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a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3초

석탄 화력 보일러의 공기 다단공급방식을 통한 연소 및 배기 배출물 특성 최적화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the Optimization of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Staged Combustion in a Pulverized Coal-Fired Boiler)

  • 윤민지;이병화;송주헌;김규보;장영준;전충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6호
    • /
    • pp.587-597
    • /
    • 2010
  • 공기다단연소는 석탄화력발전에서 NOx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 중에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분탄 보일러에 공기다단연소를 적용하여 현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NOx 저감을 이룰 수 있는 최적의 운전조건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기다단연소를 적용하기 위해 미분단 보일러에 설치된 CCOFA와 SOFA를 통해 공급공기비율을 16.7/83.3%, 25/75%, 50/50%, 75/35% 그리고 83.3/16.7%로 서로 다르게 공급하여 연소 및 배출물질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또한 공기다단연소기술의 적용에 의한 냉각 영향와 재연소반응 영향를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공기와 질소를 각각 공급하여 NOx 저감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CCOFA와 SOFA에 동일한 양을 공급한 공기다단연소조건에서 NOx의 최대저감효과를 확인하였고,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운전조건병경에 의한 미분탄화력의 미연분 저감 (Reduction of unburned carbon derived from coal-fired power plant by changing operating conditions)

  • 박호영;김영주;유근실;김춘근;김동훈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6년도 제3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299-303
    • /
    • 2006
  • From the analysis of fly ash, which contains unburned carbon, collected from the coal-fired Yong Hung power station, most particles are turned out to be hollow cenosphere and agglomerated soot particles. The sooting potential from six coals used in the plant were investigated with CPD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potential presented to Peabody, Arthur, Shenhua coals rather than other coal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coal flow rates at each coal feeding pipe for four burner levels since they affect the extent of mixing of soot with oxidant, in turn, the oxidation rate of soot particles. The unbalance in coal flow rate was found in several coal pipes. We successfully reduced unburned carbon in ash by increasing the excess air and changing the SOFA yaw angle.

  • PDF

가구화재시 열적성층의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s of Thermal Stratification of Furniture Fire)

  • 허만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29
    • /
    • 1996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formations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a room in case of several furniture fires such as trashcan, chair, carpet, sofa, mattress and wardrobe as a fire starter in a residential room by performing the experimental studies. The uniformly distributed fire in case of carpet showed that the ignition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 were relatively short while the fully developed period was considerably long. The concentrated fires such as the mattress and wardrobe showed that the ignitions and the initial growth periods were relatively long. When fire spread to only one direction, like the case for the trashcan with a regular shape, there was one peak of temperature profile, and for the irregular shaped furniture such as chair, sofa, mattress and wardrobe, there were two or more peaks. The interface heights for the furniture fires were around 1(m) mataining constant state. However, at the time of the maximum temperature, the interface height was lowered to 0.25(m)-0.75(m) from the floor

  • PDF

급기구 유입각도에 따른 실내 환기효율 (Indoor Ventilation Efficiency Depending on Diffuser Inlet Angle)

  • 전현준;장용준;양경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49-355
    • /
    • 2011
  •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dispersion of a pollutant released from a new furniture, a kind of Sick Building Syndrome (SBS). A sofa which generates formaldehyde is implemented by using an immersed boundary method. Large Eddy Simulation (LES) is employed to obtain time-dependent velocity and concentration fields. It is shown that the ventilation efficiency in this room can be improved by changing inlet angle of diffuser, even though other conditions still remain unchanged. Both active diffusion near a sofa and air flow pattern are important parameters to enhance the ventilation efficiency.

소파커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fa Cover Materials)

  • 이광흠;박영근;윤명오;현성호;김동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5-42
    • /
    • 2003
  •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내내장재료 중 소파커버의 인조가죽 5종에 대하여 연소시 위험성 요소인 착화성, 난연성, 열방출율, 독성가스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Artificial Leather 1~5의 착화온도는 $427~437^{\circ}C$, 산소지수는 19~20%로 나타났다. 또한$ 25 kW\m^2$의 복사열에서 착화시간은 10~16초, 최대열방출율은 kW/$\m147~277^2$이었으며, 35 kW/$\m^2$의 복사열에서 착화시간은 6~9초, 최대 열방출율은 $176~296 kW\m^2$ 및 일산화탄소(CO)는 5,550~6,290 ppm, 이산화탄소($CO_2$)는 18,500~23,400 ppm, 염화수소(HCl)는 110~140 ppm, 시안화수소(HCN)은 13~65 ppm, 질소산화물(NOx)은 145~220 ppm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efulness of presepsin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epsis or septic shock: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Koh, Jeong Suk;Kim, Yoon Joo;Kang, Da Hyun;Lee, Jeong Eun;Lee, Song-I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318-325
    • /
    • 2021
  • Background: The diagnosis and prediction of prognosis are important in patients with sepsis, and presepsin is helpful.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presepsin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sepsis in Korea.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sepsis according to the sepsis-3 criteria were recruited into the study and classified into surviving and non-surviving groups based on in-hospital mortality. A total of 153 patients (32 and 121 patients with sepsis and septic shock, respectively) were included from July 2019 to August 2020. Results: Among the 153 patients with sepsis, 91 and 62 were in the survivor and non-survivor groups, respectively. Presepsin (p=0.004) and lactate (p=0.003) levels and the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score (p<0.001) were higher in the non-survivor group.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revealed poor performances of presepsin and lactate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sepsis (presepsin: area under the curve [AUC]=0.656, p=0.001; lactate: AUC=0.646, p=0.003). The SOFA score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the highest AUC value (AUC=0.751, p<0.001). The prognostic cutoff point for presepsin was 1,176 pg/mL. Presepsin levels higher than 1,176 pg/mL (odds ratio [OR], 3.352; p<0.001), higher lactate levels (OR, 1.203; p=0.003), and higher SOFA score (OR, 1.249; p<0.001) were risk factors for in-hospital mortality. Conclusion: Presepsin levels were higher in non-survivors than in survivors. Thus, presepsin may be a valuable biomarker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sepsis.

A Study on the make Fire Scenario for Residential Facility Combustible Materials

  • Kim, Dong-Eun;Lee, Dong-Y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37-143
    • /
    • 2021
  • 본 연구는 주거시설의 화재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화재시나리오를 작성에 앞서 주거시설내의 대표적인 가연물 6개를 선정하여 이를 통한 발열량을 실험을 실시하고 데이터를 정량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화재시나리오 적용될 화재성장곡선의 기준값을 선정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거시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화재시나리오가 적용되지 않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가연물의 종류 및 다양한 화재하중 등으로 인하여 문제시될수 있기 때문에 정량화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연물의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화재특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대표적인 가연물들을 통하여 소파, 서랍장, 매트리스, 의자, 책상, TV의 발열량 실험을 통하여 정량화 할 수 있는 엑셀 매크로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NFPA 72에서 제시하고 있는 화재성장율과 비교하였을 때 각 가연물별로의 추세값이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향후 주거시설에서 발생할 화재시나리오에 기초적인 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소아 중환자실에 입실한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의 예후 및 위험인자 (Outcome and risk factors of pediatric hemato-oncology patients admitted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 김보은;하은주;배근욱;김성국;임호준;서종진;박성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53-1160
    • /
    • 2009
  • 목 적:최근 다양한 치료 방법의 발전과 지지요법의 발달로,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으나, 적극적이고 다양한 치료를 하게 되면서 이와 관련된 여러 합병증으로 소아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또한 많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중환자실에 입실한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의 임상양상과 사망률을 살펴보고,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에게 적합한 중증도 측정 체계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방 법:2005년 9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 중환자실에 입실한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 중 3일 이상 재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했다. 생존군과 비생존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재실 일수에 대하여 조사했고, 기저 질환과 중환자실 입원 이유, 인공호흡기 적용 여부, 투석 및 승압제 투여 여부, CRP 및 ANC에 따른 사망률을 알아보았다. 또, 생존군과 비생존군의 OSF number, SOFA score, PRISM III score, O-PRISM score를 비교하고, 점수에 따른 사망률을 알아보았다. 결 과:총 88예 중 30예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34.1%이었다. 남아가 49예, 여아가 39예이었고, 평균 나이는 $7.0{\pm}5.7$세, 평균 재원일수는 $18.1{\pm}22.2$일로 이었다. 기저 질환은 혈액 질환이 68예(77.3%)로 가장 많았으며, 중환자실 입실 이유는 호흡기능 부전이 35예(39.8%)로 가장 많았고, 패혈쇼크가 19예(21.6%)이었다. CRP는 생존군에서 $9.1{\pm}9.0$, 비생존군에서 $16.4{\pm}11.2$로, 비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1), 비생존군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나 투석이 필요했던 경우가 많았으며(P<0.01),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군의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중증도 측정 체계 중에서는 initial OSF number, highest OSF number, SOFA score, PRISM III score가 비생존군에서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고(P<0.01), 이들을 수용자 작업특성곡선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highest OSF number가 곡선하면적 0.845로 가장 높았고, 중환자실 입실 24시간 이내에 측정한 PRSIM III score와 SOFA score의 곡선하면적이 각각 0.723, 0.751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총 21예에서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았으며 이들의 O-PRISM score는 비생존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소아 중환자실 입실한 소아 종양/혈액 질환 환자 사망의 위험인자로는 CRP, 인공호흡기 치료, 투석, 조혈모세포 이식이 있었으며, 예후 예측지표로는 highest OSF number, PRISIM III score, SOFA score가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ardiac Troponin I의 유용성 (Usefulness of Cardiac Troponin I as a Prognostic Marker in Noncardiac Critically Ill Patients)

  • 김휘종;함현석;조유지;김호철;이종덕;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53-61
    • /
    • 2005
  • 배 경 : cTnI는 심근손상의 특이 표시자로서 급성관상동맥 질환에서 높은 증가는 나쁜 예후와 상관이 있다. cTnI의 증가는 여러 가지 비심장성 중증질환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연구자 등은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예후인자로서 cTnI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내과계 중환자실에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이외의 중증 질환으로 입원한 215명의 환자(남:142명, 여:73명, 평균 나이:$63{\pm}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내에 SAPS II와 SOFA점수를 산출하였고 혈청 cTnI를 측정하였다. cTnI 양성군(${\geq}0.1{\mu}g/L$)과 음성군($<0.1{\mu}g/L$) 환자의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 30병일째에 혈청 cTnI의 평균수치를 비교하였다. cTnI 양성군에서 혈청 cTnI 수치와 SAPS II와 SOFA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1) cTnI양성군 환자는 120명(56%)이었고 음성군환자는 95명(44%)였다. 2) 중환자실 제 10병일째와30병일째의 사망률은 cTnI 양성군(29%, 41%)이 음성군(12%, 2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3) cTnI 양성군에서 중환자실제10병일째와 30병일째의 cTnI 평균 수치는 비생존군($4.5{\pm}9.2{\mu}g/L$, $3.5{\pm}7.9{\mu}g/L$)이 생존군($1.8{\pm}3.6{\mu}g/L$, $2.0{\pm}3.9{\mu}g/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cTnI 양성군에서 cTnI 수치는 SAPS II 점수(r=0.24, p<0.001)와 SOFA 점수(r=0.30, p<0.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혈청 cTnI는 비순환기계 중환자의 유용한 예후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