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778건 처리시간 0.042초

비단벌레(Crysochroa fulgidissima) 에탄올추출물의 NO 증강 및 염증인자억제활성 (NO and Cytokine Production due to Crysochroa fulgidissima)

  • 안미영;김순자;정혜경;서윤정;박해철;이영보;김미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7-233
    • /
    • 2011
  • 비단벌레(C. fulgidissima)는 동아시아에서 중풍을 치료하는 약으로 한국에서는 살충, 지양제로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본 연구는 비단벌레의 에탄올 추출물의 내피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증강효과와 내피성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양적 증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은 양성대조약물 sodium nitroprusside에 비해 65.9%의 NO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NOS에 대해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염증성부착인자인 ICAM-1과 VCAM-1 수치와 염증매개인자 프로스타글란딘 $E_2$를 조사하여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기전을 조사한 결과, HUVEC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매개인자와 염증성부착인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혈관성 내피성장인자(VEGF)의 낮은 수치를 HUVEC 세포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HPLC로 부분정제 후 GC-MS와 MALDI-TOF 분석을 통하여 일부 칸다리딘 성분 함유함을 확인하였다

Ni3[Co(CN)6]2 PBA 나노큐브를 통한 단분산된 3차원 구조의 NiO/NiCo2O4 제조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ree-dimensional monodispersed NiO/NiCo2O4 via Ni3[Co(CN)6]2 PBA nanocubes)

  • 곽성훈;이영훈;김민섭;이철우;강봉균;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10-114
    • /
    • 2017
  • $Ni_3[Co(CN)_6]_2$ PBAs의 하소과정을 통해 단분산된 $NiO/NiCo_2O_4$ 나노큐브를 성공적으로 합성했다. 단분산된 $Ni_3[Co(CN)_6]_2$ PBAs 나노큐브는 수열합성 반응 시 생성된 핵 들의 '자기조립'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입자의 자기조립 속도는 온도와 계면활성제인 SDBS(Sodiumdodecylbenzenesulfonate)의 양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FESEM 분석을 통하여 SDBS: 0.25 g, 온도: $60^{\circ}C$에서 단분산된 200 nm의 PBA 나노큐브들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의 하소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TG-DTA)를 통해 열적 거동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BA 전구체 및 $NiO/NiCo_2O_4$ 입자의 형상과 결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과 X-ray diffraction(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芳香族디아민 및 아미노페놀-포름알데히드系 樹脂에 관한 硏究 (第2報) (Studies on Aromatic Diamine and Aminophenol-Formaldehyde Type Synthetic Resins (II))

  • 최규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81-388
    • /
    • 1974
  • p-Phenylenediamine(PPD) 및 m-aminophenol(MAP)를 몰비를 달리하면서, -5∼0$^{\circ}$, $N_2$ 기류중에서 일정량의 포르말린(이때 포름알데히드의 량은 PPD와 MAP 전량에 대하여 2배몰에 해당하는 량으로 고정)과 반응시키면 약간의 발열과 함께 급격히 부가축합이 진행되어 난용성인 갈색 내지 등색의 중합체를 생성한다. PPD:MAP의 몰비가 1:3, 1:2, 1:1의 것들을 180∼220에서 몰비가 2:1, 3:1의 것들을 250∼270$^{\circ}$에서 각각 암색으로 색변화를 이르킬 따름이며, 이 중합체들은 모두 300$^{\circ}$까지 용융하지 않는다. 이들 중합체의 메틸렌블루에 대한 흡착력은 N2 기류중에서 중합시킨것을 묽은(7%)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였을때 현저히 흡착력이 증가되어 PPD-MAP-F(F;포름알데히드)의 몰비가 1:3:8 일때 수지 1g당 80mg의 메틸렌블루를 흡착하며, 브롬페놀블루에대한 흡착력은 PPD-MAP-F의 몰비가 2:1:6일때가 최고이며, 수지 1g당 250mg의 브롬페놀블루를 흡착한다. TGA에 의한 내열성실험에서는 PPD-MAP-F의 몰비가 1:3:8인 경우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N_2$ 기류중 매분 2$^{\circ}$로 가열하였을때 900$^{\circ}$에서 45%의 중량손실을 나타내었다.

  • PDF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방출 조절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효과 (The Effect of Surfactant on Controlled Release of Amino acids Through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Membrane)

  • 김의락;정봉진;이명재;민경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35
    • /
    • 1993
  • Poly(hydroxyethyl methacryltate)[P(HEMA)]막을 통하여 생체중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들이 확산될 때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혼합 계면활성제의 존재여부에 따라 아미노산의 투과도를 조사 연구하였다. 글루타민은 양이온계면활성제인(CTABr)의 농도 1CMC에서 4가지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높은 확산값을 갖는다. 글루타민산의 확산은 CTABr의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메티오닌과 리진은 0.5CMC 영역에서는 다소 감소하나 1CMC와 2CMC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는 계면활성용액의 점도변화와 계면활성제에 의한 막의 구조변화에 기인한다. SDS와 Triton X-100 계면활성제에서는 4종의 아미노산중 글루타민산이 가장 큰 확산값을 갖는다. 한편 45% 물함량의 막을 통한 각 아미노산의 투과는 SDS/Triton X-100의 혼합 계면활성용액중에서 SDS의 0.5몰분률영역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수화겔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확산은 막의 성질뿐만 아니라 용질과 용매의 상호작용 그리고 용액의 영향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값들은 각 아미노산들의 분자형태, 분자크기 및 전하량에 따라 다른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새로운 3가 유기루테늄 착물의 합성과 반응 (Synthesis and Reactions of Organoruthenium(Ⅲ) Complexes)

  • 이동환;김학구;서대룡;김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8-104
    • /
    • 1993
  • $[({\eta}^5-C_5Me_5)RuCl_2]_2$ (1)과 1당량의 포스핀을 반응시켜 새로운 상자기성 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Cl_2(PR_3) (PR_3 = PMe_3,\;PEt_3,\;PiPr_3,\;PCy_3,\;PMe_2Ph,\;PMePh_2,\;PPh_3,\;P(p-C_6H_4CH_3)_3$, DPPE, DPPB, Py) (2a∼2k)를 합성하였다. 자기화율의 측정으로 부터 얻어진 착물 (2a∼2k)의 유효자기모멘트값(${\mu}_{eff} = 1.65∼2.07 B.M.$)은 분자내 짝을 이루지 않는 전자가 1개 있는 전자배치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디클로로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Cl_2(PR_3)$ (2) 는 (ⅰ)아세톤 용매 중에서 KBr과 반응하여 디브로모루테늄(Ⅲ) 착물 $({\eta}^5-C_5Me_5)RuBr_2(PR_3) (PR_3 = PPh_3)$로 전환되었고, (ⅱ) 디에틸에테르 용매 중에서 Na/Hg과 반응하여 비스(포스핀) 유도체 $({eta}^5-C_5Me_5)RuCl(PR_3)_2 (PR_3 = PMe_3,\;PMePh_2)$로 환원되었으며, (iii) CO와 반응하여 카르보닐 유도체$({\eta}^5-C_5Me_5)RuCl(PR_3)(CO) (PR_3 = PMe_3,\;PPh_3)$를 생성하였다.

  • PDF

벤조티아졸기를 갖는 벤조크라운에테르를 전극물질로 사용한 $K^+$ 이온선택성 막전극 (Benzothiazole Substituted Benzocrown Ether-Based Potassium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s)

  • 홍욱선;권혜경;차근식;남학현;장승현;정광보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698-704
    • /
    • 1995
  • 33중량%의 PVC와 66중량%의 o-NPOE 가소제에 1중량%의 중성 전극물질인 4'-benzothiazolyl-benzo-15-crown-5를 사용하여 성형한 막전극은 다른 15-크라운-5난 18-크라운-6 유토체들에 비하여 나트륨에 대하여 보다 낮은 선택성을 갖는 칼륨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이 막전극의 전기화학적 성질들(감응기울기, 선택성, 섬출한계 및 수명)을 잘 알려져 있는 칼륨선택성 전극물질인 발리노마이신, benzo-15-crown-5, 4'-aminobenzo-15-15-crown-5, benzo-18-crown-6, dibenzo-18-crown-6 및 bis[(benzo-15-crown-5)-4'-ylnethuyl]pimelate를 사용한 전극막들의 것과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서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벤조티아졸기가 치환된 벤조크라운에테르 화합물이 증가된 칼륨이온 선택성을 나타내게되는 이유를 치환기의 효과와 이온의 분배계수효과로 설명하였다.

  • PDF

농촌과 중소도시지역 40세 이상 성인의 영양소 섭취 질의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Quality Over 40 Year-Old People Living in Rural and Suburban Areas)

  • 이지은;안윤진;이주영;차정호;박찬;김규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91-500
    • /
    • 2004
  • To assess the quality of nutrient intake by area of Korean adults, a dietary survey with the 3-day record method was obtained from 324 subjects aged 40 years and older but younger than 70 (52.4 $\pm$ 8.7) living in a rural area (Ansung) and suburban area of a middle-sized city (Ansan). The quality of nutrient intake was assessed by analyzing Nutrient Adequacy Ratio (NAR), Mean Adequacy Ratio (MAR) and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The average daily mean energy intakes were 1,832 ㎉ for Ansung and 1,842 ㎉ for Ansan, respectively. Daily intakes of fat for Ansung and Ansan subjects were 40.9 and 40.3 g, and those for protein were 75.1 and 73.1 g, respectively. The overall calorie: protein: fat ratio (CPF) of energy intake was 63 : 17 : 20. Daily mean intakes of protein, fat, calcium, phosphorus, iron, potassium, carotene, sodium, thiamin,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nsung residents than in Ansan subjects (p < .05). The average intakes of energy, calcium, vitamin A were lower than Recommend Dietary Allowance (RDA) in both areas. Note, over 30% of the study subjects had less than 75% of RDA of calcium, vitamin A and riboflavin. The MAR was higher in Ansung than Ansan residents (0.86 and 0.85, respectively; p < .05). INQs were over 1 for most nutrients except calcium (0.87), and that of calcium and phosphorus was each significantly higher in Ansung than Ansan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nutrient intake quality of subjects aged 40 to 69 years living in the surveyed rural area is comparable to that of semi-industrialized suburban area in Korea. Dietary deficiency in all of calcium, vitamin A, and riboflavin, however, was a common problem for both rural and suburban residents.

알칼리활성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탄산화 특성 (Carbona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 Activated Blast-Furnace Slag Mortar)

  • 송금일;양근혁;이방연;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15-322
    • /
    • 2012
  • 알칼리활성고로슬래그(AAS)는 이산화탄소 배출 부하가 큰 OPC의 가장 확실한 대체 재료로써 구조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내구성 평가 및 검증이 필요하다. 내구성 평가지표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탄산화 저항성인데, AAS는 OPC에 비해 탄산화 저항성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AAS의 빠른 탄산화 특성과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탄산화 전후 물리적 특성 변화와 탄산화에 의해 수화생성물들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AAS는 OPC와 달리 수화생성물의 대부분이 CSH이며, 수산화칼슘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고, AAS의 CSH는 OPC의 CSH와 다른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AAS는 탄산화 후 CSH가 비정질의 실리카겔로 변하고, 일부 알루미나화합물은 구조가 완전 붕괴되어 탄산화 후 식별되지 않는데, 이 때문에 AAS는 탄산화 후 압축강도가 약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AAS의 활성화제의 첨가량을 높이면, 빠른 반응속도로 CSH의 생성량이 많아지고 조직이 치밀해져서 압축강도와 탄산화저항성이 향상된다.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 평가 (Long-Term Durability Estimation of Cementless Concrete Based on Alkali Activated Slag)

  • 이현진;이석진;배수호;권순오;이광명;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49-15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칼리 활성 슬래그 기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과 같은 장기 내구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결합재비에 따라 원주형 및 각주형의 무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작한 후, 이들에 대해서 재령 28일부터 365일까지 NT BUILD 492 및 JSTM C 7401 각각에 따라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염소이온 침투 및 황산염 침투 저항성은 물-결합재비에 관계 없이 OPC 콘크리트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 내구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무시멘트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유동성과 압축강도 (Flowa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less Alkali-Activated Mortar Using Blast Furnace Slag)

  • 고경택;류금성;이장화;강현진;전용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3-71
    • /
    • 2011
  •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 시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함으로써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화력발전소 및 제철소의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는 시멘트와 일부 대체하여 콘크리트로 일부 재활용되고 있으나, 42% 정도를 해안 및 육상에 매립함으로써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최근 결합재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결합재로서 고로슬래그 미분말를 사용한 무시멘트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를 개발할 목적으로 유동성과 압축강도 측면에서 알칼리 활성화제와 고성능 감수제에 대해 검토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활성화제의 종류 및 혼합비율, 고성능 감수제의 종류, 투입순서 등은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유동성과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 무시멘트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를 제조하는데, 9M NaOH과 분말형 쇼듐실리케이트를 1:1의 비율로 제조한 알칼리 활성화제를 사용하고, 고성능 감수제를 먼저 투입한 경우에는 1시간 동안 플로우 180 mm의 유동성과 $20^{\circ}C$의 상온양생조건에서 재령 28일에서 압축강도 50 MPa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