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properties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7초

뇌신경절단법(MSK법)으로 치사한 활어복의 숙성시 숙성수 침지시간에 따른 어육의 품질변화 (Changes in Puffer Fish Quality Induced by Soak Time in Maturing Water during Maturation of Puffer Fish Prepared via the Cutting Cranial Nerve Method (MSK Method))

  • 문승권;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8-433
    • /
    • 2010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puffer fish and soak time in maturing water. This research used the cutting cranial nerve method, which is called the MSK metho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Based on salinity analysis result, both moisture content and pH were measured after 20 min of soaking. As the salinity of the maturing water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initially decreased then increased once the salinity was greater than 3%.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the maturing water did not influence the pH level. The texture propertie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effect of soak time in the maturing water. Hardness of the sample was highest (3.99) at 20 min, and cohesiveness also showed a maximum value (0.26) at 20 min.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1.04 and 4.09, respectively, when the fish was matured for 20 min.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and springiness, umami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st at 20 min of soak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maturing the puffer fish for 20 min provided the best quality of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or the fish.

14품종 찹쌀의 유과 가공성 비교 (Varietal Differenc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Fried Rice Cookie) made from Fourteen Glutinous Rice Cultivars)

  • 강미영;성유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9-74
    • /
    • 2000
  • 14품종 찹쌀을 시료로하여 유과제조에 대한 가공적성을 비교하였다. 유과의 가공성과 상관 관계가 있는 찹쌀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수침에 의해 유리되는 환원당 함량이었으며, 유리되는 환원당 함량의 양이 많은 품종의 찹쌀일수록 유과의 가공성이 좋았다. 14품종의 찹쌀 중 유과의 팽화도, 아삭아삭한 정도, 관능검사에 의한 기호도 등의 수치가 골고루 높아 유과제조에 적합한 품목으로는 CB243, 산동 71 이었다.

  • PDF

Modification of Urea Formaldehyde Resin with Pyrolytic Oil on Particleboard

  • Adegoke, Olaoluwa Adeniyi;Ogunsanwo, Olukayode Yekeen;Olaoye, Kayode Oladay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19-224
    • /
    • 2020
  • Urea formaldehyde resins are widely used in the manufacturing of wood composite and their usage is always combined with release of formaldehyde characterized to be hazardous to health during and after the manufacturing of the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wood-based adhesive from oil of pyrolysed Triplochiton scleroxylon sawdust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board. The wood-derived Pyrolytic Oil (PyO) was blended with Urea Formaldehyde (UF) resin to formed Pyrolytic Oil-Urea Formaldehyde (PyOUF). The obtained PyOUF called Wood-Based Adhesives at four blends and control (UF) viz; 1:1, 1:2, 1:3, 2:1, 1:3 were further employed to prepare the composite board and test for their bonding strength by physical (water absorption-WA and thickness swelling-Th.S) and mechanical properties (modulus of elasticity-MOE, modulus of rupture-MOR, and impact bending-IB). Data obtained was analys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t α 0.05. The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conducted on physical properti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WA values obtained when testing the different blending proportion of PyOUF and likewise between 2 and 24 h of immersion. PyOUF had significant effect (p≤0.05) on Th. S for 24 h but no significant different (p>0.05) for the 2 h period of soaking. The analysis of varianc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board (MOE, MOR, and IB) show significance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strength values obtained when testing the different ratios of PyO with UF. PyO content influenced the properties of the boards and it is evident that PyO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mposite board.

Evaluation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on-certificated Laminated Veneer Lumber (LVL) Circulated in Domestic Lumber Market

  • Oh, Sei-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429-436
    • /
    • 2011
  • The selected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on-certificated LVL circulated in domestic lumber market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relevant standards. The tested LVL passed the moisture content and the soaking delamination rate limit as per domestic (KS) and Japanese standard (JAS). The evaluated mechanical properties were flatwise/edgewise bending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MOE), horizontal shear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30 mm-thick LV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ending strength than that of the 25 mm-thick LVL. The modulus of elasticity (MOE) showed same tendency in the results of bending strength. The edgewise bending strength and MOE were higher than that of flatwise bending strength and MOE. The horizontal shear strength values were also showed similar results to bending strength values. The tested results were compared each other and each products were graded according to JAS 701 grade specification. The failure mode of LVL in bending test showed the similar failure mode of solidwood that failed in a simple tension manner (splintery tension). The glue line failure was severe in 25 mm-thick specimens due to concentration of shear stress in layer discontinuity containing small voids and starved glue lines. In horizontal shear strength test, failure mode of LVL showed the typical horizontal shear failure. Compressive specimens failed with fiber crushing in company with apparent delamination that splitted along the length of the specimens. From the results, the complete bonding between lamination and consistency in thin veneer layer were consider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VL. Moreover, the standard test procedure and specification for non-certificated LVL should be required to check the performance of uncertificated materials.

재배방식이 다른 논쌀과 제주밭쌀의 특성 및 중금속 함량비교 (Comparison of properties and heavy metal contents of paddy and Jeju rices)

  • 이승우;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8-142
    • /
    • 2018
  • 재배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논에서 재배되는 논쌀 두종과 제주밭쌀의 특성과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였다. 두 논쌀 중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논쌀 2와 제주밭쌀은 높은 페이스팅 온도와 낮은 최고 점성,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셋백(setback)을 보였으나, 재배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제주밭쌀은 짙은 노란색과 낮은 점성을 보여 외관과 기계적 식미치에서 논쌀보다 낮게 평가되었다. 중금속 중 카드뮴과 납은 논쌀과 밭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총 비소함량의 경우 제주밭쌀은 논쌀의 10.1-17.9%에 해당하는 양을 보였다. 또한 제주밭쌀의 무기비소함량도 논쌀 2의 무기비소함량의 15%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쌀을 침수, 취반, 뜨거운 물로 씻어내리기 등의 처리에 의해 무기비소 함량을 각각 34.1, 23.8, 17.5%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주밭쌀의 경우 무기비소함량이 매우 적어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발아조건 및 건조방법이 발아현미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 김선림;손영구;손종록;허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1-228
    • /
    • 2001
  • 1. 현미를 상온저장시 2주까지는 발아율에 차이가 없으나, 저장 3주후부터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되어 발아율이 8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발아현미의 재배를 위해서는 도정후 2주 이내의 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24시간 침종처리가 무침종에 비하여 현미의 초기발아율이 약 2-3%증가되었고, $25^{\circ}C$는 현미의 발아율과 생육상태가 좋았을 뿐만 아니라 부패발생도 적었다. 3. 동결건조된 발아현미는 열풍건조된 발아현미와는 달리 호분층 및 내배유부분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었고, 배유의 전분 저장세포뿐만 아니라 전분립간의 균열현상이 관찰되었다. 4. 열풍건조는 동결건조 보다 유리하였고, 55$^{\circ}C$로 48시간 건조시 발아현미의 불쾌취가 제거되었다. 5. 조단백 및 amylose는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조회분, 조섬유 및 유리당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조지방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6. $\alpha$-amylase활력은 발아 5일부터 급격히 증가하다가 발아 8일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7. 유리당의 함량은 발아기간(0-8일)중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sucrose와 glucose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발아 5일 이후 fructose와 maltose는 증가되었다.

  • PDF

열처리가 오이지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 최희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5-850
    • /
    • 1989
  • 본 연구는 오이지를 발효시킬 때 열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오이를 높은 온도의 소금물에 담금과 생오이를 microwave로 가열처리한 뒤 $25^{\circ}C$에서 10일간 10% 소금용액에 넣어 발효시켰을 때 pH, 총산도, 텍스쳐 및 관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초기 절임온도를 $60-90^{\circ}C$로 하였을 때 pH의 감소경향은 60-70-표준시료 $-80-90^{\circ}C$순으로 감소속도가 점점 낮아져 $80-90^{\circ}C$에서의 담금이 오이지의 숙성을 현저히 지연시켰으며 산의 생성은 $70^{\circ}C$가 가장 많고 $90^{\circ}C$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오이의 견고성은 발효 4일째부터 $80-90^{\circ}C$ 처리구가 높았다. 생오이에 microwave 열처리함은 오이지 담금액의 pH 변화가 발효 2일부터 표준시료보다 빠르게 밀어져 모든 microwave 처리구가 비교 적 낮은 pH값을 보였으며 산생성도 2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무처리구보다 많은 양의 산이 생성되어 발효가 촉진되었다. 한편 텍스쳐 변화는 4일 이후 2-3분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 생오이의 microwave 열처리는 발효를 촉진시켰으나 텍스쳐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성질의 평가는 7일 경과한 오이지를 비교하였을 때 열수에 담금과 micorwave에 의한 열처리는 맛이나 냄새에 큰 영향이 없이 사각사각한 성질이 높게 나타나 오이지 텍스쳐의 연화현상을 감소시키는데 유익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선권현 강의 연구- V 날개그물용 재료로서 개발된 그물실의 물리적 특성 (Study on the Anchovy Boat seine- V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roved Netting Twines to be used in the Wing Net)

  • 이병기;서영태;이주목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6권1호
    • /
    • pp.17-22
    • /
    • 1980
  • 권현망에 쓰이고 있는 오비기.수비재료를 개량하기 위하여, 속에 PVD를 넣고 밖에 PE를 둘러서 3년으로 꼰 망멱를 개발하여, 재래의 재료와 함께 그 물리적 특성을 측정.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1) 재래식은 민물에 1주야 침지하면 4~7%의 수축이 일어나는 데 비하여, 신개발재과는 그런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2)비중은 재래식이 1주야 침지한 후에야 겨우 1.04~1.025여서 해수보다 무겁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달성되지 않으나, 신개발재과는 침지시키지 않아도 1.06~1.09여서 비중이 크며, 필요에 따라 더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유연성은 재래식과 신개발재과가 비등하다. (4) 파단강도나 탄성회복도가 재래식보다 크다. (5) 6개월간 어구로서 사용한 후에도 망목이 신장되지 않았다.

  • PDF

장기저장한 벼 종실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during Long-Term Storage)

  • 이인근;김광호;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24-530
    • /
    • 1993
  • 양곡창고에 정조상태로 장기저장한 벼 종실의 이화학적특성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1987년부터 1992년까지 해마다 생산되어 64개월부터 4개월까지 저장되어 있던 통일형품종 삼강벼를 시험재료로 하여 저장기간이 다른 쌀의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의 지방산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는데 16개월 저장시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그 이후는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2. 백미의 아밀로스, 마그네슘 및 칼륨함량과 K/Mg 비율은 저장기간의 장단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단백질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상온 및 가열흡수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상온흡수율은 침지초기에 그리고 가열흡수율은 침지시간이 경과할수록 고미와 신미간 차이가 컸다. 4.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쌀의 알칼리붕괴도는 높아졌으며 호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냉각점도, breakdown 및 setback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6. 취반후 팽창용적은 저장기간이 긴 쌀이 짧은 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컸으며 용출고형물질과 요드정색도를 나타내는 흡광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당침지 검정콩 스낵 제품의 개발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Development of Sugar-Soaked Black Soybean Snack and Its Quality Change on Functional Components)

  • 송노을;송영란;김종희;김영은;한아름;정도연;백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53-859
    • /
    • 2011
  • 검정콩의 기능적, 영양적으로 매우 유용한 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춘 형태인 스낵 타입의 검정콩 제품을 개발하였다. 부드러운 조직감과 높은 기호도를 위해서 1차 당침지 조건/2차 당침지 조건을 달리하였으며 수분함량, 조직감, 관능평가 등을 고려하여 1차 당침지 당액농도 $40^{\circ}brix$, 2차 당침지 당액농도 $50^{\circ}brix$로 침지하여 제조한 당침지 콩스낵 제조공정을 확립하였고 그에 따른 최적 조건하에 제조된 당침지 검정콩 편이식 시제품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분함량은 $5.50{\pm}0.39%$, 조단백질은 $16.25{\pm}0.07%$, 조지방은 $34.26{\pm}3.95%$, 조회분은 $0.51{\pm}0.05%$, 탄수화물은 $43.48{\pm}0.01%$이었으며 최종제품의 잔존당 함량은 $10.20{\pm}0.10^{\circ}brix$로 나타났다. GABA 함량은 $15.24{\pm}1.47\;mg$/g으로 9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이소플라본은 당이 분리된 alycon 형태로써의 daidzein($695.7{\pm}6.08\;{\mu}g$/g), genistein($810.6{\pm}3.9\;{\mu}g$/g) 함량보다 배당체 형태인 daidzin($755.8{\pm}39.6\;{\mu}g$/g)과 genistin($1640.7{\pm}390.8\;{\mu}g$/g) 형태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페놀성분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16{\pm}0.01\;mg$/g과 $2.33{\pm}0.40\;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