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lipoxygenase inhibito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Lipoxygenase Inhibitors from Paeonia lactiflora Seeds

  • Kim, Hyo-Jin;Chung, Shin-Kyo;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63-166
    • /
    • 1999
  • Previously, the methanolic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seeds was shown to have strong ingibitory activity against soybean liposygenase (SLO). Four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by solvent fractionation Sephadex LJ-20 colum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and three of them showed strong SLO inhibitio and were characterized as trans-resveratrol, $\varepsilon$-viniferin and luteolin by UV, IR, 1H-NMR, 13C-NMR and MS spectrometry. trans-Resveratrol (IC50=1.02$\mu$M), $\varepsilon$-viniferin (IC50=0.81$\mu$M) and luteolin (IC50=10.01$\mu$M), first found in the above seeds, exhibited a potent SLO inhibitory activity although their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of a well-known lipoxygenase inhibitor,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IC50=0.57$\m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enia lactiflora seeds, now an unused plant seed, may be developed into useful sources of anti-inflammatory drugs.

  • PDF

Lipoxygenase와 Kunitz Trypsin Inhibitor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njang made from Soybean Cultivars Lacking Lipoxygenase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Protein)

  • 황초롱;이수정;강재란;권민혜;권효진;정종일;성낙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111-125
    • /
    • 2012
  • Lipoxygenase(LOX)와 kunitz trypsin inhibitor(KTI) 단백질이 결핍된 non-GM콩(개척#2, 진양콩 및 CJ#1)의 가공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콩(태광콩)을 대조로 하여 간장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콩의 일반성분은 시료간에 비슷한 조성을 보였으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태광콩에 비해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간장 중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태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총 질소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다. 무기물은 진양콩 및 CJ#1 간장, 아미노산은 3종의 LOX 및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높은 함량이었다. 간장의 갈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가장 높았으며, 황색도는 진양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간장의 종합적인 기호도는 단맛과 구수한 맛이 높았던 진양콩 간장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간장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 간장이 태광콩 간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 페놀 함량에 의존적이었으며,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개척#2 및 CJ#1 간장이 태광콩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Fe^{2+}$ 킬레이트 활성은 태광콩 간장이 여타 간장의 활성에 비해 높았으나, 진양콩 간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LOX와 KTI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은 일반콩 간장에 비해 영양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높아 기능성 가공식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Lipoxygenase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Paeonia moutan Seeds

  • Kim, Hyo-Jin;Chung, Shin-Kyo;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15-319
    • /
    • 1998
  • Previously, the methanolic extract of Paeonia moutan seeds was found to potently inhibit soybean lipoxy-genase (SLO). Hence to isolate SLO inhibitor, the defattd methaniolic extract of the seeds was consecutively partitioned wiht ether, ethyl acetate,n-butanol ,adn water. The ether souble fraction showing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SLO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a strongly acidic, a weakly acidic, and a neutral fractions. The strongly acidic components of the ether extract were successively subjected to chromatography on a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preparative HPLC. Four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 and twio of them showing a strong SLO inhibition activity were identified as luteolin (IC50=2.32$\mu\textrm{g}$/ml) and 5,6,4'-trihydroxy-7,3'- dimethoxylflavone (IC50=0.31$\mu\textrm{g}$/ml) by UV, IR, 1H-& 13C-NMR, and MS spectroscopy. In addition, two flavonoids showed significantly antioxidative activity as strong as that of of $\alpha$-tocopherol (p<0.05) in the autoxidation system of linole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luteolin and 5,6,4'-trihydroxy-7,3'-dimethoxy-flavone may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anti-inflammatory agent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 PDF

Tetra null 유전자형과 녹색종피 및 자엽을 가진 콩 계통 육종 (Breeding of Green Soybean Strain with Green Cotyledon and Tetra Null Genotype)

  • 리사랏;이정환;오현수;김세영;문진영;정종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632-638
    • /
    • 2023
  • 녹색종피와 자엽을 가진 녹색콩 품종 및 유전자원의 종실에는 눈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lutein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져 있다. 그러나, 리폭시게나제, 쿠니츠 트립신 억제제(KTI), 렉틴 및 스타키오스와 같은 항영양 성분이 존재한다. 콩 식품 제조시 이러한 항영양 성분을 불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고온 및 첨가제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성숙 종실의 종피 및 자엽이 녹색이며 리폭시게나제, KTI 및 렉틴의 3가지 단백질이 모두 부재하면서 스타키오스의 함량이 매우 낮은 tetra null 유전자형(lox1lox2lox3tilers2)을 가진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섯가지 유전자형을 이용한 육종집단으로부터 녹색종피 및 자엽을 가지면서 lectin 단백질이 없는 triple null 유전자형(lox1lox2lox3tile)을 가진 21개의 F2 종자가 선발되었다. DNA 마커를 이용하여 rs2rs2 유전자형을 가져 tetra null 유전자형인 4개의 F2식물체가 선발되었으며 종자 형질이 양호한 한 개의 계통이 선발되었다. 선발계통의 F6 종자에서 리폭시게나제, KTI 및 렉틴 단백질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선발계통은 녹색종피, 녹색자엽 및 흰색배꼽을 가지고 있으며 백립중은 30.7 g 스타키오스의 함량은 2.40 g/kg으로 매우 낮았다. 선발계통은 리폭시게나제, KTI 및 렉틴의 3가지 단백질이 모두 없으며, 스타키오스의 함량이 낮은 유색콩 품종 개량을 위한 모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갈색종피와 녹색자엽 및 Tetra Null 유전자형을 가진 콩 계통 선발 (Selection of a Soybean Line with Brown Seed Coat, Green Cotyledon, and Tetra-Null Genotype)

  • 리사랏;오현수;김세영;이정환;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14-120
    • /
    • 2023
  • 갈색종피와 녹색자엽을 가진 품종 및 유전자원의 성숙 종실에는 눈 건강에 유익한 루테인 성분과 항산화 효과를 가진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져 있다. 그러나, 렉틴, 7S α′ subunit, 리폭시게나제 및 쿠니츠 트립신 억제제(KTI) 단백질 같은 항영양 성분이 존재한다. 이러한 항영양 성분을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콩 식품 제조 및 가공시 고온 및 첨가제 처리가 필요하지만 여러 가지 단점이 수반된다. 따라서, 갈색종피와 녹색자엽이면서 성숙 종실에서 렉틴, 7S α′ subunit, 리폭시게나제 및 KTI의 4가지 단백질이 모두 부재한 tetra null 유전자형(lecgy1lox1lox2lox3ti)을 가진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4개의 품종과 1개의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육종집단 창성을 위한 두 모본이 선발되었다. 전체 58개의 F2 식물체로부터 DNA 마커를 이용하여 lele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선발된 후 갈색종피와 녹색 자엽이면서 7S α′ subunit 단백질이 부재한 F3 종자가 선발되었다. 선발된 F3 종자는 F3 식물체를 거쳐 3개의 계통으로 육성되었다. 3개의 선발 계통(S1, S2, S3)에 대하여 F6 종자에서 렉틴, 7S α′ subunit, 리폭시게나제 및 KTI의 4가지 단백질에 대한 유전적 부재가 검정되었다. 3개의 선발 계통은 갈색종피, 녹색자엽 및 흰색배꼽을 가지고 있으며 백립중은 26.4-30.9 g으로 대조품종인 '청자3호'의 36.0 g보다 작았다. S2 선발 계통은 백립중이 30.9 g으로 대립이며 콩에서 항영양성분으로 알려진 lectin, 7S α′ subunit, lipoxygenase 및 KTI의 4가지 단백질 모두 부재한 유색콩 품종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자연발효(自然醱酵) 대두식품(大豆食品)의 영양적(營養的) 가치(價値)와 그의 제조(製造) 중(中)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 (Nutritional Evaluation of Naturally Fermented Soybean and the Enzymatic Activity Changes during the Preparation)

  • 이상열;민용규;박관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07
    • /
    • 1983
  • 한국산(韓國産) 대두(大豆) 4품종(品種)을 $25^{\circ}C$에서 1일(日)에서 7일(日)까지 자연발효(自然醱酵)시키며, 영양가와 효소활성의 변화 및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를 조사하고 식미검사(食味檢査)를 하였다. 대두(大豆)의 자연발효 중 pH는 6.48에서 3.93으로 떨어졌고, 적정산도는 0.3%에서 1.94%로 증가하였다. 또는 riboflavin, relative nutritive value, available lysine 함량(含量)은 각각 98에서 $309.4{\mu}g/$/100g D. B, 78.66에서 94.59%, 6.56에서 7.38mg/gN으로 상당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프로테아제(protease) 역가(力價)는 $2{\sim}3$일(日) 후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리파아제(lipase) 역가도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반(反)하여 trypsin inhibitor와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의 역가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발효대두의 등온흡습곡선(等溫吸濕曲線)을 실험에 의해 구하였고 발효에 의한 단백질 분해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흡수능(水分吸收能)이 증가하였다. 발효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과자류 및 국수류의 식미검사 결과 성적이 양호하였으나 신맛의 개선이 요구되었고 5조의 농촌형식품(農村型食品)은 농민들의 좋은 반응을 얻었다.

  • PDF

Isolation of Lipoxygenase Inhibitor from Indonesian Herb

  • Alfi Khatib;Kim, Young-Chan;Chung, Shin-Kyo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1.2-112
    • /
    • 2003
  • A total of 20 extracts derived from different plant family commonly used in Indonesian traditional inflammation medicine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soybean lipoxygenase (SBL) and hyaluronidase (HAse) activity. Three methanol extracts, the bark of Cinnamomum burmanni (CB), the leaves of Piper betel (PB), and fruit of Barringtonia acutangula (BA) were found to have high inhibitory effects, whereas the m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Mimusops elengi (ME) have medium inhibitory effect. The IC50 of CB, PB, BA and ME were found to be 21.7, 16.9, 39.1 and 62.8 g/$m\ell$, respectively. Among the tested extracts, only CB inhibited HAse (IC50 = 27g/$m\ell$). CB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with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EtOAc fraction having the strongest activity was fractionated and som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a preparative HPLC(Develosil ODS-HG-5 column). Coumarin and 2-hydroxy cinnamaldehyd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es of UV-Vis absorption 1H-NMR, 13C-NMR and FAB+-MS spect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