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leaching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8초

왕겨 바이오차 및 음식물쓰레기 바이오차가 밭 사양토에서 상추발아 및 수용성 유기탄소 용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ng germination of lettuce and soluble organic carbon leachability in upland sandy loam soil applied with rice husk and food waste biochar)

  • 한경화;장용선;정강호;조희래;손연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69-377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rice husk (RHB) and food waste biochar (FWB) on upland soil with sandy loam textur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lettuce seed germination test, and orgainc carbon leaching experiment. RHB and FWB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each other. Carbon to nitrogen ratio (C/N ratio) of RHB was 32, showing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FWB. FWB had high salt and heavy metal content, compared to RHB. This is probably due to different ingredients and production processing between two biochars each other. Results of germination test with Lettuce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 when FWB was applied because of higher salt concentration compared to control and RHB. Organic carbon leaching test using saturated soil column (${\Phi}75{\times}h75mm$) with $10MT\;ha^{-1}$ biochar application rate, showed highe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rice husk biochar treatment column, compared to control and food waste biochar treatment. The highest total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in column effluent was lower than those in both of rice husk biochar and food waste biochar, whereas the differences was negligible after 9 pore volumes of effluent. Consequently, biochars from byproducts such as rice husk and food waste in sandy loam textured upland soil could enhance a buffer function such as reduction of leaching from soil, but the harmful ingredient to crops such as high salt and heavy metals could limit the agricultural use of biochars.

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 성분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 2. 모델링 접근 (Effect of soil Venting on Dissolution Potential of Gasoline Components in Contaminated Soil : 2. Modeling Approach)

  • 염익태;이상현;허상철;안규홍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20
    • /
    • 1998
  • Soil venting이 오염토양중 가솔린의 용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Raoult의 법칙에 근거한 복합물질 휘발/용해거동 모델을 적용하였다. 먼저 순수 가솔린의 용해거동과 휘발거동에 대해 검토한 후 토양중 가솔린의 거동에 적용하여 보았다. 가솔린성분들의 용해거동은 휘발에 의한 성분조성의 변화와 상관없이 Raoult의 법칙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며 오차범위는 naphthalene을 제외하고는 최고 $\pm$100% 이내였다. 오염토양의 형태로 가솔린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Raoult의 법칙에 의해 정확히 예측될수 있었으나 토양중 농도가 초기 20,000 mg/kg에서 1,360 mg/kg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예측치가 계산값보다 50~10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soil venting시 휘발에 따른 조성변화를 Rao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각 성분조성에 대한 개별물질들의 용출잠재성을 결정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모델값과 실험값의 차이에 대한 몇가지 가능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 PDF

하수슬러지의 토양개량재 적용시 유기인계 농약의 흡착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pplying Sewage Sludge to Soil Amendment)

  • 임은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95-103
    • /
    • 2004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토양개량재로 적용에 따른 세 가지 유기인계 농약 Diazinon, Fenitrothion, Chlorpyrifos의 흡착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유기인계 농약 흡착시험 결과, 농약 흡착 등온식은 Freundlich 식이 잘 맞았다. Freundlich 상수 중 하나인 N은 모든 농약에서 1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으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Freundlich 상수값인 N 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Freundlich식에서 흡착능을 나타내는 K값은 농약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으며, 토양에 슬러지를 첨가한 시료에서는(Soil-Sludge) 토양내 유기물 함량의 증가로 농약 흡착량은 슬러지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A-Soil)에 비해 2∼4배 정도 증가하였다. 토양층을 모사한 토양 컬럼에서 농약의 용출 특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큰 농약일수록 용출 비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토양에 슬러지가 첨가됨에 따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증가하면 토양에서 농약 흡착량이 증가되어 농약이 토양하층으로 침투가 억제, 농약의 용탈 정도가 감소하였다.

화산회토에서 퇴비 및 요소시용에 따른 토양중 $NO_3$-N, 양이온의 용탈 (Crop Growth and Nutrient leaching from Soil with Application of Urea and Compost in Volcanic Ash Soil)

  • 강봉균;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5
    • /
    • 2001
  • 작물생산을 위하여 토양에 시용된 비료는 용해되어 일부는 작물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토양중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쳐 심토층으로 용탈되는데 특히 NO$_3$-N은 지하수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시험은 밭토양에서 질소질비료 및 완숙 퇴비를 시비함에 따른 작물체의 흡수와 토양내 시비 양분의 이동, 지하수로의 용탈 가능성에 파악하여 환경보존형농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지역 화산회토에서 Lysimeter(체적 0.15㎥, 지름 62cm, 높이 62.8cm)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면서 강우시 용탈수를 채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Lysimeter 시험 처리 내용은 무비방임구, 미비무재배 서초구, 무비재배구, 질소 토양처리구(16, 32, 64kg/10a), 질소+퇴비 토양처리구(16+800, 32+1600, 64+3200kg/10a), 질소 수용액처리구(16, 32kg/10a), 질소보비(32kg/10a) 소식 및 밀식구 13처리로 하여 질소는 요소를 시용하였고, 전작물로는 옥수수를, 후작물로는 감자를 재배하면서 작물의 생육 및 이온의 용탈정도를 조사하였다. 용탈수의 pH는 질소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점차 낮아지는 반면, NO3-N 농도는 증가하는 추세였다. No$_3$-N의 용탈총량은 무비방임구(T1) 및 무비무재배 서초구(T2)가 보비구(T5)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면, 무비재배구(T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용액 시비구의 용탈 평균농도가 토양시비구의 64%에 불과하였고, 밀식구의 용탈평균농도는 와식구의 54.5%로 낮았다. Ca 및 K 이온의 농도 및 용탈총량도 무비재배구(T3)에서 가장 낮았으며, 무비방임구(T1) 및 무비무재배 서초구(T2)에서 높게 나타나 NO3-N과 유이한 경향을 보였다. 시비질소의 용탈율은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높아졌고 밀식구 및 수용액시비구에서 낮아졌다. 따라서 앞으로는 시비 양분의 지하수로의 용탈을 줄이고, 시비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특속 가능한 환경친화형 농업에 바탕을 둔 고도의 시비처방 기능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잔류 불산에 의한 모델 지질토양시료의 광물 용해 및 비소 용출 특성 (Impact of Residual Hydrofluoric Acid on Leaching of Minerals and Arsenic from Different Types of Geological Media)

  • 전필용;문희선;신도연;현성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2호
    • /
    • pp.23-29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secondary effects of the residual hydrofluoric acid (HF) after a hypothetical acid spill accident by investigating the long-term dissolution of minerals and leaching of pre-existing arsenic (As) from two soil samples (i.e., KBS and KBM) through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An increase in the HF concentration in both soil samples resulted in a dramatic increase in the release of major cations, especially Si. However, the amounts of mineral dissolved were dependent on the soil type and mine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KBM soil, relatively more Ca, Mg and Si were dissolved from the KBS soil. The column experiment showed that the long-term dissolution rates of the miner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id buffering capacity of the two soils. The KBM soil had relatively higher effluent pH values compared to the KBS soil. Also, more As was leached from the KBM soil, with a more amorphous hydrous oxide-bound As f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heavy metal leaching by the residual acid after an acid spill will be influenced by heavy metal speciation and mineral structure in the affected soil.

살균제 Fluazinam의 토양환경 중 흡.탈착, 용탈 및 분해양상 (Adsorption-Desorption, Leaching, and Degradation Pattern of Fungicide Fluazinam in the Soil Environment)

  • 허원;이석준;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28-133
    • /
    • 1997
  • 유기물 함량이 다른 두 종류의 토양을 선정하여 풍건한 조건, 유기물을 제거한 조건 및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humic acid 또는 fulvic acid를 첨가한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살균제 fluazinam (3-chloro-N-(3-chloro-5-trifluoromethyl-2-pyridyl)-${\alpha},{\alpha},{\alpha}$-trifluoro-2,6-dinitro-${\rho}-toludine$)의 흡착, 탈착, 용탈 및 잔류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Fluazinam의 흡착양상은 Freundlich equation에 잘 부합되었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서 fluazinam의 흡착량 및 흡착강도는 유기물을 제거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humic acid 또는 fulvic acid를 각각 2.0%또는 0.5%되게 첨가한 경우, 흡착량은 fulvic acid를 첨가한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을 제거한 토양에 흡착된 fluazinam의 탈착율은 증가하였다. Soil column시험에서 토양표면에 처리된 fluazinam은 유출수에 의하여 용탈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표토층 (5 cm)에 존재하였고 표층 15 cm 이하로는 이동되지 않았다. 토양중 fluazinam의 잔류량변화는 유기물 함량이 적은 토양 보다는 많은 토양에서, 살균조건의 토양보다는 비살균조건의 토양에서, 비담수토양 보다는 담수토양에서 빠르게 감소하였다.

  • PDF

남부지역 골프장의 토양단면 특성 (Soil Profile Characteristics of Coif Courses Located in Southern Region)

  • 최병주;주영희;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5-80
    • /
    • 1995
  • In eight golf courses of southern area fair way soil profile was investigated for soil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and root distribution. These were carried out only A horizon(lScm depth) in one golf course. Soil series was all different, Leaching to lower horizon was greator in order of Mg=$NO_3$> $NH_4$=Ca> K. Organic matter content was higher in B horizon than A in three golf courses. Soil phosphorus appeared to more down greatly in two golf courses. Soil pH was higher in lower horizon of all places. Such pH increase with depth seemed to he related with mineral leaching, Among the horizons of all golf courses BC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 (EC =0.1025K +0.0157, r=0. 8012 p=0. 001 n=20). Both Fe and Mn were higher in A horizon.

  • PDF

소각재 용융슬래그의 건설재료로서 재활용시 적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the compatibility of recycling melting slag from incinerator ashes as construction materials)

  • 한영수;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0-33
    • /
    • 2001
  • Melting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for stabilizing heavy metals and also creates high value by-products. In this study, authors evaluated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melting slag obtained from incinerator ashes. In order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ompatibility of the recycled melting slag, the samples analysed various leaching tests of heavy metals were raw incinerator ashes, melting slag and the construction materials recycled from melting slag. As the results: (1) The leaching concentrations of tile melting slag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raw incinerator ashes in the experiment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Korea Standard Leaching Test (KSLT). (2) The result of leaching test with the method of RG Min-StB 93. FGSV Forschungsgesellschaft fur Stra $\beta$ en- und Verkehrswesen) met the requirements in German. (3)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mortar samples used for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recycling the melting slag as construction materials also showed the suitable range for recycling (4) Melting slag was considered the stable materials with respect to the chemical stability against chemical solutions with various pH conditions.

  • PDF

소각재 용융슬래그의 중금속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 in Melting Slag of Incinerator Ashes)

  • 한영수;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1호
    • /
    • pp.23-31
    • /
    • 2001
  • 용융처리는 중금속을 안정화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며, 또한 고가의 부산물을 생산해낸다. 본 연구에서는 소각재를 용융하여 얻은 슬래그의 중금속 용출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슬래그를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환경적인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각재, 슬래그 및 슬래그를 재활용재로 하여 제조한 건설재료에 대한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표준용출시험법(KSLT)에 의해 시험한 슬래그의 중금속 용출농도는 소각재의 용출농도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2) 장기용출시험법에 의해 평가한 슬래그의 중금속 용출농도도 KSLT의 기준을 만족했다. (3) 슬래그의 건설재료로서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만든 모르타르 공시체의 용출결과, 슬래그를 재활용재로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중금속 용출 측면에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 독일의 소각재 재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인 RG Min-StB 93, FGSV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시험한 결과, 본 슬래그의 용출농도는 독일의 규제기준을 만족하였다.

  • PDF

Leaching Model System에 의한 토양(土壤) 정균현상(靜菌現象)의 분석(分析) (Quantitative Evaluation of Leaching Model System for Soil Fungistasis)

  • 허현;홍인표;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4-259
    • /
    • 1987
  • 4가지 균주의 포자를 4가지의 용액으로 Non-leaching과 Leaching하에서 배양하고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Non-leaching배양된 Fusarium solani f. sp. pisi의 경우 포자발아율은 pfeffer's solution에서 90%로 가장 낮았으며 Buffer solution에서 99%로 가장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subsoil extract에서 51%로 포자발아가 억제되었고 pfeffer's solution에서 63%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um의 경우 포자발아율은 증류수에서 31%로 가장 적게 억제되었고 Buffer solution에서 45%로 가장 많이 억제되었다. Leaching배양의 경우 Buffer solution에서 17.5%로 가장 억제되었고 증류수에서 25%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Helminthosporium sativa의 경우 증류수에서 86.1%로 발아가 낮았고 Buffer solution에서 98%로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Buffer solution에서 47%로 발아가 억제되었고 증류수에서 80.4%로 덜 억제되었다. Non-leaching배양한 Mortierella n. sp.의 경우 발아율은 subsoil extract에서 38.5%로 낮았고 증류수에서 62.5%로 높았다. Leaching배양의 경우 발아율은 증류수에서 15%로 크게 억제되었고 pfeffer's solution에서 37.5%로 덜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