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검색결과 6,754건 처리시간 0.036초

초고압균질 가공에 의해 제조된 초미세 비지 현탁액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capacity and nutritive components from biji sub-micron suspension by ultra-high 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 이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14-720
    • /
    • 2015
  • 본 연구는 산업 폐기물인 비지를 활용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즉 대두 가공 부산물인 비지를 활용하여 죽류, 음료류 및 유동식 등의 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초고압균질 가공 기술을 활용하여 초미세 비지 현탁액을 제조하고 추출수율, 영양성분 및 항산화성을 확인하였다. 비지 분산액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5분 분쇄한 후 1,000bar, 1,500bar 및 2,000bar의 압력을 가해 고압균질 가공 처리하였다. 고압균질 가공처리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군에 비하여 추출수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초고압균질 처리 후 총당, 환원당 및 가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단백질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압력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유의적으로 증대되었다(p<0.05). 초고압균질 가공 기술은 비지의 영양성분과 항산화성을 증가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가공방법이며, 비지의 영양성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주 첨가 청국장 발효 중 phytoestroge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 in phytoestroge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with bitter melon)

  • 조계만;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9-1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bitter melon powder, BMP) 첨가 청국장 발효 중 ${\beta}$-glucosidase 활성 변화, 총 phenolics와 isoflavone 함량,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청국장 발효 중 ${\beta}$-glucosidase 활성은 48 hr까지는 증가한 후 72 hr에는 감소하였으며, 총 phenolics, isoflavone-malonylglycoside 및 isoflavone-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증가하였으나, 총 isoflavone 및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한편, 발효종기 5% BMP 첨가 청국장은 또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72 hr 후 5% BMP 첨가 청국장의 총 phenolics와 daidzein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은 각각 13.5 mg/g, $390.57{\mu}g/g$, 90.74%, 99.79% 및 1.705($OD_{593nm}$) 있었다. 부가적으로 여주 분말이 첨가될수록 청국장의 이취도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청국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초산균을 이용한 꾸지뽕 열매 발효식초 제조 및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vinegar produced by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임은정;조승화;이은실;박해석;류명선;엄태붕;김현영;조성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8-118
    • /
    • 2015
  • 꾸지뽕 열매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기 위해 꾸지뽕 발효식초를 제조하고 그의 발효조건을 확립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초산내성, 초산 고생산능, ethanol 내성 및 아황산 내성이 우수한 49종의 초산 균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의 해독 결과, Acetobacter indonesiensis, A. cerevisiae, A. orientalis, A. tropicalis, A. fabarum, A. pasteurianus 및 A. syzygii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GRAS 균주인 A. pasteurianus SCMA5와 SCMA6를 발효 균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적 발효는 꾸지뽕 열매 함량이 40%(v/v)인 즙액과 5%(v/v) ethanol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72시간 발효가 가장 적절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SCMA06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의 선호도가 SCMA05 균주를 적용한 발효액보다 높았다. SCMA06 균주를 사용한 발효식초에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는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53.02{\pm}0.78%$이상 높게 나타났고, 항당뇨 능력을 측정하는 AGI활성은 발효 72시간에 $91.40{\pm}2.43%$ 저해능을 보여 시판중인 acarbose보다 활성이 높았다. 이번 연구는 꾸지뽕 열매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를 위한 산업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비 용매계에서 DHA가 함유된 Diacylglycerol의 효소적 반응에 의한 합성연구 (Synthesis of Diacylglycerol-Enriched Functional Lipid Containing DHA by Lipase-Catalyzed in Solvent-Free System)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84-589
    • /
    • 2005
  • 지방산 TAG 분자의 sn-1,3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Lipozyme RM IM(from Rhizomucor meihei)을 촉매로 이용, 비용매계(solvent-free system)조건에서 glycerolysis를 통하여 조류유(from Schizochytrium sp.)와 대두유로부터 DAG, MAG 함유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유지는 DHA(16.0mol%)와 linoleic acid(32.4mol%), palmitic acid(18.2 mol%), oleic acid (14.0mol%), EPA(6.7mol%) 및 myristic acid(4.9mol%) 등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유지 내 TAG 분자의 sn-2 위치에는 DHA(21.0 mol%)와 linoleic acid(29.2 mol%)가 높은 분포로 함유되어 있었다. 48시간의 효소 반응 후 DAG의 지방산 조성은 DHA(13.3mol%)와 linoleic acid(34.3 mol%), palmitic acid(20.0 mol%), oleic acid(13.2mol%), myristic acid(5.8mol%) 및 EPA(5.5 mol%) 등으로 조사되었고, MAG의 경우는 DHA(8.6mol%)와 linoleic acid(34.0mol%), palmitic acid(23.9mol%), oleic acid (15.1mol%) 및 EPA(4.1mol%) 등으로 분석되었다. 효소적 glycerolysis 반응 완료(48hr) 후 총 지질 내 약 60%의 DAG 및 MAG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는 19.2area%의 1,3-DAG와 22.2 area%의 1,2-DAG, 16.0area%의 MAG 및 TAG(42.3area%), FFA(0.2area%)와 같은 중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능성 유지의 요오드가는 208.8, 비누화가는 179.6으로 측정되었으며, 산가(조류유, 대두유; <0.3)는 3.4이하를 나타내어 합성 중 생성, 잔류 가능한 유리 지방산 제거(산가 저하)를 위한 정제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능성 유지는 Hunter $L^*(+/-,\;lightness/darkness;\;77.9),\;a^*(+/-,\;redness/greenness;\;15.9)$$b^*(+/-,\;yellowness/blueness;\;54.6)$와 같은 색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추출물의 몇가지 synergist 첨가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 장영상;최웅;신동화;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3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화인된 붉나무 에탄올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tocopherol, phosphoric acid, lecithin, phytic acid 등을 혼합, 괌유, 돈지, 대두유에 넣어 산화방지 효과를 Rancimat test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 200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delta}-Tocopherol\;200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나무 분획물과 synergist를 팜유와 돈지에 각각 200ppm색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연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팜유의 경우 저장 27일후 무첨가구의 과산화물가는 98.3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인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8.9meq/kg, 9.14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으며, 이에따라 산가와 TBA 가도 무첨가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돈지에서의 과산화물가는 무첨가구가 161.1 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는 각각 20.0meq/kg, 10.7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산가나 TBA 가도 무첨가구보다 훨씬 낮아 팜유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PCA 20-3 유래의 Protease 생산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PCA 20-3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김현규;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4-160
    • /
    • 2000
  • 한국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 PCA20-3이 생산하는 protease의 생산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0.2% soytone, 2% starch, 0.1% $(NH_4)_2SO_4,\;0.2%\;CaCl_2,\;0.01%\;yeast\;extract,\;0.1%\;K_2HPO_4,\;0.1%\;KH_2PO_4$, pH 7.0, 30에서 20시간이었다.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6.0-11.0, $55^{\circ}C$였고 pH $6.0{\sim}11.0$의 범위와 $5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Fe^{(2+)}$$Cu^{(2+)}$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2mM의 phenymeth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9.2%의 활성이 저하되어, 활성 serine을 가진 serine protease임이 시사되었다. 조효소액의 Km값은 $5.0{\times}10^{(-4)}M,\;V_(max)$값은 $100\;{\mu}g/min$이었으며 bovine serum albumin, isolated soybean protein 보다 casein에 대해 초기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전통 메주 유래의 Aspergillus wentti가 생성하는 Protease 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1-167
    • /
    • 2000
  • 한국의 재래식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Aspergillus wentti가 생산하는 protease를 정제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본배지[밀기울 :1% glucose 함유$H_2O=1:1\;(w/v)]$에서의 효소생산 최적조건은 pH 9.0, $30^{\circ}C$, 4일 이었다. 효소의 정제는 먼저 배양 밀기울로부터 20mM phosphate(pH 8.0)로 효소를 추출하고 QAE-Sephadex와 SP-Sephadex의 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비흡착성 활성단백질을 분리한 후 두차례의 Sephadex G-100 gel filtration로서 분자량 약 32,000(SDS-PAGE분석 : 단일밴드)의 비활성도 213unit/mg, 정제배수 27.3배로 효소를 정제하였다. 본 효소의 $K_m$값은 $3.049{\times}10^{(-4)}M,\;V_(max)$값은 $151.1\;{\mu}g/min$이었으며 ISP, hemoglobin, bovine albumin 보다 casein에 대해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 $4.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으며 효소활성은 금속이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2mM의 phenylmet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6% 실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효소는 효소 활성부위가 serine의 OH기인 serine protease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축육(畜肉) 조직(組織)과 유사(類似)한 말쥐치 및 정어리의 조직(組織) 단백질(蛋白質) 농축물(濃縮物)의 가공(加工) 조건(條件)에 관한 연구(硏究) (Conditions for Processing of Meaty Textured Fish Protein Concentration from Filefish and Sardine)

  • 이응호;수디벼노;김세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2-241
    • /
    • 1979
  • 연안 수산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방법을 개발할 목적으로 축육과 유사한 가공 적성을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어육 조직 단백질 농축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백색 육어인 말쥐치와 적색 육어인 정어리를 원료로 하여 최적 가공 조건 및 제품의 품질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말쥐치 및 정어리로써 축육과 유사한 어육 조직 단백질 농축물을 가공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 원료 어육의 pH는 7.5, 고기풀 제조시 소금의 첨가량은 어육 중량에 대하여 1.0%, 압출기로 압출한 고기풀의 냉 에틸알코올중의 침지 시간은 30분, 침지시의 에틸알코올량은 어육량에 대해 3배, 그때의 에틸알코올 온도는 5내지 $20^{\circ}C$가 적당하였다. 그리고 에틸알코올 중의 침지 회수는 말쥐치의 경우 2회 정어리는 4회가 적당하였고, 에틸알코올을 제거 하는데는 냉풍 건조가 효과적이었다. 원료 어육에 대한 제품의 수율은 말쥐치는 21.1 및 정어리는 24.3 %이었다. 제품의 단백질 함량은 말쥐치가 77.6, 정어리는 75.8 %였으며, 지방은 각각 0.2 및 3.6 %였다. 말쥐치 및 정어리 조직 단백질 농축물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쇠고기 및 대두 조직 단백질과 비교하였을 때 손색이 없었으며, 두 가지 제품으로써 미트볼 및 햄버거를 만들었을 때 모두 쇠고기와 값은 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맛, 색 및 촉감에 손색없이 식품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spergillus oryzae 및 Aspergillus sojae를 이용한 개량(改良)메주의 형상에 의한 장류(醬類)의 품질비교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Quality of Soy Sauce)

  • 김상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3-72
    • /
    • 1978
  • 재래식(在來式)콩간장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국균(麴菌)의 종류별(種類別), 메주의 형태별(形態別)로 담금하여 숙성과정(熟成過程)중의 효소력(酵素力)과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메주 및 간장숙성과정(熟成過程)중의 protease 활성(活性)은 Asp. sojae로 제조한 종국(種麴)이 Asp. oryzae로 제조한 종국(種麴)에 비하여 높았고 국수형의 매주가 벽돌형의 메주에 비하여 높았으며 amylase활성(活性)은 Asp. oryzae균(菌)이 Asp. oryzae균(菌)에 비하여 대체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2. 간장숙성기간(熟成其間)중의 총질소(總窒素), 아미노태질소(窒素), 순고형분(純固形分)의 함량과 비중(比重)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의 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높았고 Asp. oryzae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함 것이 가장 낮았다. 3. 완층능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의 메주로 담금한 간장이 $1.77{\sim}2.56$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성분(成分)은 전시험구 공히 검출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질소(窒素)의 함량은 각 시험구간의 큰 차가 없었다. 4. 간장 숙성기간(熟成其間)중의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메주가 가장 높았고 Asp.oryzae균(菌)의 벽돌형메주가 가장 낮았으며 특히 메주의 형태(形態)에 따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많은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5. 3개월간 숙성(熟成)후 간장을 여과하고 남은 재래식(在來式) 장중의 일반성분(一般性分)은 수분(水分) $54{\sim}61%$, 아미노태질소(窒素) $457{\sim}682mg%$, 염분(鹽分) $18{\sim}23%$, 지방(脂肪) $5.4{\sim}9.1%$, 단백질(蛋白質) $8.6{\sim}9.4%$로 나타났고 이중 Asp. sojae균(菌)의 국수형메주의 경우 성숙도(아미노태질소의 mg%)가 가장 높았다. 6. 3개월간 숙성(熟成)한 간장을 색 맛 향기(香氣)등에 대하여 관능시험한 결과 Asp. sojae균(菌)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양호(良好) 하였으며 Asp. oryzae균(菌)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불량(不良)하였다.

  • PDF

전통(傳統)고추장의 품질개량(品質改良)에 있어서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고추장 메주의 효과(效果) (Effect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Koji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 조한옥;박승애;김종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27
    • /
    • 1981
  • 우리나라 전통(傳統)고추장의 계승(繼承) 및 과학적(科學的)인 제조(製造)방법(方法)을 제시(提示)하고 그 품질(品質)을 개량(改良)하기 위하여 전라북도(全羅北道)지방(地方)의 전통적(傳統的) 고추장 제조법(製造法)에 의하여 메주가루를 메주식(式)과 제국식(製麴式)으로 제조(製造)하고 그 메주가루로서 전통적(傳統的) 원료(原料) 담금비율로 담금하여 90일간(日間)의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온도(溫度), pH와 적정산도(適正酸度), 일반성분(一般成分), 질소성분(質素成分), 당분(糖分), 에틸알콜 및 효소력(酵素力)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으며 재래식(在來式) 및 개량식(改良式) 고추장 메주의 효과(效果)의 차이(差異)는 다음과 같다. 1. 아미노태(態) 질소함량(質素含量)은 개량식(改良式) 메주가루로 담근 고추장이 재래식(在來式) 메주가루로 담근 고추장보다 그리고 동일(同一)한 원료(原料)로 담글때는 조미원료(調味原料)로서 식염(食鹽) 만을 첨가(添加)한 것보다 간장과 식염(食鹽)을 첨가(添加)한 고추장에서 많았다. 2. 수용성(水溶性) 질소(質素), 암모니아태(態) 질소(質素)는 조미료(調味料)로서 간장과 식염(食鹽)을 첨가(添加)한 제국식(製麴式)에서 높았다. 3. 숙성기간중(熟成其間中) 환원당함량(還元糖含量)은 메주식 고추장이 제국식(製麴式)고추장보다 높았다. 4. 에틸알콜은 담금 직후(直後) 각(各) 시험구(試驗區)가 0.04% 였으나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여 $40{\sim}50$일간(日間) 숙성(熟成)되었을 때는 각(各) 시험구(試驗區)가 2.5% 이상이었다. 5. 총당함량(總糖含量)은 담금기간(期間)에는 각(各) 시험구간(試驗區間)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성숙후기(成熟後期)에는 조미료(調味料)로서 간장을 첨가(添加)한 제국식(製麴式) 고추장에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