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sauce koji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간장양조용 대체원료에 관한 연구 2 (Studies on the Substitution of Raw Materials for Soy Sauce (II))

  • 이제문;홍월숙;김유삼;홍윤명;유주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6
    • /
    • 1972
  •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potato or sweet potato for the wheat, one of the raw materials for soy sauce, was studied by measuring the amylase and proteolytic activities of Koji. Also optimum conditions of Koji making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substitution of up to 30% (starch content) of wheat content (15% of the total bean and wheat content) with potato yielded good qulity of soy sauce. Use of more than 30% potato yielded a Koji of low enzymatic activity. This was attributed to the high moisture content of potato. It ws also found that substitution of up to 50% (starch content) of wheat content(25% of the total bean and wheat content) with sweet potato yieldede a good quality of soy sauce. But the taste was inferior to the control (the soy sauce which was made with 50% of bean and 50% of wheat).

  • PDF

비지 koji 첨가에 따른 양조간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 sauce fortified with soymilk residue (okara koji))

  • 송영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8-826
    • /
    • 2013
  • 본 연구는 비지 koji를 제조하여 개량식 알메주와 0, 50, 100%비율로 혼합하여 90일간 발효시켜 양조간장을 제조한 후 품질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금액의 염농도는 17.15~17.22%를 나타내었으며, 비지 koji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수용성 고형분은 각각 8.73, 6.12, 2.50%로 감소하였으며, 간장의 완충능은 알메주만을 사용한 경우에 1.2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액의 pH는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비지 koji 50%에서 4.92를 나타내었다. 알메주, 비지 koji 50, 100% 각각 첨가한 간장의 산도는 1.09, 0.98 및 0.47%로 나타났다. 비지 koji 50%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간장에서 protease와 ${\alpha}$-amylase의 효소활성은 발효 30일에 각각 26.55, 6.41 unit/mL로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e 함량은 발효기간 중 증가하였으며, 발효 90일에 275.2 mg%로 비지 koji 50%를 사용한 간장에서 가장 높았다. 환원당과 총당의 함량은 발효 초기에는 알메주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발효 60일에는 비지 koji를 첨가한 간장에서 높은 총당 함량을 보였으며 90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간장용액 갈색도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00/500 nm에 대한 흡광비율값의 범위는 알메주 100%(1.25~3.65), 비지 koji 50%(1.25~3.65), 비지 koji 100%(1.25~5.14)로 나타났다. 알메주 또는 비지 koji 50%를 첨가한 경우에 발효기간이 증가하면서 glutamine을 제외한 glutamic acid 등 대부분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비지 koij 100%를 사용한 간장은 매우 낮은 총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비지 koji 50%을 이용하여 제조된 양조간장은 짠맛과 색도에서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알메주 만을 사용한 간장의 기호도가 좋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알메주에 비지 koji 50%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양조간장은 일반성분, 색상과 맛 등 기호성이 양호하였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 제조(製造)에 있어서 장유(醬油)코오지와 시판(市販) 단백분해(蛋白分解) 효소(酵素)의 영향(影響) (Effects of Soy Sauce Koji and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 on the Acceleration of Fish Sauce Production)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9-648
    • /
    • 1989
  • 최종 제품의 고유 풍미와 영양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 제조를 위하여 Aspergillus oryzae 가 접종된 장유(醬油)코오지와 시판 단백분해 효소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갱이(아지)를 원료로 하여 장유(醬油)코오지 또는 시판 단백분해 효소를 첨가하는 등의 조건을 달리한 16종류의 어장유(魚醬油)를 제조하였고 각각 그들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원료 전갱이에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10%식염을 가하여 48시간 유지한 후 다시 그 혼합물에 10% 식염을 더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아미노태 질소함량, 총질소에 대한 아미노태 질소 함량 비율 및 제품의 단백질 전환율 등에 있어서 기타 조건에서 제조된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 Sauce Using Sandfish

  • Myong-No Yi;Jong-Rak Ch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2.3-182
    • /
    • 1976
  • A laboratory study was made for developing an fermentative method of producing conventional Korean soy sauce type of product from sandfish and defatted soy bean Koji of Aspergillus oryzae as raw material and enzme source, respectively. As an attempt to shorten the fermentation period, the admixture, consisting of pre-chopped sandfish slurry and the Koji of Asp. oryzae (100:15, wet fish weight/dry Koji weight) with added water equal to the fish weight (v/w), was first allowed, while being agitated at 450rpm, to undergo digestion for a 5 hour period at $50^{\circ}C$ with no added salt and then then, after adding 20% salt (w/v), the hydrolysate mixture was ripened for up to 13 weeks at $30^{\circ}C$ and $45^{\circ}C,$ At intervals, an aliquot was withdrawn for determining microbiological, chemical and organoleptic changes taking place in the sandfish-defatted soy bean koji mixture during both digestion and ripening period.

  • PDF

곡자첨가에 의한 산분해간장 발효 중 MCPD 및 주요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of MCPD and Chemical Components in Soy Sauce Made of Acid-hydrolyzate of Defatted Soy protein by Fermenting the Soy Sauce koji)

  • 윤복만;박재선;박창희;최용진;전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19-424
    • /
    • 1998
  • 산분해간장에 간장 곡자를 첨가하고 고온의 자기소화, 젖산발효(Pediococcus soya), 알코올 발효(Saccharomyces rouxii) 및 후숙의 일련 과정으로 약 60일 간의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산분해간장 중의 monochloropropanediol (MCPD)의 제거와 기타 간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MCPD 농도는 전 시험구에서 발효 초기에 현저히 감소됨을 보였다. 즉 초기 38.6 ppm에서 S-1 시험구는 2.2 ppm, S-2 시험구는 1.3 ppm, S-3 시험구는 2.0 ppm 그리고 S-4 시험구는 2.0 ppm으로 각각 감소되었다. 특히 S. rouxii를 첨가한 발효에서 가장 높은 MCPD 제거율을 보였으며 미국의 MCPD 규제 농도인 2 ppm보다 낮았다. 또한 전 시험구에서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각각 1.8%, 1.0% 이상이었고 질소용해율은 55%이었다. 환원당은 효모가 첨가된 시험구(S-2, S-4)에서 1% 미만으로 감소된 반면 에탄올 함량은 1% 이상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0,000 mg/100 mL 전후이었고, 특히 glutamic acid 는 $1270{\sim}1323\;mg/100\;mL$으로 양조간장과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간장 제품 풍미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학성분의 변화와 본 연구에서 제조한 발효 아미노산간장의 관능상 품질은 양조간장과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p<0.05).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시험한 MCPD제거를 위한 산분해간장의 곡자 첨가에 의한 발효 공정은 MCPD의 효과적 제거는 물론이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리하면서도 산분해간장의 품질도 크게 개선시킬수 있는 새로운 산분해간장 제조 공정이 될 수있다고 생각된다.

  • PDF

압출성형기에 의한 전처리가 탈지대두분의 장유 제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usion-Texturization on Defatted Soy Flour for Soy Sauce Fermentation)

  • 오경근;정헌웅;박지용;임재각;김재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
    • /
    • 1993
  • 압출처리시 일어나는 탈지대두분의 팽화율, 하적밀도, 수분흡수율 변화들을 지표로 하여 압출처리한 탈지대두분과 종래의 증자법에 의한 탈지대두로 발효, 숙성시킨 양조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각의 최적 물리적 조건에서 압출처리한 탈지대두로 만든 고오지는 고오지 내부와 외부에서 균사의 발육이 잘 일어났으나 증자에 의한 탈지대두로 만든 고오지는 표면에서만 균사의 발육이 일어났다. 양조간장에 있어서 총질소는 대조구와 비교해 큰 차이는 없으나 포몰태 질소는 30% 정도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간장의 색도 또한 대조구보다 더 진한 색을 나타내었다. 양조간장의 아미노산 조성은 탈지대두분의 원료처리 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총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보다 $10{\sim}15%$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특별한 이미나 이취가 없음을 관능검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간장의 속성제조를 위한 간장국의 고온분해 (Thermal Koji Hydrolysis for Rapid Fermentation of Soy Sauce)

  • 류병호;조경자;채영주;박춘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5-221
    • /
    • 1993
  • 간장을 속성으로 제조할 목적으로 간장국을 고온(40, 45, 5$0^{\circ}C$) 으로 속성분해 하는 조건을 검토하였다. 국의 고온분해시 4$0^{\circ}C$에서 식염 농도가 15%이상, 45$^{\circ}C$에서는 12%이상, 5$0^{\circ}C$에서는 8%이상에서 국 분해액이 안전하였다. 총질소의 용출은 5$0^{\circ}C$, 식염농도가 9%일 때 1.7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45$^{\circ}C$에서 식염농도가 12%일 때 7.2%이였고, formol질소는 45$^{\circ}C$에서 식염농도가 12%일 때 0.9%이었다. 점도는 45$^{\circ}C$에서 식염농도가 15%일때 12일 경과시 점도가 제일 양호하였다. 한편 국 분해액에서 추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45$^{\circ}C$일 때 3268mg%로서 가장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leucine, arginine, aspartic acid, lysine, valine 및 phenylalanine이 전체 아미노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 하였다.

  • PDF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색(色) 측정(測定) 및 관능검사(官能檢査) (The Color Measurement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Accelerated Fish Sauce Products)

  • 채수규;이등관;신국좌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49-654
    • /
    • 1989
  •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의 분포(分布)가 100nm당 log 흡광도의 변화$({\Delta}A)$를 색조의 파라메터로 이용하여 연구되었다. 오장유의 색에 있어서 log 흡광도와 450nm와 650nm 사이의 파장간에는 직선관계가 성립하였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의 ${\Delta}A$ 값은 $0.55{\sim}0.59$ 범위에 있었으며, 450nm에서의 흡광도 (A450)는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가 대조(對照) 및 시판 단백분해효소 첨가 어장유(魚醬油)에 비하여 높았다. 장유(醬油)코오지가 첨가된 어장유(魚醬油)의 색(色)은 어두운 적황색(赤黃色)이었으며, 그 색(色)은 장유(醬油)의 색(色)과 비슷하였다. 모든 어장유(魚醬油)에 있어서 A450은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Delta}A$는 발효 초기에 약간 증가되다가 발효 후기에는 감소되었다. 속양(速釀) 어장유(魚醬油)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장유(醬油)코오지를 첨가하고 초기에 20% 식염을 가하여 제조한 어장유(魚醬油)가 풍미강도, 맛, 후미 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으며 또한 종합적인 선호도(選好度)가 있어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 PDF

간장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제 1보) -제국중에 생육하는 효모에 대하여-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 ( I )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Yeasts in the soy sauce koji-)

  • 이택수;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3권1호
    • /
    • pp.97-103
    • /
    • 1970
  • 간장국제조과정중에 생육하는 효모들을 계수 및 분리 동정하고 TTC 정색에 의하여 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장국 1g 중의 효모수는 3일국에 $97{\times}10^3$, 4일국에 $135{\times}10^3$, 5일국에 $179{\times}10^3$개로서 제국일수의 경과에 따라 효모수가 증가하였다. 2. 이들 효모의 TTC 정색에 었어서 White가 53.6${\sim}$71.9%, Red가 5.6${\sim}$11.1%, Red pink가 6.8${\sim}$1905 pink가 11.1${\sim}$22.6%로서 white 효모가 가장 많았고 Red 효모가 가장 적었다. 3. 30주를 임의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rouxii 5주, Saccharomyces fermentati 2주, Saccharomyces rosei 1주, Hansenula suaveolens 1주, Hansenula anomala 6주, Pichia polymorpha 6주, Debaryomyces nicotianae 2주, Debaryomyces hansenii 2주, Torulopsis candida 2주, Torulopsis sake 2주, Candida pelliculosa 1주등 6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4. 등정한 이들 효모를 TTC 정색에 따라 유별한 결과 Hansenula suaveolens, Hansenula anomala, Candida pelliculosa, Debaryomyces nicotianae, Pichia polymorpha 등은 국중에 생육하는 전체 효모의 약 60%를 차지하는 TTC white 효모구에 속하였으며 Saccharomyces rouxii와Saccharomyces rosei는 Red 로 Saccharomyces fermentati와 Debaryomyces hansenii는 Red pink로 Torulopsis candida와 Torulopsis sake는 pink로 나타났다. 5. 분리된 효모의 대부분이 무염 또는 식염10% 합유배지에서 잘 생육하나 15-18% 식염 합유배지에서는 생육이 거이 억제되었다.

  • PDF

간장양조용 원료대체에 관한 연구(제4보) 소맥글루텐의 이용 (Studies on the Substitution of Raw Material for Soy Sauce Part IV. Use of Wheat gluten)

  • 이제문;안순복;김유삼;홍윤명;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3
    • /
    • 1974
  • 간장의 원료중 콩을 전분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소맥글루텐으로 대체하는데 있어 원료배합비에 따른 국중 효순 생산량의 변화를 검토하고 제국조건을 결정한 뒤 원료총량 6kg의 규모로 담금하여 숙성중 제 성분의 변화를 분석 검토하고 이의 관능검사를 하였다. 소맥글루텐으로 탈지대두의 60% 대체하므로써 원료 총량에대해 소맥글루텐의 함량이 30% 되게 이용하므로써 성분상으로나 관능면에서 기존 간장에 뒤지지 않는 양질의 간장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산수량은 100%, 제국기간은 3일국이 적당하다. 총 질소함량은 소맥글루텐의 증량과 더불어 증가하나 60% 대체(총원료의 30%) 했을 때 원료중 총질소 이용도가 가장 높은데, 이는 제국중 국중 효소생산량도 이때 가장 높았던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1971년도 과학기술처 조사연구용역계약에 의거 이루워졌으며 현재 이 결과의 일부를 공업용으로 이용되고있다. 이에 대하여 과학기술처에 사의를 표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