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778건 처리시간 0.048초

냉동 생지로 제조한 식빵에서 첨가제에 따른 냉동변성 억제 효과

  • 윤영;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78-178
    • /
    • 2003
  • 다품종 소량 생산에 적합하고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인해 냉동 반죽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냉동 중에 효모와 글루텐이 손상되어 냉동 반죽으로 제조한 빵은 부피가 작고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단점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며 그 중 하나로 보수성과 빙결정 생성 억제능력을 가지는 다당류와 단백질을 첨가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용된 첨가물은 다당류로 carrageenan(C)과 sodium alginate(A), 단백질로 whey(W)와 casein(C)이었는데 다당류와 단백질을 각각 1:1로 혼합해서 첨가하였다. 정해진 배합비 대로 반죽을 하고 급속 동결시킨 후 일주일 동안 저장하면서 5차례 냉동-해동을 반복한 반죽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냉동 반죽을 해동시킨 후 발효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효팽창력을 측정하였다. 냉동 반죽으로 식빵을 제조하고 빵의 비용적, 색도를 측정하였고 관능적 특성으로 crumb부분의 색, 대칭성, 균일성, crust의 색, 터짐성을 측정하고 맛, 향, 조직감, 전반적 기호도를 측정하여 냉동 반죽의 제빵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3일간 냉장저장하면서 texture와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시료에 따른 노화도를 측정하였다. 냉동생지의 발효팽창력에서 WK 첨가구가 23.5, WA 첨가구가 24.75로 CK, CA 첨가구에 비해 3∼4정도 큰 값을 보였으며,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 18.5보다 큰 발효력을 보였다. 식빵의 비용적은 WK 첨가구 3.539, WA 첨가구 3.506, CA 첨가구 3.377, CK 첨가구 3.247, 대조구 3.064 순으로 큰 값을 보였는데 비용적은 발효력과 정의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제조당일과 냉장고에 3일간 저장한 빵의 수분함량, 경도를 비교해 보면 수분함량 의 경우, 대조구가 43.63%에서 42.31%로 1.32% 줄어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으면 CK 첨가구가 45.12% 에서 44.30%로 0.815% 줄어 가장 작은 감소율을 보였다. 그 외 첨가구의 경우 변화율은 1.26∼l.3%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수분함량의 감소가 대조구보다 첨가구에서 작은 것은 첨가제의 보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경도의 경우, CK 첨가구가 0.244kg에서 0.558kg로 0.334 kg증가하였으며 대조구는 0.212kg에서 0.530kg으로 0.318kg증가하여 다른 첨가구에 비해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CK 첨가구의 경우, 저장 중 수분함량의 감소율이 가장 작은 것과 달리 경도에 있어서 가장 큰 값과 증가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CK 첨가구의 빵이 다른 첨가구의 빵의 비용적보다 작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빵 내부의 색도를 측정했을 때 명도 L값은 CA 첨가구가 76.162로 가장 컸고 WA 첨가구가 12.822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으며 다른 첨가구와 대조구의 L값은 73∼74의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에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색도의 결과와 관능적 특성 중 내부 색의 선호도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는 없지만 대조구보다 높은 명도값과 낮은 적·황색도값을 가지는 첨가구의 선호도가조금 높음이 확인되었다. 그 외 관능적 특성들에서도 대조구와 첨가구의 빵의 선호도 차이는 크게 군별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실험에 사용된 첨가제는 냉동변성을 억제시켜 반죽의 발효력과 빵의 비용적을 높이고 또한 노화도를 늦추는등 냉동반죽의 제빵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이매패의 Carotenoid 색소성분 1.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arotenoid Pigments of Bivalves 1.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from Muscle of Mussel and Blue mussel)

  • 하봉석;강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5
    • /
    • 1991
  •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혼합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0.4mg%, 암컷은 2.7mg%이며, 주 cartenoid는 수컷이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6.3%, pectenoxanthin 24.8% 및 mytiloxanthin 23.4%였고, 그외 pectenolone 14.0%, diatoxanthin 5.1%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mytiloxanthin 33.4%, pecteno-xanthin 22.8%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2.5%였고, 그외 pectenolone 9.9%, diatoxanthin 6.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진주담치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1.1mg%, 암컷은 3.2mg%이며, 주 carotenoid는 수컷이 mytiloxanthin 33.8%, pectenoxanthin 28.4%였고, 그외 diatoxanthin 18.1%, pectenolone 9.7%,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5.5%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pectenolone 8.7%, diatoxanthin 5.0%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3.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홍합과 진주담치의 근육 carotenoid는 암컷이 수컷보다 총 carotenoid 함량이 높은 함량치를 보였고, diatoxanthin과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양파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ylacetate Fraction of Onion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 김성오;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3-678
    • /
    • 2001
  •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식이와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농도 수준을 달리하여 6주간 흰쥐에 급여하여 고콜레스텐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체중증가율을 나타냈으나 양파 에틸아세티이트 분획 급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의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10% 급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증가율이 유의성있게 둔화되었으나 식이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신장과 심장의 중량에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분획 급여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간장의 중량에서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 전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중량이 감소되었다. 혈청 중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양파음료급여군이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용략의존적으로 감소 T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었는데, 특히 10% 급여군은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약 71%, 정상군에 비하여 약 30%이상 큰 폭의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의 비율도 많이 증가되었고 동맥경화지수도 감소되었는데 특히 10% 급여의 경우 정상군의 지수보다도 낮은 결과를 나타내므로서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함량에는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가 대조군에 비하여 6주간의 급여기간내에서는 감소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되었고 인지질의 경우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서 지방간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양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급여시 고콜레스테롤식이만을 급여한 군에 비하여 간장의 중량,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농도 및 중성지질농도 등은 감소되었고, HDL-콜레스테롤, 인지질농도 등은 증가되므로써 양파 음료가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로 사료된다.

  • PDF

돈육 소시지에 첨가한 감초 및 강황의 저장성 증진 및 아질산염 소거 효과 (Effect of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ies and Reducing of Sodium Nitrate by Glycyrrhiza uralensis and Curcula longa in Pork Sausage)

  • 조선희;정순아;송유진;이소영;김꽃봉우리;박진규;박선미;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97-1004
    • /
    • 2006
  • 돈육 소시지에 감초와 강황 열수 추출물을 0.5%, 1%, 5% 농도로 첨가하여 이들이 소시지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30 ppm 아질산염과 5%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구에서 소시지의 저장성이 약 4주간 유지되어 아질산염만 150 ppm 첨가한 것과 유사한 저장성을 보였으며, 1% 첨가구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 1 log cycle정도의 미생물 생육억제효과를 보였다. 산화도는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BN 함량측정에서도 5.0% 첨가구에서 저장기간 내내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감초와 강황 첨가구에서 유화안정성이 다소 떨어졌으나 pH의 경우는 5.0% 첨가구에서 소시지의 pH가 안정하였으며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적색도는 다소 높았으나 황색도는 낮았다. 관능평가 결과 0.5%, 1%가 전체적으로 무첨가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감초와 강황 열수 추출물을 소시지에 첨가할 경우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낮추어도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아질산염 잔류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1.0% 이하로 첨가할 경우 저장성과 함께 품질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기종실(廢棄種實)의 식량자원화(食糧資源化)에 관(關)하여 제(第)5보(報) : 수박씨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ood Resources from Waste Seeds V. Chemical Composition of Water-melon Seed)

  • 윤형식;권중호;황주호;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7-211
    • /
    • 1983
  • 수박씨를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할 목적(目的)에서 지질(脂質) 및 단백질(蛋白質)의 특성(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박씨의 일반(一般) 성분(成分) 중(中) 조지방(粗脂肪)과 조단백질(粗蛋白質)은 각각(各各) 40.40% 및 28.36%였다. 2. 수박씨의 지질(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이 97.35%였으며,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성분(成分)으로는 triglyceride(50.40%) diglyceride(21.84%) 및 sterol(11.48%)이 대부분(大部分)을 차지하고 있었다. 3.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linoleic acid(55.30~67.85%) palmitic acid(12.07~28.12%) 및 oleic acid(9.06~16.40%)가 주(主) 지방산(脂肪酸)이었으며, 그밖에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가 소량(少量)씩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4. 염(鹽)(0.7M $MgSO_4$)용해성(溶解性) 단백질(蛋白質)의 추출율(抽出率)은 약(約) 27%,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glutamic acid와 arginine이 높은 함량(含量)이었고,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및 phenylalanine과 같은 필수(必須) 아미노산(酸)이 검출(檢出)되었다. 5. 호박씨 단백질(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band는 6개로 나타났고, 분획(分劃)된 주(主) 단백질(蛋白質)의 수율(收率)은 52.4%였으며,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전체 단백질(蛋白質)에서와 같이 glutamic acid와 arginine이 높게 나타났다. 6. 염용해성(鹽溶解性) 단백질(蛋白質)에서 분획(分劃)된 주(主) 단백질(蛋白質) 분자량(分子量)은 약(約) 120,000이었다.

  • PDF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식품성분과 관능평가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 서희영;정복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314-1319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김 제조업체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일반 김, 목초액 김, 함초 김, 퉁퉁마디 참숯돌김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중금속 함량, 구성아미노산 분석 및 김을 굽기 전과 구운 후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과 조 섬유 함량을 제외하고는 일반 김에 비해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에서 칼슘, 칼륨, 구리, 나트륨 함량은 함초 김, 철분 함량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그네슘과 아연을 제외하고는 기능성 김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금속 함량의 경우 크롬, 카드뮴, 납은 일반 김에서 높았고, 그 외 성분은 퉁퉁마디 참숯돌김에서 약간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구성아미노산에서 일반 김과 기능성 김에서 대부분 glutamic acid, glyc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일반 김에 비하여 기능성 김에서 약 3배 정도 많이 나타난 아미노산은 alanine, phenylalanine이었으며, 일반 김과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과 퉁퉁마디 참숯돌김은 serine과 lys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평가결과에서는 김을 굽기 전에는 일반 김과 기능성 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김을 구운 후에는 일반 김에 비하여 대부분의 기능성 김의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목초액 김에 비하여 함초 김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품질 특성 (Effect of Sword Bean Chunggukjang Addition on Quality of Kochujang)

  • 장문익;김재영;김성조;백승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92-129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발효식품인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향상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영양성 및 기능성이 풍부하다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두콩청국장분말(SBC)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SBC 2, 5, 8 및 10%의 숙성기간 중 수분함량 변화는 대조고추장(SBC 0)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SBC 2, 5, 8 및 10의 담금 초기 염도는 SBC 첨가량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90일 숙성 후 염도도 숙성전후의 SBC 0과 차이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SBC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는 SBC 첨가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미생물상은 호기성 세균의 경우 $5.42{\times}10^7{\sim}9.59{\times}10^7$ CFU/g 수준이었고, 효모의 경우 $1.14{\times}10^2{\sim}9.73{\times}10^2$ CFU/g이었다. 작두콩청국장 첨가 고추장과 대조고추장에서 검출된 Bacillus cereus 식중독 균은 $8.49{\times}10^2{\sim}1.25{\times}10^3$ CFU/g 수준으로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90일 숙성된 고추장의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는 6.95로 SBC 10이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작두콩청국장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의 품질은 일반메주로 제조한 고추장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고, 관능적으로 SBC 10의 품질이 SBC 0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재배지역별 청양고추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yang pepper (Capsicum annuum L.)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

  • 황인국;김하윤;이준수;김행란;조명철;고인배;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340-13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청양고추를 13개 지역에서 노지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재배지역별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단백질함량은 12.74~19.98%, 지방함량은 4.54~7.17%, 회분함량은 6.07~9.81% 범위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무기성분 함량은 지역별 차이를 보였지만 주요 무기성분은 K이었다. pH 및 총산도는 각각 4.86~5.26 및 2.10~4.25% 범위였다. 청양고추의 유리당은 fructose 및 glucose가 주요 유리당으로 검출되었고 각각 8.55~17.06% 및 3.25~10.47% 범위로 지역별 큰 차이를 나타냈다. 색도 중 a값은 28.89~37.12의 범위였고, ASTA값은 76.54~139.57의 범위로 a값에 비해 넓은 분포를 나타냈다. Capsaicin 함량은 100.27~261.54 mg%, dihydrocapsaicin 함량은 51.01~84.58 mg% 범위였고 capsaicinoid 함량은 11개 지역에서 200 mg% 이상의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청양고추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한 함량 변이를 나타냈으며, 추후 다양한 품종을 대상으로 재배지역에 따른 품종 특성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한, 일 고려인삼 심포지움 (Studies on Selective Modulators and Anti-anorexigenic Agents in Korean Red Ginseng)

  • Hiromichi Okuda;Keizo Sekiya;Hiroshi Masuno;Takeshi Takaku;Kenji Kameda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45-252
    • /
    • 1987
  • Isolated rat adipocytes are well known to possess opposite pathways of lipid metabolism: lipolysis and ipogenesis. Both of the metabolism respond to various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epinephrine, ACTH and insulin. Epinephrine and ACTH stimulate lipolysis and insulin accelerates lipogenesis. Recently, Korean red ginseng powder was found to contain adenosine and an acidic poptide which inhibited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and sl imulated insulin-mediated lipogenesis from added glucose. The acidic peptide is consisted mainly of glutamic acid and glucose. Ginsenosides Rb1 and Re inhibited ACTH-induced lipolysis in isolated rat adipocytes, while they did not affect insulinstimulated lipogenesis, Thus, all these substances extracted from Korean red ginseng exhibited selective modulations toward the opposite metabolic pathways in rat adipocyte; They inhibited the lipolysis but not the lipogenesis. We call these substances"selective modulators". Recently, we isolated a toxic substance named "toxohormone-L " from ascites fluid of patients with various malignant tumors. The toxohormone-L stimulated lipolysis in rat adipocytes and induced anorexia in rats. Both the lipolytic and the anorexigenic actions of toxohormone-L were found to be inhibited by ginsenoside Rb2 in Korean red ginseng. Based on these results, physiological signifi¬cances of these substances in Korean red ginseng were discussed. Pan ax ginseng is a medicinal plant long used in treatment of various pathological states including general complaints such as head ache, shoulder ache, chilly constitution and anorexia in cancer patients, There have been many pharmacological studies on Panax ginseng roots. Petkovllrepor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n aqueous alcoholic extract of ginseng roots decreased the blood sugar levtl of rabbits. Saito2lreported that Panax ginseng suppressed hyperglycemia induced by epinephrine and high carbohydrate die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ax ginseng roots contain insulin-like substances. Previously, we demonstrated that gin¬seng roots contain an insulin-like peptide which inhibits epinephrine-induced lipolysis and stimulated insulin-mediated lipogenesis. In 1984, we suggested that such an insulin-like substance should be called a selective modulator4). Present investigation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selective modulators in ginseng roots. During progressive weight loss in patients with various neoplastic disease, depletion of fat stores have been observed. The depletion of body fat during growth of neoplasms i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plasma free fatty acids. Recently, we found that the ascites fluid from patients with hepatoma or ovarian tumor and the pleural fluid from patients with malignant lymphoma elicited fatty acid release in slices of rat adipose tissue in vitro. The lipolytic factor, named"toxohormone-L". was purifed from the ascites fluid of patients with hepatoma. The isolated preparation gave a single band on both disc gel electrophoresis and sodium dodecyl sulfate(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the presence of ${\beta}$-mercaptoethanol. Its molecular weight was determined to be 70,000-75,000 and 65,000 by SDS-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analytical ultracentrifugation, respectively. Injection of toxohormone-L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rats significantly suppressed food and water intakes. There was at least 5 hr delay between its injection and appearance of its suppressive effect. In the present study, we also tried to find a inhibitory substance toward toxohormone-L from root powder of ginseng.

  • PDF

Inhibition of Hydrogen Sulfide-induced Angiogenesis and Inflammat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Potential Mechanisms of Gastric Cancer Prevention by Korean Red Ginseng

  • Choi, Ki-Seok;Song, Heup;Kim, Eun-Hee;Choi, Jae-Hyung;Hong, Hua;Han, Young-Min;Hahm, Ki-Ba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35-145
    • /
    • 2012
  • Previously, we reported that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gastritis and gastric cancer are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hydrogen sulfide ($H_2S$) and that Korean red ginseng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H. pylori-associated gastric diseases by attenuating $H_2S$ generation. Because the incubation of endothelial cells with $H_2S$ has been known to enhance their angiogenic activities, we hypothesized that the amelioration of $H_2S$-induced gastric inflammation or angiogenesis in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s) might explain the prevent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H. pylori-associated carcinogenesi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giogenic growth factors, and angiogenic activitie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s (KRGE) were evaluated in HUVECs stimulated with the $H_2S$ generator sodium hydrogen sulfide (NaHS). KRGE efficie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cystathionine ${\beta}$-synthase and cystathionine ${\gamma}$-lyase, enzymes that are essential for $H_2S$ synthesis. Concomitantly,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several angiogenic factors, including interleukin (IL)-8, hypoxia inducible factor-1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L-6,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was observed; all of these factors are normally induced after NaHS. An in vitro angiogenesis assay demonstrated that NaHS significantly increased tube formation in endothelial cells, whereas KRGE pretreatment significantly attenuated tube formation. NaHS activated p38 and Akt,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ngiogenic factors and the proliferation of HUVECs, whereas KRGE effectively abrogated this $H_2S$-activated angiogenesis and the increase in inflammatory mediators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conclusion, KRGE was able to mitigate $H_2S$-induced angiogenesis, implying that antagonistic action against $H_2S$-induced angiogenesis may be the mechanism underlying the gastric cancer preventive effects of KRGE in H. pylori inf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