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812건 처리시간 0.03초

QUAL2E 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질의 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 for water quality of a river using QUAL2E model)

  • 김정욱;김연수;강나래;정재원;김수전;노희성;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1-4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하천의 자정능력을 고려하여 안성천 유역 내 유해성분 중 ABS(음이온 계면활성제)성분에 대해서 QUAL2E모형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질모의결과 안성천과 진위천에서 BOD, ABS의 실측치와 예측치가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DO에 대해서는 예측값과 실측값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지만 농도변화의 추이는 잘 나타내고 있었다. 위해성지수는 오염물질의 예상 노출농도(PEC)와 하천수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예상무영향농도(PNEC)를 통해 계산하였고 위해성 비를 산정하여 위해성 지수를 평가하였다. ABS가 하천의 자정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는 안성천[0.0003(Bressan), 0.06(환경부기준)], 진위천[0.0002(Bressan), 0.04(환경부기준)], ABS가 하천의 수생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안성천[0.0667(Bressan), 0.005(환경부기준)], 진위천[0.1(Bressan), 0.0075(환경부기준)]으로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12-30호에서 제시되어 있는 위해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위해성 비의 기준치 값 1보다 작아 하천의 자정능력과 하천의 수생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방법은 간단하며 현재 환경부 수질기준보다 상세히 유해성분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고분자-계면활성제 혼합물에 의한 마찰저항 감소연구 (A Study of Drag Reduction by Polymer-Surfactant Mixture System)

  • 김정태;김철암;최형진;김종보;윤형기;박성룡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5-14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회전 원판 장치에 고분자-계면활성제의 혼합체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난류 유동장에서의 마찰저항 감소효과에 대해서 조사 연구하였다. 세가지의 분자량이 다른 PAA를 마찰저항 감소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인자들에 대헤서 살펴 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이온성 고분자와 계면활성제의복합체가 마찰저항 감소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계면활성제와 고분자첨가제 사이의 형태학적 차이점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으며 이온성 고분자의 pH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고분자와 계면활성제간의 복합체는 거대한 전해질과 같은 거동을 보이며 계면활성제가 고분자의 형태를 변화시켜 고분자의 크기를 확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체는 단일 고분자계와 비교해서 수력학적부피, 관성반경, 점도등의 값이 크게 나타나며 이렇게 팽창된 고분자는 난류 유동장에서의 마찰저항 감소효율을 증가시킨다.

  • PDF

흰쥐 분리 간세포에 있어서 딜티아젬의 간클리어런스에 미치는 페노바르비탈의 영향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Hepatic Clearance of Diltiazem in Isolated Rat Hepatocytes)

  • 이용복;오준교;고익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33-41
    • /
    • 1996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phenobarbital(PB) on the hepatic transport of diltiazem(DTZ), $Ca^{2+}$ channel blocker, we used isolated hepatocytes of rat which was intraperitoneally pretreated with phenobarbital sodium(75 mg/kg) for four days once a day. For the isolation of rat liver cells, a modification of the two step procedure of Seglen was used. DTZ was dissolved in incubation buffer to the final DTZ concentrations of 200, 400, 600, 800 and 1000 ng/ml in order to elucidate the uptake characteristics of DTZ by hepatocytes. Reactions were stopped at 10, 20, 30, 45, 60, 90, 120 and 300 sec. The initial velocity was determined by disappearance of diltiazem in the hepatocyte suspension.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B on the in vitro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we obtained the metabolism rates of DTZ in the control and the PB-pretreated rat hepatocyte at various time intervals. According to pretreatment with PB, the size of hepatocyte and the amount of protein per $10^6$ cel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from $26.92{\pm}0.1364\;m$ to $35.31{\pm}1.00\;m$ and from $468{\pm}6.5\;{\mu}g/10^6$ cells to $628.8{\pm}12.1{\mu}g/10^6$ cells, respectively. In the case or hepatic uptake of diltiazem, $K_m$ was not different in the normalization by cell numbers and increased from $2.90\;{\mu}M\;to\;13.89\;{\mu}M$ in the normalization by protein amount. $V_max$ was increased regardless of normalization by protein amount and cell numbers, from $1.21\;{\mu}mole/min \;{\cdot}\;mg\;protein\;to\;3.96\;{\mu}mole/min\;{\cdot}\;mg\;protein\;and\;from\;2.38\;{\mu}mole/min\;{\cdot}\;10^6\;cells\;to\;2.83\;{\mu}mole/min\;{\cdot}\;10^6\;cells$, respectively. The in vitro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was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from $0.640{\pm}0.038\;ml/mim\;{\cdot}\;10^6\;cells\;to\;2.385{\pm}0.212\;ml/min\;{\cdot}\;10^6\;cells$ due to PB-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ptake of DTZ by hepatocyte is extremely fast and PB enhances the hepatic intrinsic metabolic clearance of DTZ.

  • PDF

Validated HPLC Method for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in Korean Subjects

  • Kang, Hyun-Ah;Kim, Hwan-Ho;Kim, Se-Mi;Yoon, Hwa;Cho, Hea-Young;Oh, Seaung-Youl;Choi, Hoo-Kyun;Lee, Yong-B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5호
    • /
    • pp.331-338
    • /
    • 2006
  • A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reverse-phase HPL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serum and whole blood were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Atenolol and an internal standard, pindolol, were extracted from human serum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mu$-Bondapak C18 $10-{\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methanol-0.01 M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30:70, v/v, adjusted to pH 3.5) and fluorescence detection(emission: 300 nm, excitation: 224 nm). Chlorthalidone and an internal standard, probenecid, were extracted form human whole blood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Luna C18 $5-{\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 containing 77% 0.01 M sodium acetate and UV detection at 214 nm. These analysis were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using the same quality control(QC) samples. The chromatograms showed good resolution, sensitivity, and no interference by human serum and whole blood, respectively. The methods showed linear responses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1,000 ng/mL for atenolol and 0.05-20 ${\mu}g/mL$ for chlorthalidon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reater than 0.999 at all the three laboratories. Intra- and inter-day assay precision and accuracy fulfilled international requirements. Stability studies(freeze-thaw, short-, long-term, extracted sample and stock solution) showed that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stable. The lower limit of quantit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10 ng/mL and 0.05 ${\mu}g/mL$, respectively, which was sensitive enough for pharmacokinetic studies.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volunteers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Hyundai $Tenoretic^{\circledR}$ tablet(atenolol 50 mg and chlorthalidone 12.5 mg)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감자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II 유전자로부터의 폴리펩타이드 카이모트립신 저해제와 homology가 있는 유전자단편의 클로닝 및 대장균에서의 발현 (Cloning of Gene Fragment having Homology with the Polypetide Chymotrypsin Inhibitor from the Potato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and Its Expression in E. coli.)

  • 정진;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382-386
    • /
    • 1995
  • 감자의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II(PI-II)단백질은 카이모트립신 저해부위와 트립신 저해부위로 나뉘어 있는데 PI-II 유전자중의 하나인 PI-IIT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비롯된 아미노산 서열이 폴리펩타이드 카이모트립신 저해제(PCI)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84%의 높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감자의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유전자 집단 (family) 중의 하나인 PCI와 homology가 있는 유전자단편을 클로닝하기 위하여 이미 클론된 PI-IIT 유전자로부터 PCR을 행하여 얻어진 DNA 단편을 백터에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염기서열을 확인한 유전자 단편을 박테리오파아지 T7 promoter와 terminator를 갖고있는 플라스미드 pET3a에 옮겨 대장균 BL2l(DE3)에서 발현시켰던바 IPTG의 부가에 따라 유기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나 발현수준은 기대했던것에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내장(內臟)의 Carotenoid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arotenoids in the viscera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57-274
    • /
    • 1974
  •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내장(內臟)에 함유(含有)되어있는 carotenoid에 관(關)하여 시험(試驗)하였다. 우리나라 근해단(近海岸)에서 채취(探取)된 전복의 내장(內臟)을 acetone-methanol (4 : 1) 혼합용매(混合溶媒)로 추출(抽出)하고 이 추출액중(抽出液中)의 carotenoid를 silica gel TLC, $Mg(OH)_2$ 여과지(濾過紙) chromatography 및 $Mg_2(OH)_2CO_3$ TLC에 의하여 분리정제(分離精製)하였다. 분리정제(分離精製)한 11종(種)의 carotenoid에 대(對)하여 epoxide test, partition ratio 측정(測定), $NaBH_4$에 의한 환원(還元), 알카리처리(處理), 표준(標準) carotene와 비교시험(比較試驗), electron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및 infrared spectroscopy 등(等) 여러가지 시험(試驗)은 하였다. 확인(確認)된 carotenoid는 ${\alpha}$-carotene, ${\beta}$-carotene, lutein, zeaxanthin, siphonaxanthin, siphonein fucoxanthin, loroxanthin 유사물(類似物) 및 fucoxanthinol 류이물등(類似物等) 9종(種)이며 이 밖에 2종(種)의 미량(微量) carotenoid는 확인(確認)되지 못했다. fucoxanthin은 특(特)히 KOH처리(處理)에 의하여 fucochrome이나 semifucoxanthol과 동일(同一)한 chromophore를 갖는 산물(産物)로 변환(變換)됨을 발견(發見)하였다. 전복 내장(內臟)에서 확인(確認)된 색소(色素)들 가운데siphon-axanthin, siphonein, fucoxanthin, loroxanthin 유사물(類似物) 및 fucoxanthinol 유사물(類似物) 등은 지금까지 패류(見類)에서 발견(發見)되었다는 보고(報告)가 없다.

  • PDF

유용성 점결제를 이용한 수중용출지연입제의 제제 (Sustained release granular formulation with oil-soluble binder)

  • 유주현;이병회;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76-81
    • /
    • 1992
  • 원제와 무기증량제의 혼합분말을 유용성 점결제 stearly alcohol 혹은 ethyl cellulose로 조립한 KC-7079, isoprothiolane, perfluidone 및 tricyazole 입제를 $25^{\circ}C$ 항온조건하에서 물이 담긴 비이커에 침적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중 유효성분농도를 분석하여 입제의 용출속도를 측정하였다. 입제의 수중용출속도는 점결제 첨가량에 따른 입제의 수중붕괴성, 사용한 점결제의 종류 및 원제의 물에 대한 용해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Stearyl alcohol 첨가입제의 수중붕괴성은 제제방법에 따라 달라져서 수중에서 붕괴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점결제 첨가량은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수용액(0.5%)으로 반죽하여 조립할 때는 8%, methanol로 반죽하여 조립할 때는 3% 이상 요구되었다. Stearyl alcohol을 점결제로 사용한 KC-7079 입제는 점결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중붕괴성이 감소하여 유효성분의 초기 용출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붕괴하지 않는 입제는 점결제 첨가비가 증가하여도 용출속도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Ethyl cellulose가 0.5% 이상 첨가된 입제는 수중에서 붕괴하지 않았으며, 점결제 첨가비가 증가할수록 유효성분의 용출지연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용출지연효과는 원제함량이 작은 입제에서 현저하였다. Stearyl alcohol 첨가제제는 KC-7079와 perfluidone의 용출을 지연시킨 반면 ethyl cellulose 첨가제제는 모든 원제에 대하여 용출을 지연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유용성 점결제로 조립한 입제는 원제의 수용해도가 작을수록 용출지연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유청(乳淸) 및 두유(豆乳) 혼합액에서의 단백질 콜로이드 안정성 (Stability of Protein Colloids in the Mixture of Cheese Whey and Soy Milk)

  • 손동화;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83-89
    • /
    • 1986
  • 유청 및 대두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유청, 대두 이들로 부터 추출한 유청 및 대두단백질을 가지고 두부의 겔 형성특성, 가열처리 및 염류조성이 콜로이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열처리가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유청과 대두의 혼합물로써 두부를 제조했을 때 유청중에 함유된 칼슘 등 염류는 대두단백질을 침전시킴으로써 두 단백질의 겔 형성을 방해하거나 커드의 조직을 나쁘게 하였다. $60{\sim}100^{\circ}C$의 열안정성시험에서 유청과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의 단백질은 $70^{\circ}C$ 상에서 급격히 침전하기 시작하였다. 대두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경우에는 모두 거의 안정하였다. 인산나트륨용액에 투석한 유청,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의 경우에는 같은 열처리에서 모두 안정하여, 대두추출물중 인산염의 존재가 특히 유청단백질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Cl_2\;0.05{\sim}0.07M$ 농도 범위의 칼슘염 첨가에 의하여 증류수에 투석한 유청단백질은 $30{\sim}35%$만 침전되었으나 대두단백질은 쉬 불안정화되어 대두추출물 및 혼합물 중 $70{\sim}85%$의 단백질이 침전되었다. 유청 및 두유혼합물의 $4^{\circ}C$ 저장안정성은 $63^{\circ}C$의 저온에서 열처리했을 경우가 고온에서 처리한 경우보다 향상되었다.

  • PDF

Functional Connections of the Vestibulo-spino-adrenal Axis in the Control of Blood Pressure Via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in Conscious Rats

  • Lu, Huan-Jun;Li, Mei-Han;Li, Mei-Zhi;Park, Sang Eon;Kim, Min Sun;Jin, Yuan-Zhe;Park, Byung Rim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5호
    • /
    • pp.427-434
    • /
    • 2015
  • Significant evidence supports the role of the vestibular system in the regulation of blood pressure during postural move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role of the vestibulo-spino-adrenal (VSA) axis in the modulation of blood pressure via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was clarified by immunohistochemical and enzyme immunoassay methods in conscious rats with sinoaortic denervation. Expression of c-Fos protein in the intermediolateral cell column of the middle thoracic spinal regions and blood epinephrine levels were investigated, following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gonists or antagonists into the medial vestibular nucleus (MVN) and/or sodium nitroprusside (SNP)-induced hypotension. Both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gonists (NMDA and AMPA) into the MVN or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ry nucleus (RVLM) and SNP-induced hypotension led to increased number of c-Fos positive neurons in the intermediolateral cell column of the middle thoracic spinal regions and increased blood epinephrine levels. Pretreatment with microinjection of glutamate receptor antagonists (MK-801 and CNQX) into the MVN or RVLM prevented the increased number of c-Fos positive neurons resulting from SNP-induced hypotension, and reversed the increased blood epinephrine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SA axis may be a key component of the pathway used by the vestibulosympathetic reflex to maintain blood pressure during postural movements.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Conditions for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 -)

  • 성낙계;정덕화;이무영;정영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5
    • /
    • 1988
  • L-Lysine 생산균주인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과 Corynebacteriurn glutamicum ATCC13032에 섬유소 자화능이 우수한 Cellulomonas flavigena KFCC31221를 속간 융합시켜 섬유소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이들 균주의 영양요구성 변이주 분리,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NTG(500$\mu\textrm{g}$/$m\ell$)로 유기하여 penicillin-G(300$\mu\textrm{g}$/$m\ell$)로 농축한 변이주에서 B. flavum은 hse- str$^{r}$(100$\mu\textrm{g}$/$m\ell$), C. glutamicum는 Met$^{-}$T$hr^{-}$ Rif$^{r}$(5$\mu\textrm{g}$/$m\ell$), C. flavigena 는 T$hr^{-}$Val$^{-}$Kan$^{r}$(50$\mu\textrm{g}$/$m\ell$)의 gene marker를 가지는 영양요구성과 약제내성균주를 분리하였다. 공시균주의 원형질체 형성은 osmotic stabilizer로서는 0.5M sucrose, 배양기간은 대수증식기 중기의 균이 양호하였고, lysozyme 최적 처리 pH, 온도, 농도 및 반응시간은 각각 pH6.5, 33$^{\circ}C$, 500 $\mu\textrm{g}$/$m\ell$, 6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원형질체형성율은 95-98%였다. 원형질체를 1.5%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위에 0.7%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로 중층했을 때 약 30~33%의 재생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