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pecti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1초

염장과정 중 무의 조직감과 이와 관련된 화학적, 효소활성 변화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and relevant Chemical, Enzymatic Activities during Salting)

  • 이희섭;이귀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67-274
    • /
    • 1993
  • 무의 염장과정 중 소금의 침투량, 담금액의 pH와 산도 및 조직감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화학적 변화, 효소활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와 10% 소금용액에서 생무와 열처리한 무를 담구어 4일간 저장하였을 때, 무 조직 내의 소금농도는 2일까지는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침투속도는 10% 소금용액에서 더욱 컸으며 열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2. 무의 염장과정 중 담금액의 pH는 낮아지고 산도는 증가하여 염장 10일째에 pH는 3.45, 산도는 0.52%를 나타내었다. 3. 힘-거리곡선의 형태는 생무의 경우, 파열점(a)과 최대 압착변형점(c)이 일치하거나 a 이후에 더 큰 c가 나타나서 positive slope을 갖는 곡선이 주종을 이루나, 염장한 무는 a와 c가 일치하면서 특징적인 하나의 peak만을 나타내거나 혹은 a 이후에 최대변형력이 작아지면서 negative slope의 곡선이 주로 나타났다. 또한, 염장이 진행됨에 따라 무의 peak 수는 점차 줄어들었다. 압착시험, 침투관통시험 및 절단시험을 통하여 무의 조직감 변화를 측정한 결과, 무의 압착변형력은 염장과정 중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크기가 다른 탐침을 이용하여 침투관통시험을 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침투관통력은 감소하였으며 탐침의 직경이 클수록 침투관통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단력은 염장과정 중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염장과정 중 무의 견고성은 감소하였으며 무의 질긴정도(toughness)는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AIS로부터 펙틴질을 분획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염장과정 중 HWSP 함량과 HXSP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HClSP 함량은 감소하였다. 5. 염장과정 중 효소 활성의 변화는 발효 4일째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무 염장액에서보다 무 고형분에서의 PG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PE 활성은 염장과정 중 무 고형분과 무 염장액에서 계속 감소하였다. 한편, Cx-cellulase은 염장 초기에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염장 2일째부터 활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 PDF

청각채가 동치미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ue Plant(Codium Fragil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박복희;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08-515
    • /
    • 2005
  • 동치미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청각채를 첨가하여 발효숙성 시켰을 때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대조군 보다 청각채 첨가군의 경우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게, 총산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 환원 전위는 전체적으로 대조군에서 전위값의 변화가 적었으며, 김치 숙성의 최적기인 $25{\sim}40$일 사이에 Eh7값이 $-136.35{\sim}-185.12mV$로서 가장 혐기적인 상태를 나타내었다. 환원당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청각채 첨가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함량은 청각채 첨가군이 대 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청각채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청각채 첨가군이 가장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0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20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탁도의 경우는 발효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청각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동치미 담금 직후에는 산가용성, 열수가용성, 염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게 나타났는데, 발효 20일 이후부터는 이들 가용성 펙틴의 구성비가 산가용성, 염가용성,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바뀌어 나타났다. 또한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양배추 김치의 숙성과정 중에 나타나는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조희숙;박복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0-608
    • /
    • 2006
  • 토하액젓, 멸치액젓 및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를 4${\pm}$1$^{\circ}C$에서 49일 동안 발효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모든 군에서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젓갈 첨가 양배추 김치의 경우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산화환원전위 값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7일 전까지는 급격하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는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총 비타민 C 함량은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양배추 김치의 발효숙성 중 명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가 35일 이후부터 다시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적색도와 비슷한 경향으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경도는 발효숙성 14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으며, 그 이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는데, 멸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 대조군, 새우젓 첨가 양배추김치 및 토하액젓 첨가 양배추 김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펙틴의 함량은 숙성과정 중 산가용성, 염가용성 및 열수가용성 펙틴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펙틴질인 열수가용성 펙틴 함량은 감소하였고, 저 methoxyl 기를 가진 염가용성 펙틴과 protopectin인 산가용성 펙틴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산가용성 펙틴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젓갈을 첨가하여 담근 양배추 김치에서 대조군보다는 토하액젓과 새우젓 첨가 양배추 김치가 환원당, 총 비타민 C, 경도, 열수가용성 펙틴 및 산가용성 펙틴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남지역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around Chonnam Area)

  • 박복희;조희숙;유맹자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65
    • /
    • 2003
  • 전남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2개 지역의 김장 배추김치를 수거하여 -1$\pm$1$^{\circ}C$의 김치냉장고(ANAX, KC-070S)에 보관하면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김치 담그는 시기는 2001년 11월말부터 12월 중순이였으며 8개월 가량 숙성한 뒤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배추김치는 pH는 4.75 정도였으면 산도는 0.84% 수준이었다. 염도는 3.50%였으며, 환원당은 13.25mg%를 나타내었고, 김치의 저장 과정 중 커다란 변화중의 하나인 총 비타민 C는 10.18mg%가 함유되어 있었다. 휘발성 산도는 0.09%를 나타냈으며, 산화환원 전위값은 시료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Eh/sbu 7/ 값이 -134.08mV였다. 색도는 L값이 52.29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a값과 b값은 19.68 및 27.69를 나타내었다. 미생물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총 균수는 5.5${\times}$$10^{6}$을 나타내었고, 총 젖산균수는 4.6${\times}$$10^{5}$, 총 효모수는 8.8${\times}$$10^{5}$을 나타내었다. 김치의 조직감의 변화를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9.26kgf로 나타났다. 펙틴 조성의 변화를 보면 알코올불용성 고형물함량은 5.53%를 나타내었고, 알코올불용성 고형물로부터 분리해 낸 열수가용성펙틴(HWSP), 염가용펙틴(NaSP), 산가용성펙틴(HClSP)의 함량비를 살펴보면, methoxyl group이 비교적 많은 수용성 펙틴인 열수가용성펙틴(HWSP)은 17.35%, low methoxyl group을 갖고 있는 펙틴질인 염가용성펙틴(NaSP)은 29.65%, protopectin의 양으로 표시되는 산가용펙틴(HClSP)은 53.0%로 나타나 산가용성펙틴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높았다.

  • PDF

담금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색과 조직특성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Puchukimchi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박문옥;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7
    • /
    • 2000
  • 본 연구는 부추김치의 담금방법에 따른 부재료가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금을 첨가한 처리구 A, 간장을 첨가한 처리구 B, 간장과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 C, 멸치액젓을 첨가한 처리구 D,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거리구 E로 담금 즉시 1$0^{\circ}C$에서 43일간 발효시키면서 색과 조직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잔존율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unter's color value에서 녹색도를 나타내는“a”값이 감소하였다. 특히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처리구 E의 녹색이 가장 감소하였다. 2. 수용성 펙틴과 고형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는데. 대체로 처리구 B>C>D>E>A의 순이었다. 3. TDF 함량은 발효숙성 초기와 큰 차이가 없다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TDF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SDF와 IDF의 조성에는 변화가 있었는데, 발효숙성 8일째에는 SDF 함량이 전반적으로 5배에서 7배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발효숙성은 처리구 B>C>E>D>A의 순으로 빨리 진행되어 간장은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빠르게 하였으며, 들깨가루 첨가는 발효숙성 말기에 오히려 발효숙성을 촉진하였고, 멸치액젓과 찹쌀풀 첨가는 부추김치의 변색을 가장 빨리 유발하였다는 결과로 보아 담금방법에 따라 부추김치의 발효숙성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추김치 담그는 목적에 따라 부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귤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가 흰쥐의 지방 및 Cadmium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s Isolated from Tangerine Peels on Lipid and Cadmium Metabolism in the Rat)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229-243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 on lipid and cadmium metabolism. And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 dietary fibers($\alpha$-cellulose, citrus pectin). Sixty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ighing 186.7$\pm$2.6g were blocked into 12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or 2 weeks. Cadmium chloride was given at the levels of 0 of 400 ppm in diet. Various dietary fibers were given at the level of 0 or 4%(w/w) of die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In lipid metabolism, insoluble fibers[insoluble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IDE), $\alpha$-celluolse]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lipids by inhcreasing feces weight, and de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and liver lipids. Soluble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SDF) de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serum cholesterol and liver lipids by increasing fecal lipids, too. In cadmium metabolism, soluble fivers(SDF, pectin) inhibited Cd absorption by increasing fecal Cd excretion and decreased Cd concentrations of intestion, liver and kidney. In conclusion, among the extracted fibers, SDF were more effective on lipid and Cd lowering activity and IDF had effect of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This result is useful to reduce food waste and utilize waste products.

  • PDF

Ganoderma lucidum으로부터 Polygalacturonase의 생산 (Production of Polygalacturonase from Ganoderma lucidum)

  • 윤숙;김명곤;홍재식;김명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6-297
    • /
    • 1994
  • Ganoderma lucidum이 생산하는 polygalacturonase의 유용 활용 방안을 위한 최적 생산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olygalacturon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30^{\circ}C$, pH5.5에서 14일이었다. Polygalacturonase 생산을 위한 최적 영양조건은 pectin 10 g, soluble starch 10 g, yeast extract 1 g, peptone 2 g, phenylalanine 1 g, $KH_2PO_4$ 2 g, $MgSO_4$ 0.2 g, $CaCI_2$ 50 mg, $thiamin{\cdot}HCI\;100{\mu}g$, D.W. 1000ml이었다.

  • PDF

식용코팅이 미숙 자두의 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dible Coatings on Softening of the Stored Immature Plums)

  • 송태희;김철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17-323
    • /
    • 1999
  • 칼슘을 첨가한 메틸셀룰로오스(CaMC)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CaHPMC-15)의 식용코팅을 미숙자두에 처리하여 자두의 연화 현상을 알아보았다. 비코팅 자두는 저장 기간 동안 중량 및 호흡률 감소 현상을 나타내었고, 적정산도는 감소하였으며, pH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CaMC와 CaHPMC-15를 코팅하였을 때 초기의 중량감소와 호흡률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연화의 지표로 사용되는 수용성 펙틴 함량과 polygalacturonase(PG)의 활성은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pectin esterase(PE)의 존재 또한 확인되나 CaMC와 CaHPMC-15식용코팅에 의하여 연화현상을 억제하였다. 저장 기간 경과에 따라 기계적 경도가 감소되었으나 식용코팅에 의하여 자두의 경도 유지 효과가 있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저장 기간 중 자두 조직의 연화가 감지되었고 코팅자두의 경우 비코팅자두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미숙자두에 CaMC와 CaHPMC-15를 코팅함으로서 수확 후 연화현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 PDF

Dietary Fiber Reduces Benzo[a]pyrene Hydroxylase Induced by Dietary Benzo[a]pyrene

  • Kwon, Chong-Suk;Jang, Hyun-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93-197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dietary fiber would reduce exposure of the tissues to dietary benzo[a]pyrene(BP) , a well-known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as evaluated by benzo[a]pyrene hydroxylase (BPH) activity.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urces of dietary fiber(pectin, polydextrose, and clellulose) on BPH activity were studied using Sprague-Dawley rats. In this study, male rats were fed a fiber-free purified diet for 7 days, whereupon they were switched to experimentla diets for 48h. After 48h, their liver, stomach , small intestinal mucosa and large intestinal mucosa were assayed for BPH activity. Thissues exposed to benzo[a]pyrene(400mg/kg diet, fiber-free) showed significant increse in the activity of BPH ; 27 times in liver, 7 times in stomach, 18 times in small intestinal mucosa and 3 times in large intestine. The inhibition in BP -induced BPH activity by dietary fiber in liver, stomach and small intestinal mucosa was observed in the decreasing order : 10 % perctin > 10% polydextrose >5 % polydextrose > 10% cellulose. Decreased BPH induction indicates that soluble dietry fibers, especially pectin and polydextrose in this study, protect the tissues of digestive system from exposure to BP.

  • PDF

저당성 무화과 잼의 제조 (Processing of Low Sugar Jams from Fig Pulp Treated with Pectinesterase)

  • 허원녕;김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1
    • /
    • 1998
  • 무화과에 대한 PE와 그와 관련한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저당성 무화과 잼을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무화과의 PE는 과일의 수확 시기에 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저장기간 동안 실활되지 않았으며, 냉동저장 중에도 PE의 미약한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무화과 PE의 작용에 의하여 냉동 저장 중에도 과일 내의 AIS의 양과 펙틴질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low methoxyl pectin으로 저당성 무화과 잼을 만들기 위하여 무화과 PE 및 무화과 PE에 오렌지 PE를 첨가한 것이 AIS및 AIS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무화과 잼의 anthocyanin 색깔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pH 5.23의 천연 무화과 펄프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pH 4.0 이하로 조절한 것이 적색 및 채도가 높게 나타났다. 19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무화과의 저당성 잼을 제조한 결과, 제조한 모든 무화과 잼은 시중 무화과 잼의 $65^{\circ}Brix$보다 낮은 $31{\sim}49^{\circ}Brix$의 가용성 고형분량을 갖는 저당성 잼이였다. 그러나 그들 중에 5종류만이 관능검사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그것들은 무화과 펄프에 펙틴을 1%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PE (200 units/400 g pulp)를 첨가하여 펙틴질을 low methoxyl pectin으로 한 다음 잼의 색깔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무화과 펄프에 대하여 구연산 0.25%를 첨가하여 pH를 낮추고, 가교제로 Ca 0.7%, 젤리화와 적당한 감미를 주기 위한 설탕 20%를 가하여 microwave 혹은 hot plate에 의하여 가열하거나 또는 냉장(펙틴 무첨가는 제외)에 의하여 젤리화한 것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