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virtu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초

본초 효능 용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virtue terms in herbal medicine)

  • 오용택;이병욱;김은하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50
    • /
    • 2010
  • By grouping freshly the virtue terms used in herbal medicine, we are apt to establish the position coordinates of concepts and raise the level of the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As the term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used in herbal medicine are used with the virtue terms mingled with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it's hard to use the herbal virtue data only. And though the virtues terms imply many data like medical act data or medical operation data, we can't use them fully. We sort the term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into the virtue terms and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and acquire many data like medical act data or medical operation data and group the data by same attribut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we establish sort standards inductively, put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in order, out of this result we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rtue terms used now, and show useful data for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We got the chief treatable disease terms from the ones related to the herbal virtue, acquired a lot of data from the virtue terms and grouped the data by the same attribute. We established a proper standard inductive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put th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s in order, grasp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virtue terms in use at the moment out of the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and presented the applicable data for the herbal virtue research in future.

멜로드라마, 그 근대적인 모럴의 형식 (Melodrama as a Form of the Moral)

  • 우수진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49-71
    • /
    • 2013
  • Melodrama emerged as a form of the moral in the early modern age. As an approach 'the moral' not only means that rewarding virtue and punishing vice, but also refer to a principle of spiritual life and a way of life. -Melodrama theatricalizes a new vision of human life and society through a new type of the virtuous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This allows melodrama to be a dominant cultural form in this modern age, beyond the borders of the theater, mass-media, and literature. Virtue and sentiment/-ality are the core elements of melodrama, which differentiate it from tragedy and comedy especially in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drama. Actually virtue and sentiment/-ality have been a main target of criticism. Virtue has been regarded as a trite quality of the stereotypical protagonist, and sentiment/-ality as a banal emotion which paralyzes an audience's recognition of reality. -However, this thesis regards both virtue and sentiment/-ality as vehicles for showing and sharing the morals of the modern age. First, the virtues of the protagonist included the general and universal ones of the bourgeois -at that times, the bourgeois represented themselves as a human being- such as the responsibility and obedience of a father, a mother, a wife, a husband, a daughter and a son. They also included the professional ethics such as courage, honesty, and justice and so on. The fall or salvation of the protagonist is largely determined by his/her private individual virtue. Second, sentiment/ality is a theatrical device that makes the audience internalize the protagonist's virtue. The protagonist expresses his/her universal virtue sentimentally, and the audience also expresses their virtue by sympathizing with the protagonist's virtue sentimentally. However, the melodramatic protagonist as an individual, is not connected with society, but remains isolated. As a result, s/he has no influence on the society, where s/he can only ends her/his play alone with a happy-ending. S/he is happy alone, or at best happy with his/her own family. On the contrary to this, tragic protagonist usually fixes social disorder through his/her fall. In that sense, we can say that melodrama presents only the half of the human life.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에 관한 유교적 관점 -사회자본 형성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ies -Focusing on Implication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 이광모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231-253
    • /
    • 2014
  • 본 연구는 유교적 관점에서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에 대한 인식 원리와 실천적 행위 덕목을 고찰하였다. 음양론(陰陽論)에 기초한 전일주의 세계관과 시위론(時位論)에 기초한 역할조화의 인간관을 통해 공동체에 대한 유교의 기본관점을 검토하고, 내적가치기준으로 중(中) 화(和), 외적규범기준으로 의(義) 예(禮)의 덕목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유교 공동체의 지향적 덕목으로 인(仁)과 덕(德), 인식적 덕목으로 충서(忠恕)와 혈구지도, 실천적 덕목으로 효(孝)와 예(禮) 등을 분석하여 이 덕목들이 지역공동체 사회자본의 구성요소로써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유교의 인식원리와 행위 실천덕목들은 현대 지역공동체의 사회자본 구성요소로서의 기능과 함께 지역복지정책에 있어서 유용한 실천적 함의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 PDF

미국형 기사의 탄생: 에드윈 어스틴 애비의 벽화에 등장하는 중세 기사의 기원과 사회적 기능 연구 (The Birth of American Knights: A Study on the Origin and Social Function of the Medieval Knights appeared in Edwin Austin Abbey's Murals)

  • 이미경
    • 미술사와시각문화
    • /
    • 제22호
    • /
    • pp.254-279
    • /
    • 2018
  • 본 논문은 에드윈 어스틴 애비의 벽화 ${\ll}$성배의 탐색${\gg}$에 등장하는 중세 기사의 기원과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이다. 미국 문화에서 중세 기사 유형은 1850년대 말문학에서 먼저 등장했으며, 1870년대에는 정치 카툰에서도 다루어졌다.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 중에서는 1895년 애비의 벽화에서 처음 나타났다. 중세 기사는 영국에서 라파엘전파 화가들이 즐겨 그린 주제였다. 영국에서활동한 애비는 라파엘전파 회화와 로열 아카데미의 회화 전통을 종합하여 중세기사를 형상화했다. 그러나 신체적 활동에 기반한 모험담을 강조한 라파엘전파화가들과 달리, 애비는 기사의 도덕성을 강조했다. 이는 애비가 1890년대 미국도금시대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은 남북전쟁 이후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나 화려한 경제 성장 이면에는 사회의 안정과 결속을해치는 부정부패, 빈부격차, 그로 인한 계급사회의 갈등이 도사리고 있었다. 극심한 빈부 격차는 사회적 위기로 이어졌다. 문학과 미술에서는 이에 대한 자각과 자성을 촉구했다. 애비는 도금시대 자본가의 만행을 고발하고 개혁의 희망을 담은벽화 ${\ll}$성배의 탐색${\gg}$을 제작했으며, 개혁의 이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지도자의 상징으로 갤러해드를 선택했다. 애비의 벽화는 보스턴 공공 도서관에 설치되어 정부의 부패와 그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혼란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치 단체의 도덕성 쇄신을 촉구하는 공적 기능을 수행했다. 도덕적 책임감을 강조한 애비의 미국형 기사는 또한 애국심을 고취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이 작품에서 중세 유럽 기사는 미국 시민으로 탄생했으며, 시민적 덕목을 지닌 지도자의 표상으로 변화했다.

Putting Michael McKeon to the "Question": Is Clarissa Harlowe a Prude or Saint?

  • Chung, Ewha
    • 영어영문학
    • /
    • 제57권6호
    • /
    • pp.1131-1149
    • /
    • 2011
  • Michael McKeon, in The Origins of the English Novel, 1600-1740, sets forth a theoretical study of a large canon of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works, based upon the dialectic of genre formations, which attempts to analyze certain "instabilities" in generic and social categories- "instabilities" that McKeon identifies as "Questions of Truth" and "Questions of Virtue." In this paper, I argue with McKeon's optimistic reading of Samuel Richardson's work, Clarissa, or The History of Young Lady (1740), which concludes that-unlike Pamela's "manifest material and social empowerment"-Clarissa acquires "manifest discursive and imaginative empowerment" and "wins" (to use McKeon's terms) the "battle" with her antagonist, Robert Lovelace. What is difficult to accept in this reading of Clarissa is McKeon's claim that the "success" of Clarissa's resistance to Lovelace, despite the tragic rape, is evident in her "new-found power" which is represented in the heroine's spiritual "conversion"- her decision to die to protect her "version of truth and virtue." McKeon's spiritual "conversion" not only forces Clarissa to surrender her legal right to prosecute her rapist but also forces her to seek the shelter of her "father's house" in the afterlife because she can no longer "make others accept [her] own version of events as authoritative." Thus, in contrast to McKeon, I claim that Clarissa represent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its heroine's "empowerment" primarily in language that suggests her manifest social invalidation; language which in particular emphasizes that her rape and torture by Lovelace forces Clarissa's spiritual "conversion" to seek her reward in the afterlife-thereby concluding that Clarissa's discursive and imaginative empowerment does not and cannot exist in the secular, material world.

유가(儒家)의 전인적(全人的) 지도자상(指導者像) 고찰(考察) (A Study on the Ideal Leadership whole person of Confucian philosophy)

  • 김경미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145-176
    • /
    • 2016
  • 본고는 개인의 덕성(德性)과 사회적 덕행(德行)의 보편적 가치와 규범이 제시되어 있는 유가(儒家) 경전(經典)을 토대로 군자(君子)다운 지도자상은 어떠한 것인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인간다움을 참다운 것으로 삼고, 인간관계의 사회성을 제대로 실천하는 유덕자(有德者)의 가치관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군자상의 진면목은 조화의 균형 감각이 있고 자기 수양에 엄격하며 인간관계의 상생적 가치를 창출하는 등 진선미가 삼위일체로 융합되는 '성기성물(成己成物)'의 참된 인물상(人物像)이라는 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유가(儒家)에서 말하는 성인(聖人), 현인(賢人), 대인(大人), 군자(君子) 등은 인간세상을 이끌어가는 사회지도자를 의미한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인간다운 도리를 지키며 사회풍토를 아름답게 교화하고 정신과 물질(物質)의 조화(調和) 인격(人格)과 능력(能力) 경제(經濟)와 도덕(道德)을 겸비한 인물로 지목(指目)하고 있다. 현대 사회인들은 순수한 지성(知性)문화의 가치보다는 물질적 가치의 선호도(選好度)에 따라 개인적인 성장(成長)을 꾀하고,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외형적인 무한경쟁(無限競爭)에 편중되어 있다. 오늘날 디지털 시대에 자신의 개성을 연출하는 것은 부정할 수는 없지만, 외모(外貌)에 집착(執着)하여 지나친 다이어트로 건강미를 상실하고, 그로 인(因)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외모 집착과 외모중시의 병적인 폐단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克復)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청되는 대안으로 내적 소양과 외적 전문성을 고루 겸비한 온전한 인격체, 즉 이른바 "문질(文質)이 빈빈(彬彬)"한 진선미(眞善美)의 융합적 지도자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유교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道)를 현실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수기는 개인적으로는 덕성적 능력을 계발하여 도덕적 인격을 함양하는 것이며, 치인은 사회적으로는 함께 일하는 올바른 인간관계를 갖도록 소통(疏通)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leader 또는 지도자는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까지도 감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수기치인은 '스스로의 덕성을 가다듬어 다른 사람들을 이끈다.'는 의미이다. 참다운 지도자는 수기(修己)를 통해 자기성찰과 자기정립을 한 다음에 치인(治人) 또는 남들과 함께 살아가는 안인(安人)의 경지에 서게 되는 것이다. 모든 물건에는 값어치가 있고 나름대로의 德이 있듯이. 인간 역시 인격과 덕성(德性)을 갖추고자, 배우고 익혀 자신만의 전문성 신뢰성 그리고 인격과 능력을 겸비하여, 자신만의 브랜드(Brand)가치를 창출해 내고자 한다. 개인의 인격(人格)은 높은 지위나 재력 권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인격이란 개인의 덕성으로서 자기수양을 통하여 마음에 조금도 티가 없는 상쾌함으로, 굳이 한자로 표현하자면 맑고 깨끗한 '소쇄(瀟灑)'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이 天性으로 품부 받은 덕성인 지(知) 인(仁) 용(勇)을 겸비한 지극히 인간다움의 인격(人格)을 지닌 지도자상으로 군자상(君子像)을 제시한다. 자아개발은 self leader, 즉 수기(修己)를 통하여 덕성수양과 자아경영의 힘을 기르게 된다. 관계영역의 leader(治人)는 자신(自身)의 덕성(德性)을 덕행(德行)으로 미루어 가는 즉 남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으로 확대(擴大)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의 마음을 미루어 남을 생각하는 리더십을 "대학(大學)"에서는 "혈구지도(?矩之道)"라고 한다. 논자의 견해는, 인격미(人格美)는 지(知) 인(仁) 용(勇)'으로 덕성(德性)의 씨앗을 일구고 상생미(相生美)는 '서(恕)'로써 타인(他人)에게 행동으로 보여주는 덕행의 마땅한 올바름을 구현하며 조화미(調和美)는 '혈구지도(?矩之道)'로써 남을 나처럼 아끼고 사랑하여 나와 같은 마음 즉 보편적 원리인 덕화(德和)를 구현할 수 있다고 여긴다. 이처럼, 지도자상의 자질은 자신의 소양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총체적으로 잘 조화를 이룰 때 지도자가 지니고 있는 능력을 무한히 발휘하며, 많은 사람들과 공생(共生) 공존(共存)하며 서로 승승적(乘勝的)관계로 거듭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무속복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I) - 중부지방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haman's Costume(I) -Centering arround "Jae-Soo Kut" in the Central area-)

  • 이자연
    • 복식
    • /
    • 제32권
    • /
    • pp.213-224
    • /
    • 1997
  •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what im-ply the shaman's costume in Korea "Kut" The im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haman's costumes in "Kut" are divided into two parts. Namely the one is the position as a priest and the other is the one as God it-self 2) Also shaman's costume were used to ex-press God's character in the ritual "Jae-Cha" These were based on the costume system by one's social position in the times of the Cho-Sun. 3) The reasons why shaman worn the tra-ditional costume are discussed variously. Among those reasons firstly shaman stands for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each "Kut" as the agent of God. And secondly shaman wore to symbolize the miraculous virtue of God. symbolize the miraculous virtue of God.

  • PDF

남북한 전래동화에 나타난 사회적 가치와 배경 분석 (Analysis of Social Virtue and Setting in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and North Korea)

  • 오영은;김영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101-112
    • /
    • 2007
  • In this paper, 274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and North Korea were selected for research. The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content analysis chart, and found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haracters, how ideology and social setting affect categorization of the characters, and what values are represented in the fairy tails of each country. Analysi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and North Korea shows that South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more cases where $1{\sim}4$ characters appear. In North Korean fairy tales, 5 or more characters generally appear. Analysis of the categories of characters in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and North Korea found that characters fall into categories of family, friend and tutor, village, and the native country more often in South Korean fairy tales than in North Korean fairy tales. Character categorizations of county and foreign countries are found more often in North Korean fairy tale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character categorization of family, friend and tutor, and county shows that different ideology and social setting affected categories of characters. Research on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and North Korea shows that traditional fairy tales of South Korea have chosen self-respect, self-restraint, fidelity(responsibility), understanding others, manners and honesty as themes more often than those of North Korea and subjects such as frugality, sharing, order and rules, cooperation and patriotism(ecosystem protection) we found more often in those of North Korea.

중국 고대 삼달존(三達尊) 사상의 연원 고찰 - 『시경(詩經)』에 보이는 기로의식(耆老意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Triple Value(三達尊) in Ancient China-Mainly with the Aged Consciousness in the Book of Odes)

  • 노상균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227-251
    • /
    • 2017
  • 본 논문은 미래지향적인 건강한 기로문화 건설의 일환으로 중국 고대 "삼달존(三達尊)"사상에 대해 그 형성배경과 구체적인 의미, 그리고 형성과정 속에서 창조된 상징성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이 갖추어야 할 덕성과 자존감을 회복하고 이에 따른 젊은이들의 존로(尊老)의식을 고취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필자는 "시경(詩經)"의 "대아(大雅)" 및 "소아(小雅)"의 여러 시편들과 "상서(尙書) 주서(周書)"의 기록들로부터 덕(德)과 작(爵)(지위) 그리고 치(齒)(나이)를 삼위일체로 여기는 "삼달존(三達尊)"사상의 연원을 찾아내고, 자세한 분석을 통하여 이 사상이 주초(周初)의 정치적 효용성으로 인해 발생하였음을 밝히고, 아울러 이 사상의 상징체로 서주초의 문왕(文王)을, 그리고 구현체로 서주말의 소백호(召伯虎)를 설정하고 이 두 인물에 대한 자세한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징화와 구현화가 후대 삼달존 사상이 전형화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음을 밝혔다.

대순진리회 목적(目的)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Object of Daesoonjinrihoe)

  • 유병무
    • 대순사상논총
    • /
    • 제26집
    • /
    • pp.183-2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rough 'examining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was set when Kang Jeungsan Sangje descended to human world, upon the plea of divine sages,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determined to save the world and relieve people far and wide. For building an Earthly Paradise with Daesoon thought, Sangje carried out the great work of Reordering of the Universe for nine years and passed into heaven. Cho Jeongsan Doju, who received the heavenly religious orthodox through divine revelation from Sangje, served the late will of Sangje and established Main Tenets, Creeds, and objective of Daesoon thought. The objective set by Doju was continued to Park Wudang Dojeon and formed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onsist of three sets of objectives in sequential order, which are related in organic, mutual beneficient, and integrative with one another. The Objectives starts from individual cultivation and expand into worldly reformation: 1)one's Spiritual transformation through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Renewal of human beings through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3)Opening of new world through Building of Earthly Paradise. Also, in thes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Three Realm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keep close relations to enter into new world. These Objectives are based on the 'thought of mutual beneficence' and are realized with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Dao of 'Crowned King' that goes beyond the previous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have following details in each objective as following; (1)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Spiritual Transformation' is for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uman has the potential to restore conscience, which is true nature, and return to undefiled essence by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other words, it views that one can reach into the stage of spiritual alignment with the Dao once he recovers conscience through cultivation of Daesoonjinrihoe based on the idea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2)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Renewal of human beings' is for ideal human character. 'Realizing Earthly Immortality' in Daesoon Thought indicates the advent of ideal human beings called 'Dotong gunja'(virtuous beings who are aligned with the Dao). They are leaders who integrate politics and religion in helping people to renew themselves and make the world into Earthly Paradise. (3) 'Building an Earthly Paradise-Opening of new world' is for ideal society. Daesoon thought aims to making a peaceful world by creating an ideal society of heaven on this earth. Park Wudang Dojeon, who led Daesoonjinriho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ree Basic Activities: Spreading of Sangje's virtue, Edification, and Cultivation: and Three Major Activities: Aid and charity,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Dojeon said "One should make effort to reach the utmost goodness through enlightening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ing their talent virtue." In this words, he made clear that the Objectives of Daesoonjinrihoe can be realized when people enlighten their bright virtue and cultivate themselves with their talent virtue. In conclusion, the Objectives of Daesoon thought were clarified of their meanings by Sangje, established into laws by Doju, and actualized by Dojoen in various activities of Daesoonjinriho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