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 effect

검색결과 1,488건 처리시간 0.031초

154kV 전력용 변압기의 부하소음 및 냉각팬 소음 분석 (An Analysis on the Audible Sound Due to Load and Cooling Fan for 154kV Power Transformers)

  • 구교선;우정욱;곽주식;김경탁;권동진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9권3호
    • /
    • pp.298-304
    • /
    • 2010
  • Recently, the audible sound level of power transformer has been reduced due to development of new material and enhance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the audible sound of winding and cooling fan because the research on reduction of audible sound is concentrated on the core sound.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3 kinds(core, winding and cooling fan) of transformer sound source.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load sound and cooling fan sound on the total transformer sounds. As the results, total sound level of 79dBA class transformer rises 0.2~0.3dB due to effect of load sound and rises 2.1~3.5dB due to effect of cooling fan sound. Also, total sound level of 55dBA class transformer rises 2.3~2.9dB due to effect of load sound and rises 1.9~3.5dB due to effect of cooling fan sound.

청점운용을 통한 사운드연출 (Sound Direction through Listening Point Application)

  • 김은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0-59
    • /
    • 2014
  • 영화에서 사운드는 화면상의 표현에 사실감을 부여하거나 과장된 효과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부각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 속 대부분의 소리가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그러나 영화 속 사운드는 실제 현실에서 접하는 '소리'가 아니라 영화적 재현을 위해 허구적으로 연출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들로 인해 관객은 스크린을 통해서 허구인 영화의 세계가 마치 현실처럼 느껴지는 독특한 '현실감'을 체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운드연출은 청각적 요소의 운용을 통한 독창적인 이미지 전달로 이러한 현실재현에 기여해야하며 나아가 다양한 영화적 표현들이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주관적 청점을 기반으로 한 사운드연출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이야기 속의 이야기> 사운드 분석 (The sound analysis of )

  • 목혜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87-104
    • /
    • 2010
  • 애니메이션은 일반 영화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와 사운드가 결합하여 의미와 감동을 만들어낸다. 유리 노르슈테인의 <이야기 속의 이야기>는 다양한 음악과 음향효과가 이미지와 잘 결합했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 사운드 분석의 좋은 사례가 되는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 작품 속에서 사운드가 어떤 기능을 하면서 의미를 만드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일반적으로 사운드는 대사, 음악, 음향효과라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눠지며, 애니메이션은 각 영역에 독특한 미학적 특성이 있다. 대사에 사용되는 목소리는 캐릭터의 이미지에 맞춰 창조되며, 음악에서는 특별히 이미지와 리듬의 결합이 중요하다. 음향효과 면에서도 애니메이션에서는 단순한 소리의 모사가 아닌 움직임의 묘사라는 성격이 강하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눠 사용된 사운드를 분석하되, 청점과 주관적 사운드, 사이음의 개념도 분석을 위해 사용했다. 작품에 사용된 러시아 자장가는 멜로디의 변주와 반복을 통해 전체 내러티브의 모티브로 기능을 한다. 아기와 늑대의 청점을 통한 주관적 사운드의 사용은 작품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캐릭터에 특별한 위상을 부여한다. 음악과 이미지의 반복적 결합, 음향효과의 언어적이고 주석적인 기능, 그리고 비교적 관습적인 음악과 음향사용은 작품의 가독성과 감동을 높여준다는 것들은 이 작품의 전체적 사운드사용의 특징이다.

  • PDF

음속이 진동형 기체 밀도 측정기에 미치는 영향 (Sound velocity effect on vibrating gas densimeter)

  • Lee, W.G.;J.W. Chung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8-33
    • /
    • 1993
  • Measurements errors due to sound velocity effect on vibrating gas densimeters were described. Nitrogen was used to calibrate the densimeter, and oxygen was employed to determine a coefficient for the compensation of sound velocity effect. Sound velocity effects were shown with methane at temperatures of 7.97, 19.93 and 39.57 .deg. C, and pressures up to 3.6 Mpa. A relative error of about 1% was introduced when the nitrogen calibrated densimeter was used to measure densities of pure methane. A method of sound velocity effect compensation was able to reduce the error down to 0.1%.

  • PDF

위상 처리 방식과 선착 효과를 이용한 텔레비전에서의 스테레오 음상 확대 (Stereo Sound Image Expansion Using Phase Shifting and Precedence Effect in Television)

  • 오제화;이종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9-1242
    • /
    • 1998
  • In television stereo system, to produce a realistic sound effect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stereo speakers is very narrow. Many signal processing methods of widening the sound image for spatial impression have been studied. One of the methods of widening the sound image is using the Precedence Effect by reflected sound.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work effectively in lower frequencies because of directivity of a speak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method of expanding stereo image using Precedence Effect and Phase Shifting method to produce a whole band frequency sound expansion. In experiments, we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tereo sound image expansion system.

  • PDF

순음의 위상차를 이용한 스테레오 시스템에서의 음상 정위 특성 연구 (Research for Characteristic of Directional Sound Image Idealization at Stereo System Using Different Phase Pure Tone)

  • 한찬호;이법기;정원식;고일석;최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2-38
    • /
    • 2002
  • AV시스템에서 현실적인 사운드 효과를 만들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스테레오 AV시스템의 스피커의 간격은 좁고, 공간감 있는 효과를 내기 위한 넓은 음상이 필요하다. 음상의 방향은 두 채널 사이의 음압 레벨 차와 위상 지연에 상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음원의 주파수와 관계 있는 음상의 방향과 위상 지연의 관계를 해석한다. 또한 순음이 정취자의 전방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 개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때, 한목 채널의 신호의 음상과 위상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채널 신호의 음압과 위상을 변화시켜 스피커의 위치보다 넓은 방향에 음상을 정위시키는 모델을 제안하고 모의 실험을 하였다.

  • PDF

1/f 변동리듬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Sleep Efficiency Depending on 1/f Fluctuation of Sound)

  • 박혜준;박세진;김철중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83
    • /
    • 2005
  •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sleep efficiency and sleep latency depending on the sound, Polysomnography was carried for the different sound stimulations, such as Sound A(providing R bed Co.), Sound B(1/f fluctuation sound develope by KRISS), and no sound stimulation. In case of sleep efficiency and WASO(wake after sleep onset) ratio Sound B shows more affirmative effect than no sound stimulation or Sound B. It is the result that the effect is caused because 1/f fluctuation sound has the rule and unexpectation. This research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ound for sleep.

마스킹 효과를 이용한 선셰이드 모터음의 최소가청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reshold of Hearing of Sun shade Motor Sound Using Masking Effect)

  • 조현호;성원찬;김성현;박동철;강연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6-121
    • /
    • 2013
  • Panaroma Sun roof's sun shade motor elicits two major sounds when operating: the tonal sound and the white noises. Generally, the sound related to the sharpness contributes the most to the quality of motors' tonal soun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loudness of the motor's objective tonal sound utilizing the masking effect by its white noises. To conduct this study, the sound made by the operating sun shade motor was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subsets of masker and test tone to examine the masking threshold. Also, the shifts of masking threshold were observed with the varying masker loudness.

  • PDF

머리움직임이 입체음향 시스템의 머리전달함수에 미치는 영향: 구 머리전달함수의 민감도해석 (The effect of head movement on HRTF in 3D sound system: Sensitivity analysis on Sphere HRTF)

  • 김선민;박영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3-358
    • /
    • 2002
  • Human's vision is mostly confined to the area in the front and we, humans heavily depend on the sense of hearing to gather information in areas out of our sight. Thus, the virtual reality system consisting of the 3D sound effect gives the user a much better sense of reality than the system without the sound effect. Virtual 3D sound technology has mainly been researched with binaural system. The conventional binaural sound systems reproduce the desired sound at two arbitrary points using two channels in 3-D space. Head movement of listener might be change the nominal acoustic transfer function and deteriorate the performance of 3D sound system based on loudspeakers that needs a crosstalk canceller. In this paper, low kinds of sensitivity functions of sphere HRTF are deriv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d movement on HRTF in 3D sound system. Changes of HRTF caused by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motion of head are obtained as we calculate the derivatives of HRTF with respect to angle and distance.

  • PDF

선행음 및 후속음이 음원의 방향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eading sound and following sound on sound localization)

  • 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0-4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마스킹과 같은 효과가 기준음보다도 선행되는 음(선행음)과 후속되는 음(후속음)이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을 레벨차 및 시간차(Inter Stimuli Interval : ISI)에 의한 변화를 청취실험을 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검토를 하였다. 기준음의 제시시간은 2ms이며 후속음 및 선행음의 제시시간은 10ms로 두었다. 제시음은 1kHz 정현파이며 좌우 귀에 도달하는 시간차(Interaural Time Difference : ITD)는 0.5ms로 두었다. 레벨차는 0, -10, -15, -20dB로 두어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선행음이 후속음보다도 음상정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았다. 그리고 선행음의 영향은 ISI의 값에 의존하고 ISI의 값이 작을 때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의 차가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