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filter strip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토양여과대의 침투능 향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Effects of Non-Point Pollutants by Improvement of Infiltration Capacity of Soil Filter Strip)

  • 우수혜;최이송;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264-272
    • /
    • 2007
  • 본 연구는 한강 상수원 수변지역의 실제 적용에 앞서 Bench scale의 실험을 통해 식생여과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효율적인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대조군, 모래+자갈, 여재, 자갈의 토양여과대를 조성하여 토양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키고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토양여과대에서 단면 및 하부로의 침투를 증가시킨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토양여과대의 평균 표면 유출부하량과 비교하여 $8.2{\sim}40.1%$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토양여과대 조성을 통한 표면 유출부하량의 감소 효과가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에 따른 총유출부하량을 통해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저감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인 제거율은 SS $84.5{\sim}92.5%$, BOD $67.9{\sim}80.6%$, T-N $43.4{\sim}76.6%$), T-P $40.6{\sim}87.4%$, Cu $28.3{\sim}48.1%$, Fe $92.1{\sim}97.7%$, Pb $81.4{\sim}97.3%$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각각의 토양여과대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여재, 모래+자갈, 자갈의 순으로 저감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식생여과대에 비해 토양층을 변화시켜 토양의 침투능을 향상시킨 토양여과대가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보다 효과적이며, 하천에 가해지는 오염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차후 현장 적용 시 보다 실효성 있는 비점오염 저감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골지천 유역의 최적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분석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SWAT Filter Strip in Golji Watershed)

  • 박윤식;권재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6
    • /
    • 2014
  • BACKGROUND: Best management practices are often implemented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ants.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simulated and analyzed for effective Best management practices implementations. Filter strip is one of effective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agricultural areas. METHODS AND RESULTS: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s select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filter strip to control total phosphorous in Golji watershed.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was calibrated for flow and total phosphorous by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 ver.2 algorithm provided i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cedures. Three scenarios defined by filter strip width were applied. The filter strip width of 5 m was able to reduce the most amount of total phosphorous. In other words, the total phosphorous reduction by filter strip of 5 m was 28.0%, while the reduction was 17.5% by filter strip of 1 m. However, the reduction per unit filter strip width were 17.4%, 8.0%, and 4.5% for 1 m, 3 m, and 5 m of filter strips, respectively. CONCLUS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need to be simulated and analyzed so that the BMP scenario can be cost-effective. A large size of BMP might be able to control large amount of pollutants, however it would not be indicated as a cost-effective strategy.

초생대를 이용한 산지유역 토사유출 저감에 관한 연구 (Study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using Vegetative Filter Strips in a Mountainous Watershed)

  • 손광익;김형준;임경재;정영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7
    • /
    • 2015
  • Soil loss is one of the significant disasters which have threatened human community and ecosystem. Particularly, Korea has high vulnerability of soil loss because rainfall is concentrated during summer and mountainous regions take more than 70% of total land resources. Accordingly, the sediment control management plan are required to prevent the loss of soil resources an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receiving waterbodies. In this regar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and 2)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rainfall intensity and sediment runoff. For this, SATEEC and VFSMOD were used to estimate sediment runoff according to rainfall intensity and to quantify the effect of VFS on sediment runoff reduc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VFS has higher impact on sediment reduction for lower maximum rainfall intensity, which means that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is one of significant factors to control sediment runoff. Also, the sediment with VFS considered was highly correlated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For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 the applicability of VFS in establishing eco-friendly sediment control plans.

바이오 연료 생산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질오염의 최소화 방안 (The Impacts of Biofuel Production on Water Quality and a Mitigation Methodology to Reduce the Impacts)

  • 이태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0-66
    • /
    • 2011
  • 대체에너지로써의 바이오 연료 작물과 그 경제성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새로운 작물의 생산에 따른 수질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바이오 연료 작물은 그 경제적 효율성 때문에 많은 양의 비료를 필요로 하므로 농경지 부근과 하류지역의 수질 오염이 예측된다. 이 논문에서는 바이오 연료 작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을 이용하여 작물의 전과 후의 시나리오로 예측하였다. 그리고 수질 악화를 줄이는 방안으로 30미터 넓이의 필터 스트립을 모델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바이오 연료 작물 생산에 필요한 농경 일정은 이 전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모델 예측 결과, 농경지 주변에서는 연간 250-1,150%의 총질소가, 그리고 100-1, 100%의 총인이 각각 증가하였다. 유역의 유출구 (호수)에서는 연간 40-50%의 총질소와 총인이 증가하였다. 필터 스트립을 설치한 후 농경지 주변에서는 연간 58.0-67.9%의 총질소와 57.7-68.2%의 총인이 각각 감소하였으며 유출구에서는 연간 28.5%의 총질소와 29.4%의 총인이 각각 감소하였다.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식생대가 PO4-P 및 토양유실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ss Filter Strips on PO4-P and Soil Loss in Runoff from Forage Cropland)

  • 조남철;윤세형;김기용;이기원;김맹중;육완방;정민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9-316
    • /
    • 2010
  • 본 연구는 사료작물 재배지에 가축분뇨를 시용한 사료작물 재배지에서 초지식생대를 설치에 따른 $PO_4$-P와 토양 유실 저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시험은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천안)에서 경사가 약 10%에서 ${\pm}3%$인 자연 경사지를 이용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수행하였다. 가축분뇨 시용은 화학비료, 우분퇴비 및 돈분퇴비를 시용하였으며, 초지식생대의 길이는 5 m, 10 m 및 15 m의 길이로 설치하였다. 초지식생대 길이에 따른 유거수 중의 $PO_4$-P의 농도는 초지식생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유거수 중의 평균 $PO_4$-P 농도는 초지식생대 0 m인 지점에 비해 초지식생대의 길이가 10 m 및 15 m 일 경우 $PO_4$-P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초지식생대의 길이 10 m와 15 m 사이의 유실량의 유의적인 감소는 일어나지 않았다. 가축분뇨 시용에 따른 2008~2009년 평균 $PO_4$-P 농도는 화학비료 > 우분퇴비 > 돈분퇴비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초지식생대 설치에 따른 2년 평균 토양 유실량은 길이가 5 m, 10 m, 15 m로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며, 5 m 및 10 m에 비해 15m 지점에서 유의적인 토양 유실량 감소를 가져왔다(p < 0.05). 따라서 경사지에서 초지식생대의 설치는 가축분뇨를 시용한 사료작물 재배 시 강우로 유실되는 $PO_4$-P와 토양의 유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강옹벽개발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유용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권3호
    • /
    • pp.51-66
    • /
    • 1986
  • 본 연구는 재래식 옹벽의 단점을 보완하여 skin element로써 간단한 L-type concrete block을 사용하고 reinforcing strip재로써 plastic fabric strip를 이용하며, back fill재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하는 나강암풍화토를 사용하여 만든 보강벽체를 통하여 몇가지 실험을 한 결과 이들 서반재료의 특성을 발안하여 개발된 이론식에 의하여 결정한 벽체의 보강은 삽입한 strip의 간격, 층수, 뒷채움 재의 입도분포, 다짐상태 및 strip의 인장강맥에 좌우되며 본보강옹벽체는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함이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특히 강원도와 같은 유간지역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농촌 소유역 유출수에서의 영양염류의 거동 (Behavior of Nutrients in Runoff Water from a Small Rural Watershed)

  • 오광영;김진수;오승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1권2호
    • /
    • pp.51-5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nutrients such as TN (Total nitrogen), TDN (Total dissolved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TDP (Total dissolved phosphorous) in runoff water from a nonpoint source dominated watershed ($6.67\;km^2$). Regular and intensive flow measurement and water sampling were taken during two years (February 2002 to January 2004) in the Ingyeong River,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The mea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ring rainy day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ose during dry days. The mean TDN/TN ratio in rainy days (95%) is almost identical to that in dry days (96%), but mean TDP/TP ratio in rainy days (24%)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dry days (66%), suggesting that dominant form of TP is shifted from dissolved form to particulate form. Accordingly, the measures (.eg. filter strips, cover crops) to reduce soil erosion for fallow upland in the rainy season should be taken to control particulate phosphor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