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paste sauc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2초

호두와 참깨를 첨가한 된장 소스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oybean Paste Sauce with Walnuts and Sesame Seeds)

  • 주나미;정희선;윤지영;박상현;이선미;송윤희;이지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8-3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호두와 참깨를 첨가한 된장 소스를 개발하고, 이를 시금치 나물에 적용하여 천연 종실류 이용 된장 소스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호두와 참깨를 첨가한 된장 소스의 재료 분량을 결정하기 위해 된장과 찹쌀풀을 실험요인으로 하고 3수준으로 분류하여 9개의 시료를 제조하여 색도 및 점도를 측정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된장과 찹쌀풀의 함량은 된장 소스의 색도 및 점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각 요인의 주효과와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이 소스의 관능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된장 400 g, 찹쌀풀 400 g인 소스의 색($4.08{\pm}1.22$), 맛($4.72{\pm}1.24$), 점도($4.96{\pm}1.39$), 전반적인 기호도($4.24{\pm}1.51$)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소스를 메뉴에 적용하였다. 관능평가를 통해 분량이 결정된 호두와 참깨를 첨가한 된장 소스 시금치 나물과 일반 된장 시금치 나물의 관능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맛, 향, 소스와 재료의 조화, 전반 기호도 모두 천연조미료 이용 시금치 나물이 더 좋다는 비율이 높았고 맛(p<0.05), 전반적인 기호도(p<0.05)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로써 천연조미료를 이용하여 만든 된장 소스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Quality Properties of Beef Jerky Replaced Salt with Soy Sauce, Red Pepper Paste and Soybean Paste during Storage

  • Lim, Hyun-Jung;Jung, Eun-Young;Kim, Gap-Don;Joo, Seon-Tea;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1-188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beef jerky replaced salt with soy sauce, red pepper paste, and soybean paste. The quality properties of beef jerky including final water activity ($a_w$), moisture content, pH, color, shear force, total plate cou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investigated. The sliced beef samples were marinated in salt (control), soy sauce (T1), red pepper paste (T2), and soybean paste (T3) for 24 h and then dried at $70^{\circ}C$ for 6-8 h. The water activity of finished beef jerky varied from 0.72 to 0.70. The water activity for control and T1 samples decreased more rapidly as drying proceeded up to 6 h. The samples with salt replacement showed a lower pH and lightness than the control (p<0.05). The T1 sampl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plate counts after 21 d of storage (p<0.05). The TBARS for all treatments increased with storage days (p<0.05). The TBA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2 and T3 samples compared to control and T1 until 21 d of storage (p<0.05). The samples with salt replacement showed a lower intensity of saltiness than the control. Sensory evaluations found that the replaced soy sauce of beef jerky samples had better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an the other treatment samples. It was concluded that replacing salt with soy sauce can delay lipid oxidation and enhance the sensory acceptance of beef jerkies.

숙성 기간 및 절임원에 따른 고사리장아찌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during Korean Traditional Pickling Process)

  • 이인숙;최진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5-552
    • /
    • 2011
  • Fernbraken is a popular and well-known wild grass, but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pickling (Jangachi) during aging have been little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treated with a soybean sauce mixture for 6 weeks (1st pretreatment) as well as fermented with soybean paste, red hot pepper paste and soybean sauce for 7 weeks. Total polyphenol contents, acidity, salinity, sweetness (Brix), and ${\alpha}$-tocopherol of Fernbraken Jangachi all increased with aging period. On the other hand, pH and total acidity of Fernbraken Jangachi did not change much. Among the three kinds of Jangachies, Jangachi fermented with soybean sauce showed 2 fold higher salinity and total acidity levels compared to the others. Therefore,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ernbraken Jangachi were dependent on the pickling properties, such as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or soybean sauce, and these properties maintained a certain level after 5~6 weeks of aging. Further, proper aging period for Fernbraken Jangachi was suggested as 10 weeks.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된 목초액 첨가 장류의 품질향상효과 및 보존성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and the Preservation on Soybean Sauce and Paste by Adding Pyroligneous Liquor Trea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윤선경;이승진;윤성옥;박선영;김학경;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7-121
    • /
    • 2003
  • 4$0^{\circ}C$, 110 bar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목초액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타르, 탄화취 등의 유해 성분이 제거되었다. 이 정제 목초액을 천연보존제로써 간장 및 된장에 첨가하여 보존성을 관찰한 결과, 간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총균수가 적었으며, 간장 내에 있는 미생물이 어느 진도 성장에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보존성 및 품질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된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대체로 총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된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명도(L$^{*}$ )와 황색도(b$^{*}$ )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 )는 낮아 된장의 갈변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임계 기술로 추출한 목초액은 간장 및 된장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로써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저장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oy sauce and soybean paste sauce added with extracts of pear and sugar)

  • 박연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5-474
    • /
    • 2015
  • 이 연구는 배의 가공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배당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2종 소스(간장소스와 된장소스)를 개발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성을 알아보고 훈제오리와의 조화도를 평가하여 육류요리와 어울리는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종 소스는 이론적인 레시피와 다량조리 실험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최종 레시피를 결정하였다. 또한 된장소스는 관능평가에 재료의 입자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마늘과 양파를 0.2cm 크기로 다진 것과 분쇄기에 분쇄한 두 가지 형태(된장소스 I,II)로 제조하여 관능평가 실시하여 그 결과 최종 소스를 확정하여 이후 이화학적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된장소스 I이 강도 관능평가에서 향미, 색깔, 맛, 전체적인 품질이 더 높게 평가되었고(p<0.05) 기호도 평가에서는 색깔, 맛, 산미, 훈제오리와의 조화도, 전체적인 선호도 에서 된장소스 II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p<0.05). 따라서 된장소스 I을 선택하여 차 후 이화학적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간장소스와의 관능평가 결과 이취, 색깔, 점도는 간장소스가 유의적으로 된장소스 I보다 더 높았으며(p<0.05) 냄새, 맛, 후미, 전체적인 품질은 된장소스 I이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두 소스의 기호도 평가에서는 된장소스 I이 맛, 오리훈제와의 조화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았다(p<0.05). 배당침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2{\pm}5mg/100g$ 이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9.7{\pm}3.7%$,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14.2{\pm}7.5%$였다. 배당침액을 첨가한 소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간장소스 $147.7{\pm}12.6mg/100g$, 된장소스 $156.2{\pm}13.4mg/100g$로 두 군이 유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43.6{\pm}6.3%$, 된장소스 $17.0{\pm}5.0%$로 간장소스의 활성이 높았고, $ABTS^{{\cdot}+}$ radical 소거능은 간장소스 $18.9{\pm}2.1%$, 된장소스 $17.0{\pm}9.0%$로 두 소스가 유사하였다. 개발된 두 소스의 저장성 평가에서 pH, 염도, 미생물, 색도의 변화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하지 않았고 당도는 간장소스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점도변화는 간장소스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도가 감소하였고, 된장소스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소스의 점도변화를 안정화시키면 배당침액을 첨가한 간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배와 배당침액, 마늘, 양파 등 각 소스 재료의 다양한 기능성분을 함유하면서 항산화활성이 높고 저장성이 안정적인 육류 요리 소스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쌀된장 분말을 첨가한 돈가스 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Sauce Added with Rice Soybean Paste Powder)

  • 윤향식;주선종;김기식;김숙종;김성수;오문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2-476
    • /
    • 2006
  • 쌀된장분말의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쌀된장 분말 0, 1, 3, 5, 7%를 첨가하여 돈가스 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점도는 쌀된장 첨가량에 따라 $584\sim776$ cP의 범위에 속하였으며 염도는 $1.61\sim3.07%$의 범위에 속하였다. 명도는 쌀된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0.54에서 0.15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각각 2.61에서 0.36, 0.77에서 0.10으로 감소하였다. 쌀된장분말을 첨가한 돈가스 소스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62.1\sim73.0%$, 조단백질 $3.2\sim7.6%$, 조지방 $0.2\sim0.5%$, 당질 $9.1\sim12.1%$, 조섬유 $1.5\sim2.3%$, 조회분 $9.9\sim12.2%$를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쌀된장 분말 1%와 3% 소스는 시판소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Variation of 7S and 11S Seed Protein Concentrations in Different Food Types of Soybean Seed

  • So, Eun-Heui;Chae, Young-am;Kim, Yong-Ho;Yang, Moo-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54
    • /
    • 1999
  • Soybean varieties derived from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food types such as soybeans for vegetable, sprout, sauce and paste and soybeans with colored seed co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these fou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four groups. In 7S protein, the $\alpha$'-and $\alpha$-subunit concentrations did not vary among four groups, while a $\beta$-subunit concentration greatly varied. 7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40.6%)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and the lowest(37.7%) in soybean for vegetable, while 11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62.3%) in soybean for vegetable and the lowest (59.4%)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In view of the fact that 11S protein has much higher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than 7S protein, it was shown the soybeans for vegetable may have higher nutrition value than other groups.

  • PDF

국 종류에 따른 장류의 분양 결정과 조미료의 첨가효과 (A Study on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Fermented Soybean Foods in Various Korean Soups and the Effect of Condiments in Two Basic Stocks)

  • 정경숙;우경자;홍성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1986
  • This sudy was conductted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optimal amounts of soy tauce, soy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in 3 different Korean soups and comparing the effect of condiments such as salt, soy sauce, black pepper, and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taste of two basic Korean Stocks, The results estimated by Palatability Test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NaCl contents of two kinds of commercial soysauce were 15.9%, 25.6%, respectively. 2. The NaCl contents of 2% sardine stock, and 19% beef stock were 0.16~1.17%, 0.17~0.18% respectively. 3. @ According to Saltiness in sardine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 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soy sauce-group had higher score than salt-added group respectively. (p>.0.1) ⓑ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ysauce-added group and the salt-added group in Saltiness test. The soy sauce-added group had higher score in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p>.0.1). On other hand, in Overall Taste, the salt- 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oy sauce-added (p>.0.1). 4 @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lack pepper-added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added group had higher score than the non-added group, respectively. (p>.10, p>.0.5) ⓑ Also, according to Saltiness test in beef stock, there was no diffetrence between the MSG-added group and non-added group. However for the removing effect of Off-flavor, and Overall taste, the MSG-add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non-added group. (p>.01) 5. The best recipes of soybean sprouts soup for S persons, in this experiment, were soybean sprouts 180 g, sardine 28 g, soysauce 1/2 T.S., salt 7 g, green onion 15 g, choppedgarlic It. s., against 7 C of water, and total cooking time was 20 minutes. 6. The best recipes of clear-beef soup were beef 200 g, radish 200 g, tangle weed 10 g, sesame oil 1/2 t.s.,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black Pepper 1/8 1.s., and soy sauce 1 T.S., salt 7 g or soy sauce 2 T S., salt 3.5 g. The total cooking time was minutes. 7, The best recipes of soybean pasted Chinese cabbage soup were Chinese cabbage 300 g, sardine 28 g, green onion 15 g, chopped garlic 1 t.s., and bean paste 50 g, hot pepper paste 13 g, salt 3g or bean paste 65 g, hot pepper paste 16 g, salt 1.5 g. And the total cooking time was 25 minutes. 8. Soy sauce, black pepper, M.S.G., bean paste and hot pepper paste were effective on removing Off-flavor of experimental soups.

  • PDF

Characteristic Flavors of Korean Soybean Paste

  • Kim, Jong-Kyu;Seo, Jae-Soon;Chang, Ho-Geun;Lee, Sang-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4호
    • /
    • pp.277-284
    • /
    • 1993
  • We confirmed the character impact compounds of the flavors of the soybean paste manufactured with the traditional and improved Meju, respectively,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gas chromatography (GC), sniffing tests and GC-mass. The soybean paste made with the traditional Meju had 12 compound groups that smelled like the soybean paste flavor, whereas the soybean paste made with the improved Meju had 7 compound groups of soybean paste flavor smell. We were easily able to determine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soybean paste flavor compounds between the soybean pastes made with either the traditional or the improved Mejus because the two soybean paste flavor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 PDF

전통 양념을 이용한 소스의 냉장저장 중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 변화 (Changes of pH, Acidity, Preten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박기훈;김인진;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5
    • /
    • 2006
  • 본 연구는 간장(T1), 고추장(T2) 및 된장(T3) 소스를 제조한 후 $1{\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는 동안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pH는 된장 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산도는 고추장 소스가 간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저장14일까지 현저하게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는 된장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총 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장균은 간장 소스가 저장 1일에 검출되었으나 저장 7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고, 고추장과 된장 소스는 저장 1일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모든 양념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