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structure interaction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초

지표수-지하수 상호흐름을 고려한 TANK_GS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TANK_GS Model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 이우석;정은성;김상욱;이길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893-909
    • /
    • 2010
  • 지하수의 지속가능개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에서 지하수 개발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흐름을 포함한 물 순환계의 유동을 모의하여야 한다. 유역 단위의 지하수 함양 및 하천-대수층 상호흐름 특성을 모의하기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 탱크모형과 SWMM 모형을 선정하였다. 토양저류구조 표준3단 탱크모형을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흐름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오차의 비등분산성을 고려하기 위한 분산함수를 가진 최우도추정법을 적용하고, 전역 최적화 기법인 Simulated Annealing 방법을 적용하여 탱크모형과 분산함수의 매개변수를 동시에 추정하였다. 하천-대수층 상호흐름을 개선한 SWMM-GE모형은 도시하천에 적용되어 검증을 받은바 있다. 금강의 지류인 갑천 유역에 하천-대수층 상호흐름을 개선한 탱크모형(TANK_GS)을 적용한 결과 개선 전 보다 모형성능평가가 더 나았으며, SWMM-GE 모형과 동일하게 지하수 함양 및 하천-대수층 상호흐름 현상을 잘 모의하고 있었다. 향후 권역 수자원 계획 등에 활용이 용이한 탱크모형(TANK_GS)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지속가능 개발량 산정이 가능하다.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진동기계기초의 해석법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Vibrating Considering Soil-Structure Interactions)

  • 이인모;이석원;박종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3호
    • /
    • pp.5-20
    • /
    • 1991
  • 동하중을 받는 진동기계기초의 동적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임피던스함수의 적절한 산 출이 필수적이며,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이 요구된다. 이제까지 지 반의 임퍼던스함수는 주로 원형기초에 한하여 제시되어 왔으나, 기초의 형상은 실제로 지반의 임퍼 던스함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형상 및 매립된 기초에 적용할 수 있는 임퍼던스함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임퍼던스함수를 바탕으로, 회전기계 -기초- 지반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동적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예제해석을 통하여 각종 임피던스함수의 적용에 따른 기계기초의 응답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주파수독립 임퍼던스함수와 주파수종속 임피던스함수를 이용한 결과를 비교해 볼 때,수평방 향과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동적응답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연직방향 운동에 대해서는 상 당한 차이를 보인다. 2) 표면기초와 매립기초를 비교해 본 결과, 매립기초에 있어서 수평방향과 회전방향에 있어서는 동적응답이 거의 일정한 간에 도달하므로 기초가 어느 정도 매립된다면 안전측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직방향에 있어서는 매립여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PDF

LRB 면진 콘크리트 교량의 손상도 해석 (Fragility Analyses on Seismic Isolated LRB Concrete Bridges)

  • 김종인;김두기;김태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35-144
    • /
    • 2006
  •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특성, 지반과의 상호작용, 현장 조건 등의 예측에 다수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그 취약성 또는 손상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확률밀도함수를 사용하여 면진 콘크리트 교량의 손상도 곡선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방법을 교량에 적용하여 교량의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손상도 곡선을 작성하는 데에는 2변수를 갖는 대수정규분포를 사용하였으며, 지진의 여러 특성인 최대지반가속도(PGA), 최대지반속도(PGV), 스펙트럼가속도(SA), 스펙트럼속도(SV), 스펙트럼강도(SI) 등에 대해 납 면진받침(LRB)이 설치된 면진교량의 손상도 곡선을 구하였다. 또한 손상도 곡선의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면진교량의 손상도 곡선을 유도하였다.

교량구간에서의 경량전철에 의한 지반진동 해석 (Ground Vibration Analysis for Light Rail Transit on Bridges)

  • 김두기;이종재;윤정방;김두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1-8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교량구간에서 경량전철의 주행에 의한 지반진동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경량전철의 주행시 교각에 작용하는 동하중을 열차와 교량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구하였으며, 경량전철 동하중에 의한 인근의 지반진동을 평면내 파동 전파와 축대칭 파동전파 해법을 사용하여 구한 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축대칭 진동해석결과를 선형조합한 보다 엄밀한 교량구간에서의 지반진동해석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접교각이 지반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경량전철의 운행에 따른 환경진동의 문제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판재료와 지반조건 등 제반사항의 변화에 따른 지반진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3D numerical model for wave-induced seabed response around breakwater heads

  • Zhao, H.Y.;Jeng, D.S.;Zhang, Y.;Zhang, J.S.;Zhang, H.J.;Zhang, C.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5권6호
    • /
    • pp.595-611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three-dimensional (3D) integrated numerical model where the wave-induced pore pressures in a porous seabed around breakwater heads were investigated. Unlike previous research, the Navier-Stokes equation is solved with internal wave generation for the flow model, while Biot's dynamic seabed behaviour is considered in the seabed model. With the present model,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ave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breakwater configuration on the wave-induced pore pressure around breakwater heads. Based on numerical examples, it was found that the wave-induced pore pressures at breakwater heads are greater than that beneath a breakwater. The wave-induced seabed response around breakwater heads become more important with: (i) a longer wave period; (ii) a seabed with higher permeability and degree of saturation; and (iii) larger angle between the incident waves and breakwater. Furthermore, the relative difference of wave-induced pore pressure between fully-dynamic and quasi-static solutions are larger at breakwater heads than that beneath a breakwater.

공간 지반 정보를 활용한 이차원 분지 모델링 기반의 국내 홍성 지역에서의 부지 지진 응답 평가 (Assessment of Seismic Site Response at Hongseong in Korea Based on Two-dimensional Basin Modeling using Spatial Geotechnical Information)

  • 선창국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15-23
    • /
    • 2009
  • 지진 시 지반 운동의 증폭과 관련되는 부지 효과는 지하 토사 조건 및 지질 구조에 따라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홍성 지역을 대상으로 시추 조사와 현장 탄성파 시험을 포함한 현장 조사 및 지표 부근 지질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부지 답사를 통해 부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홍성 지역은 1978년 계기 지진이 발생한 지역으로서 기반암 상부에 최대 45 m 두께의 풍화 지층이 분포한다. GIS 기법 기반의 지반 정보 시스템을 연구 대상 지역의 공간 지층 구조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구축하였으며, 이로부터 홍성 지역이 얕고 넓은 분지 형상임을 확인하였다. 홍성 지역의 부지 지진 응답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표 단면에 대한 이차원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지진 응답 결과로부터 지반 운동이 기반암 상부 토사층을 톰해 전단파가 전파되면서 증폭되고 분지 형상에 따른 전단파의 상호 작용으로 생성된 표면파로 인해 분지 경계 부근 진동 지속 시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분지 내의 선정된 토사 부지들에 대해서 추가적인 일차원 유한 요소 지진 응답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 분지가 매우 얕고 넓음에 따라 분지 경계 부근을 제외하고는 분지 내 대부분의 위치에서 이차원 지진 응답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의 크기 및 분포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Pressure Magnitude and Distribution in Jointed Rockmass)

  • 손무락;윤철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C호
    • /
    • pp.203-212
    • /
    • 2011
  • 본 논문은 암반지층에 설치되는 굴착벽체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을 위해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하는 토압의 크기 및 분포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먼저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암반지층의 다양한 절리특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개별요소법(DEM)에 근거한 불연속체 수치해석적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매개변수로는 암반종류 및 절리상태(절리면의 전단강도 및 절리경사각)가 고려되었으며, 지반과 굴착벽체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면서 각 요소의 영향이 고려된 토압크기 및 분포특성이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과 토사지반에서의 경험토압인 Peck토압과의 상호 비교가 이루어졌다. 비교결과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 발생된 토압의 크기 및 분포는 암반의 종류 및 절리상태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토사지반에 있어서 Peck의 경험토압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는 향후 절리가 형성된 암반지층에서의 굴착벽체 설계를 위한 토압산정에 필요한 정보 및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notation of a hypothetical protein (SCO0618) of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Ferdous, Nadim;Reza, Mahjerin Nasrin;Emon, Md. Tabassum Hossain;Islam, Md. Shariful;Mohiuddin, A.K.M.;Hossain, Mohammad Uzzal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8권3호
    • /
    • pp.28.1-28.9
    • /
    • 2020
  • Streptomyces coelicolor is a gram-positive soil bacterium which is well known for the production of several antibiotics used in various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But numerous proteins from its genome are considered hypothetical protei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veal the functions of a hypothetical protein from the genome of S. coelicolor. Several bioinformatics tools were employed to predic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is protein. Sequence similarity was searched through the available bioinformatics databases to find out the homologous protein. The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 were predicted and further validated with quality assessment tools. Furthermore, the active site and the interacting proteins were also explored with the utilization of CASTp and STRING server. The hypothetical protein showed the important biological activity having with two functional domain including POD-like_MBL-fold and rhodanese homology domain. The functional annotation exposed that the selected hypothetical protein could show the hydrolase activity. Furthermore, protein-protein interactions of selected hypothetical protein revealed several functional partners those have the significant role for the bacterial survival. At last, the current study depicts that the annotated hypothetical protein is linked with hydrolase activity which might be of great interest to the further research in bacterial genetics.

모래 및 점토지반에서 터널시공조건을 고려한 인접구조물의 손상도 분석 (Damage Analysis of Nearby Structur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unnel Construction Conditions in Sandy and Clayey Ground)

  • 손무락;윤종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C호
    • /
    • pp.53-63
    • /
    • 2011
  • 본 논문은 터널굴착으로 인해 발생된 인접지반에서의 지반변위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지반조건(느슨한 모래, 조밀한 모래, 연약한 점토, 단단한 점토) 및 시공조건(지반손실량)을 달리하면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이 고려된 상태에서 조사한 것이다. 터널굴착에 의해 발생된 지반변위에 노출된 4층 블록식구조물이 서로 다른 지반조건 및 시공조건(지반손실량)에 노출될 때 발생되는 구조물 거동이 수치해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수치해석을 위한 구조물은 소요전단 및 인장강도 이상의 응력이 발생할 때 구조물에 실제크랙이 발생될 수 있도록 개별요소법(DEM)을 이용하여 모델링되었다. 터널굴착유발 지반변위에 노출된 4층 블록식구조물의 거동 및 손상정도가 지반변위의 크기에 따라 조사되었으며, 발생된 구조물의 거동 및 손상정도는 구조물에 발생한 변형, 크랙크기 및 분포를 고려하여 지반조건 및 시공조건(지반손실)별로 비교되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반조건 및 시공조건(지반손실)의 변화에 의해 구조물에 유발될 수 있는 손상정도의 크기가 손상도 예측기준 (Son and Cording, 2005)을 사용하여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터널굴착으로 인해 유발되는 인접구조물의 손상을 제어하고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절리형성 암반지층 굴착벽체 작용토압에 대한 절리 점착강도의 영향 (Effect of Joint Cohesive Strength on the Earth Pressure against the Support System in a Jointed Rock Mass)

  • 손무락;솔로몬 아데도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7호
    • /
    • pp.41-53
    • /
    • 2014
  • 본 연구는 절리형성 암반지층 굴착벽체 작용토압의 크기 및 분포에 대해서 절리의 점착강도, 암석종류 및 절리경사각을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절리 점착강도의 영향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실내모형실험(Son and Park, 2014)에 근거하여 암석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확장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때 매개변수 연구는 암석과 절리의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별요소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굴착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암석 및 절리경사각 뿐만아니라 절리 점착강도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리 점착강도의 영향은 특히 절리가 활동될 수 있는 조건에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조건에서 절리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한 절리 점착강도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또한 토사지반에서의 토압산정을 위해 자주 이용되는 Peck의 경험토압과도 비교되었다. 비교결과 절리형성 암반지층에서 발생하는 토압은 토사지반에서의 토압과는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절리형성 암반지층 굴착벽체 작용토압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