with soybean sauce base, T3)의 품질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된장 소스와 고추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의 pH는 숙성 1일부터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기간에 따른 pH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가는 된장 소스와 고추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은 숙성기간동안 감소한 반면,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은 증가하여 연도가 증가하였다. 간장과 고추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의 보수력은 감소한 반면 된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은 전 숙성기간 동안 유지되었으며, 가열 감량은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숙성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되었으며 된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가장 높은 소편화도를 간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가장 낮은 소편화도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추장 소스와 된장 소스로 양념한 돈육이 전단가, 보수력은 물론 근원섬유 소편화도가 높게 나타나 간장으로 양념한 돈육보다는 고추장이나 된장으로 양념한 돈육이 조직감을 개선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장류에 대한 서울 및 경기일부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Gyeonggi-do)

  • 김주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77-58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erception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s' indu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 to October 15, 2011 among 294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gender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was 33.3% males and 66.7% females. For a perception on traditional dietary life, the degree for enjoying meals with cooked rice as the staple food revealed that 32.3% of the subjects responded 'strongly agree'. The intake frequency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case of doenjang, 49.7% of the participants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21.4% consumed it once a week. For gochujang, 59.9%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19.0% consumed it once a week. The perception on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showed a low level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The reason for purchasing traditional foods showed that 77.6% of the subjects made purchases for convenience and 8.2% purchased it for its small package. For the subjects, the priority for purchasing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was as follows: in the first rank, ingredients & origin made up 33.7% and price comprised of 26.2% of the priority. Regarding satisfaction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high for gochujang.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for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an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for chin-ganjang, compared to the mal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picted that consumer's requirement was high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particularly for the safety of the products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was relatively positive yet, som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루우핀콩의 발효에 관한연구(I I) -한국 재래식 장유 제조시험 -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f Lupin Seed (II) -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been Sauce and Paste -)

  • Oh, Sung-Hoon;Lee, Cherl-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1-248
    • /
    • 1983
  • 본 실험은 대두콩 대신 루우핀콩으로 메주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면서 숙성기간 중에 일어나는 성분 변화를 측정함과 동시에 대두콩으로 제조한 메주와 그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완전히 익은 콩에 Asp. oryzae를 접종하여 개량식 메주를 제조하였고, 건조된 메주는 소금물에 담궈 4주동안 숙성시켜 간장과 된장을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숙성 기간중 단백질 분해효소와 전분 분해효소의 활성은 대두콩 메주에서보다는 루우핀콩 메주에서 더 높았으며,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에서의 증가는 발효된 된장과 간장의 $\alpha$-아미노태 질소 함량의 증가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숙성 중 간장의 색깔이 진한 갈색으로 되는 정도는 대두콩 메주와 비교할때, 루우핀콩 메주에서 더 빨랐다. 또한 이렇게 발효된 간장과 된장에 대해 관능검사한 결과 루우핀콩 된장은 전반적인 품질면에서 대두콩으로 제조한 된장에 비해 떨어졌으나 루우핀콩 간장은 전반적인 품질면에서 만족할 수 있었다.

  • PDF

조선시대 전반기의 두장류(豆醬類)에 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Jang (Fermented Soybean Sauce)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 한복려;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3
    • /
    • 2020
  • This study categorized and made considerations of the fermented soybean pastes into Meju, Chungjang, Si, mixed Jang, and other Jang in accordance with the manufacturing methods described in the fermented soybean paste section of Sangayorok (1450's), Suunjapbang (1540's) and Gyemiseo (1554). These are ancient cook book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tent on the fermented soybean pastes recorded in these books included 24 items in Sangayorok, 11 items in Suunjapbang, and 14 items in Gyemiseo.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fermented soybean paste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ere those used to produce soy sauce-like seasoning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 salty taste with Meju made of soybeans as the main ingredient.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such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history to the present era.

간장을 이용한 저염 야콘 장아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Low Salted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 심기훈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9-88
    • /
    • 2012
  •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low-salinity of traditional fermented food, we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 of low-salted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with sugar or vinegar for 50 days. Sugar content, titration acidity, and salinity of all Yacon Jangachi was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All of the Yacon Jangachi had less than 3.0% salinity. Especially, the salinity of the Yacon Jangachi with sugar and vinegar was the lowest during storage time. The L value was de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but the results of the a and b values were reversed. Cutting force was not significant among samples and storage periods.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of all samples were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preference of color was not significant among samples from 30 days but the taste was reversed. The preference of flavor was significant between samples in 40 days, texture was not significant during storage time. Overall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 after 30 days, which suggested that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retains overall preference in steady level from 30 days. Yacon Jangachi using soybean sauc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hen produced with sugar and vinegar.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과 양조간장의 대사 (Metabolism of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and Soybean Sauce)

  • 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3-339
    • /
    • 1994
  • The metabolic transit of three samples( 14C glycine-glyucose melanoidin, glycine-glucose melanoidin and soybean sauce ) were studied on rats. The radioactivity of various organs and excreta intubated 14C glycine-glucose melanoidin on rats at various intervals(1, 3, 8, 12, 24, 48, 72 and 96 hrs were detected . And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in the excreta which is obtained from three samples were detected during the 7 days after intubated. The total amount of 14C excreted in the fecese were 53% meaning that the rest of 47% melanoidin seemed to be retained in the body or metabolized . The radioactive compound showed a small retention in the liver and kidney.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in the urine and fece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activity of 14C. When the soybean sauce and glycine glucose melanoidin were intubated, the brown pigment contents excreted in the feces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fter 1 st day of intubation. In the urine, the model melanoidin was excreted mostly after 3 days of intubation. The brown pigment content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of three samples of excreta agreed with each other. The soybean sauce retained longer than model melanoidin in the body is telling that it might have antioxidative activity in vivo.

  • PDF

숙성 기간 및 절임원에 따른 고사리장아찌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during Korean Traditional Pickling Process)

  • 이인숙;최진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5-552
    • /
    • 2011
  • Fernbraken is a popular and well-known wild grass, but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ickling (Jangachi) during aging have been little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treated with a soybean sauce mixture for 6 weeks (1st pretreatment) as well as fermented with soybean paste, red hot pepper paste and soybean sauce for 7 weeks. Total polyphenol contents, acidity, salinity, sweetness (Brix), and ${\alpha}$-tocopherol of Fernbraken Jangachi all increased with aging period. On the other hand, pH and total acidity of Fernbraken Jangachi did not change much. Among the three kinds of Jangachies, Jangachi fermented with soybean sauce showed 2 fold higher salinity and total acidity levels compared to the others. Therefor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were dependent on the pickling properties, such as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or soybean sauce, and these properties maintained a certain level after 5~6 weeks of aging. Further, proper aging period for Fernbraken Jangachi was suggested as 10 weeks.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auce added with extracts of pear and sugar)

  • 박연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5-474
    • /
    • 2015
  • 이 연구는 배의 가공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당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2종 소스(간장소스와 된장소스)를 개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성을 알아보고 훈제오리와의 조화도를 평가하여 육류요리와 어울리는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종 소스는 이론적인 레시피와 다량조리 실험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최종 레시피를 결정하였다. 또한 된장소스는 관능평가에 재료의 입자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마늘과 양파를 0.2cm 크기로 다진 것과 분쇄기에 분쇄한 두 가지 형태(된장소스 I,II)로 제조하여 관능평가 실시하여 그 결과 최종 소스를 확정하여 이후 이화학적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된장소스 I이 강도 관능평가에서 향미, 색깔, 맛, 전체적인 품질이 더 높게 평가되었고(p<0.05) 기호도 평가에서는 색깔, 맛, 산미, 훈제오리와의 조화도, 전체적인 선호도 에서 된장소스 II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따라서 된장소스 I을 선택하여 차 후 이화학적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간장소스와의 관능평가 결과 이취, 색깔, 점도는 간장소스가 유의적으로 된장소스 I보다 더 높았으며(p<0.05) 냄새, 맛, 후미, 전체적인 품질은 된장소스 I이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두 소스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된장소스 I이 맛, 오리훈제와의 조화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p<0.05). 배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2{\pm}5mg/100g$ 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9.7{\pm}3.7%$,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14.2{\pm}7.5%$였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간장소스 $147.7{\pm}12.6mg/100g$, 된장소스 $156.2{\pm}13.4mg/100g$로 두 군이 유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43.6{\pm}6.3%$, 된장소스 $17.0{\pm}5.0%$로 간장소스의 활성이 높았고,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18.9{\pm}2.1%$, 된장소스 $17.0{\pm}9.0%$로 두 소스가 유사하였다. 개발된 두 소스의 저장성 평가에서 pH, 염도, 미생물, 색도의 변화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하지 않았고 당도는 간장소스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점도변화는 간장소스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도가 감소하였고,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소스의 점도변화를 안정화시키면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배와 배당침액, 마늘, 양파 등 각 소스 재료의 다양한 기능성분을 함유하면서 항산화활성이 높고 저장성이 안정적인 육류 요리 소스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한국(韓國) 재래식(在來式) 간장 및 된장에서 분리(分離)한 세균(細菌)의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 권오진;김종규;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422-428
    • /
    • 1986
  • 간장과 된장 중에 서식하는 세균이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의 독특한 향기와 주 맛성분인 아미노산과 유리당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연구하였다. 한국 재래식 간장과 된장 중에서 분리된 세군은 모두 Bacillus species이였다. 분리균은 각각 메주향, 한국 재래식 간장의 독특한 향인 짠 간장향 및 된장향을 생성하고, protease와 amylase 를 생성하므로 한국 재래식 간장 및 된장의 맛과 향기 생성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특히, B. licheniformis인 $SSB_3$는 좋은 짠 간장향을, B. polymnxa인 $SSB_4$, Bacillus sp. 인 $SPB_1$, B. brevis인 $SPC_2$ 및 B. lichemiformis인 $SPC_{2-1}$은 구수한 된장향을 각각 생성하였고, protease와 amylase도 상당수준 생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