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problem

검색결과 3,446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ocial Problem-Solv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Incoming University Freshman)

  • 김정민;박준희;나윤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5호
    • /
    • pp.69-76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ocial problem-solv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incoming university freshman and to examine its efficacy through pre- and post-test. The program included cognitive restructuring,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 training. The program consisted of 12 weekly sessions, approximately 1.5~2 hours in duration. Pre-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o both a treatment group(n=48) and a control group(n=48).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COV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social problem-solv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nd Hopelessness in Depression among Low-Income Residents)

  • 엄태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59-85
    • /
    • 2006
  •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저소득층의 외상과 스트레스 같은 부정적 생활 경험과 매개변인으로 제안된 무망감을 통하여 우울증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고, 이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자와 자활후견기관과 연계된 차상위계층 175명이다. 연구결과, 저소득층의 스트레스는 무망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와 무망감은 우울증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제안된 스트레스는 무망감을 매개변인으로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과 무망감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의 무망감과 우울증에 대한 실천개입의 강조와 정신건강증을 위한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Social Studie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through Utilizing Digital Textbooks)

  • 유제일;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6
    • /
    • 2015
  •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교육과 같은 스마트교육 환경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보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실시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의 역량을 키우며, 이를 종합하여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양식에 따른 문제행동 및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Coping Styles, and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in Youth)

  • 안자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1-18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ch students stress have, how they cope with this stress, difference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changes based on stress, and stress differing levels when coping with the situation either actively or passively The hypotheses were stated as follows. 1.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problems based on sex. 2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problems based on grade. 3.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problems based on stress level. 4.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personality problems based on a student's ability to cope with stress. 5. Upper level students under lower stress and lower level students under higher stress will have more problems behaviors and more personality problems. 300 male/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out the Seoul area were randomly selected. Of the 300 subjects that were sampled, 294 (Male=145, Female=149) actual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ress Scale developed by Lazarus & Folkman (1984) Problem Behavior Scale, Personality Problem Scale, and Checklist were used and the conclusions are stated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have more anti-social behavior and higher anti-social tendencies than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ve more self-depreciation than male students. Second, upper level students have more anti-social behavior, self-ego, fabrication, and higher personality problems than lower level students. Third, students having too much stress have more anti-social behavior, self-ego, and fabrication and personality problems than students having less stress. Fourth, students coping with stress actively showed less self-ego and fabrication and less thought disturbance, anti-social tendencies, and self-depreciation than students coping with stress passively. Finally, upper level students under lower stress and lower level students under higher stress have more fabrication behaviors and more thought disturbance and self-depreciation.

  • PDF

디자인영역에서의 불명확한 난제(Wicked Problem)와 사회적 혁신 연구 -용어 정의와 사례를 중심으로- (Wicked Problems and Social Innovation on Design Perspective -Focused on the Word Definition and Case Study Research-)

  • 김혜령;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59-166
    • /
    • 2017
  • 불명확한 난제(wicked problem)는 파악하기 어렵고 인지하기조차 쉽지 않은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도 만연한 불명확한 난제라는 용어가 파생하게 된 배경과 확산 경로를 통해 불명확한 난제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편 최근 확산되는 화두인 사회적 혁신을 위해서는 불명확한 난제를 파악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사회적 혁신은 기존에 존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참신한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그 수혜자 또한 개인이 아니라 사회라는 점에서 불명확한 난제가 다루는 분야와 일치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불명확한 난제를 참신한 방식, 즉 디자인 사고를 통해 사회적 혁신으로 풀어낸 사례를 소개한다. 사례를 통해서는 디자인 사고가 불명확한 난제를 파악하게 하거나 사회적 혁신에 일조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인 불명확한 난제를 찾아서 디자인 사고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roblem Based Learning (PBL) 을 이용한 의상학과 이론수업방식에 관한 고찰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5호
    • /
    • pp.93-1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Problem based-learning)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Thirty-seven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15-week capstone course in a clothing and textiles department. Eighty-on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majoring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The study was conducted two focus group interview with 37 undergraduate students.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BL (Problem Based Learning) in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have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collaboration within the team and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15 week of teamwork. The participants were developed to express their opinion actively and solving the problem skills. Eighty percent of the instructor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of the course objectives. Seventy-five percent of the instructors expressed the difficulty of student's evaluation. Fifty-five percent of the instructors had a difficulty of development of module problems.

사회문제 해결 연구보고서 기반 문장 의미 식별 데이터셋 구축 (Building Sentence Meaning Identification Dataset Based on Social Problem-Solving R&D Reports)

  • 신현호;정선기;전홍우;권이남;이재민;박강희;최성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4호
    • /
    • pp.159-172
    • /
    • 2023
  • 일반적으로 사회문제 해결 연구는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적 현안들에 의미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그러나 사회문제와 쟁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국가적으로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회문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사회문제 해결 연구의 전 과정을 원활하게 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시급한 현안들에 대한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기존 R&D 보고서와 같은 자료에서 중요한 사안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면 사회문제 파악 단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국가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와 해결방안을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기계학습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데이터셋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문제와 쟁점을 다룬 연구보고서를 총 700건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 목적, 해결 방안 등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내용이 담긴 문장을 추출 후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4개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분류 모델을 구현하고 구축된 데이터셋을 통해 일련의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KLUE-BERT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미세조정한 모델이 정확도 75.853%, F1 스코어 63.503%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의 진화 과정 분석과 과제 (A Study on the Evolution of 'Social problem-solving R&D model' in Korea)

  • 성지은;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83-110
    • /
    • 2023
  • 이 연구는 정부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진화과정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이 한국 사회에 자리 잡는 과정을 분석한다. 기업, 과학기술계, 시민사회에도 없었던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이 정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형성되고 이 모델에 따라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조직공동체가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새로운 혁신모델인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 그것을 지원·수행하는 조직공동체, 새 모델을 지원하는 제도가 공진화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틀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혁신모델이 형성·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종합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정책 방안을 다룬다.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행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Reg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옥경희;김미해;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61-68
    • /
    • 2002
  • Relations of reg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s to school adjustment were examined for 1,105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558 2nd grade and 547 5th grade. Children reported their regulation and negative emotionality and teachers rate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ch as hyperactive and withdrawal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chool life, grades,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nd teacher. Measures of problem behaviors were high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hyperactive to school life and grades and withdrawal to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nd teacher. Behavioral regulation wa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chool life and social functioning with teacher and was able to modulate the influence of hyperactive.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via withdrawal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Movie Recommendation Algorithm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Alleviate Cold-Start Problem

  • Xinchang, Khamphaphone;Vilakone, Phonexay;Park, Doo-Soo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616-631
    • /
    • 2019
  • With the rapid increase of information on the World Wide Web, finding usefu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as become a major problem. The recommendation system helps users make decisions in complex data areas where the amount of data available is large. There are many methods that have been proposed in the recommender system. Collaborative filtering is a popular method widely used in the recommendation system. However,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still have some problems, namely cold-start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vie recommendation system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to solve this problem associated with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We applied personal propensity of users such as age, gender, and occupation to make relationship matrix between users, and the relationship matrix is applied to cluster user by using community detection based on edge betweenness centrality. Then the recommended system will suggest movies which were previously interested by users in the group to new users. We show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 very efficient method using mean absolute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