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of barle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on Biochemical Properties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 Singkhornart, Sasathorn;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7-7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aking time (6, 12 and 24 hr) and steeping temperature (25, 30 and $35^{\circ}C$) on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percentage and weight loss of wheat and barley.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at, and ash), reducing sugar content, enzyme activity and pasting profile and GABA ($\gamma$-animobutyric acid)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the short soaking time and lower steep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decreased germination time and weight loss, while germination percentage increased. Regarding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protein content of wheat and barley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germin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of crude fat and ash of both germinated cereals.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both germinated cereals decreased as the steep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25^{\circ}C$ to $35^{\circ}C$. Increasing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led to increased amylase activity, and also corresponded to reduced paste viscosity. The highest GABA content that occurred with soaking times of 6 and 12 hr and a steeping temperature of $35^{\circ}C$ was 1,467.74 and 1,474.70 ${\mu}g/g$ for germinated wheat and 2,108.13 and 1,691.85 ${\mu}g/g$ for germinated barle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timum germination process for wheat and barley is a low steeping temperature and a short soaking time.

보리의 볶음조건이 보리차의 품질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 윤석권;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75-582
    • /
    • 1989
  • 보리차의 수율을 높히어 보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품질을 향상시켜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보리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피맥인 올보리와 나맥인 영산보리 2가지의 보리품종으로 침지처리, 볶음정도, 분쇄처리 하여 물리화학적 성질 및 관능경사를 실시하였다. 볶았을 때 영산보리와 침지처리에 의하여 정화현상이 일어나 보리의 체적변화가 컸다. 보리차 중 고형분 수율은 영산보리, 침지처리 및 유음 정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수율이 높은 처리일수록 추출시간은 30분까지 급격히 중가하고 그 이후는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점도는 올보리가 영산보리보다 낮고 침지처리로 또한 낮아졌으며 볶는 정가 높으면 낮았다. 보리차의 색은 올보리, 무침지, 볶음정도가 높을 때 Hunter의 L값은 낮고 a, b값이 높아져 색이 진해지며 탁도는 수율과 비슷하여 영산보리, 침지처리 및 볶음 정도가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올보리는 구수한 맛과 탄맛이 강하였다. 영산보리는 탄맛이 강하고 전체적인 맛과 냄새의 강도는 영산보리가 더 강하였으며 침지 및 분쇄처리로 관능적 성질을 향상시켜 주었다.

  • PDF

오존 및 광선의 처리가 맥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zone and Light Illumination on the Enzymation Activity of Malt)

  • 오만진;김혜정;이정호;최성현;권병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73
    • /
    • 1999
  • In order to increase the enzymatic activity of malt used as a source of traditional processing foods, the enzymatic activities of various barley were examined and the effects of ozone and light illumination treatment on the enzymatic activities of amylase, amylase, and glucanase in malt during man ufacture were also examined. Barley didn't show amylase activity prior to soaking, but the activity of barley increased quickly after soaking. Glutinous barley showed the highest amylase activity among Duru barley, Ol barley, two rowed barley and naked barley. Naked barley showed the lowest activity. The amylase activity was the highest in Duru barley and decreased in the order of in glutinous barley, naked barley and two rowed barley. It was showed that the enzymatic activity of mal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when malt was soaked for 24hr at the concentration of 0.3ppm of ozone. The enzymatic activity of malt treated with light illumin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bud and root of light illuminated malt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control. The root of light illuminated malt was much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In addition, light illuminated malt showed a little green color which matches the demand of consumer. These studies demonstrated that both ozone and light illumination treatment increased the enzymatic activity of malt to result in high quality of malt manufacture.

  • PDF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 on Growth and Inhibition of Various Plant Species

  • Kuk, Yong-In;Lim, Gyeong-Seob;Chon, Sang-Uk;Hwang, Tay-Eak;Guh, Ja-Oc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7-13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5-aminolevulinic acid(ALA) on the growth of several crops and weeds, by applying a seed soaking treatment, foliar treatment, and application timing, while comparing biological activity between ALA produced by chemical synthesis (Synthetic-ALA) and extracellularly-accumulated ALA by overexpressing the hemeA gene isolated from Bradyrhizobium japonicum(Bio-ALA). Seed soaking treatment of ALA in barley (five cultivars) and wheat (five cultivars) had not shown positive effects at lower concentrations, 0.05 to 0.5 mM as well as negative effects at higher concentrations, 1 to 30 mM. In rice, there also was no positive effect by seed soaking treatment of ALA at lower concentrations, although the rice became damaged by an application of 5 and 10 mM ALA. Growth in barley cultivars, Ganghossalbori, Naehanssalbori, Songhakbori, Saessalbori, and Daehossalbori were increased up to 14%, 19-51 %, 17-64%, 18-23%, and 22-38% by ALA foliar application at lower concentrations, 0.05 to 0.5 m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in barley cultivars was inhibited by ALA foliar application at higher concentrations. Barley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ALA foliar application than wheat and rice. The growth stimulation caused by ALA seed soaking treatment was less than by ALA foliar treatment. ALA treatment at the 1.5-leaf stage increased growth of barley by 19-58%, while pretreatment to seeds, post-emergence treatment at 3 days after seeding, 3-leaf stages, and 5-leaf stages had not shown positive effects. Thus, the positive effects of ALA on barley were dependent greatly upon the timing of application and its concentration. Monocots weeds were more sensitive to ALA foliar treatment than dicotyledonous weeds. A monocot weed, Setaria viridis L. was the most susceptible plant to ALA while a dicotyledonous weed, Plantago asiatica L. was the most toleran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logical activity between bio-ALA and synthetic ALA on barley, wheat, rice, and weed, Ixeris dentate tested was observed. Thus, ALA produced by microorganisms would be a potent substance to be used effectively in agricultural production.

섬유소계 바이오매스의 분별을 위한 다양한 알칼리 전처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lkaline Pretreatment Methods of Cellulosic Biomass)

  • 김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03-307
    • /
    • 2013
  • 이 연구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대한 알칼리 용액의 침지와 침출 전처리의 효능을 비교한다. 볏짚과 보리짚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매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 암모니아수 그리고 탄산나트륨 용액에 의해 침지 공정으로 수행되었다. 암모니아수에 의해 전처리된 볏짚과 보리짚의 효소 소화율은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 낙엽송 그리고 리기다 소나무의 효소 소화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범위로 나왔다. 하지만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은 초기 바이오매스에 비해 효소 소화율이 약 5배 증가되었다. 또한 침출 공정으로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부산물의 효소 소화율은 약 12배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맥, 할맥과 보리쌀의 수분흡수 및 가열시 조리도의 비교 (Water Uptake Rate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Cooking of Pressed, Cutted and Pearled Barley)

  • 손정우;염초애;장명숙;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28
    • /
    • 1987
  • 압맥, 할맥 및 보리쌀을 $20{\sim}$50^{\circ}C$의 물에 6시간 침지 시키면서 수분흡수속도를 비교하였다. 압맥은 할맥보다 할맥은 겉보리에 비하여 높은 수분흡수를 나타내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분흡수속도가 증가하였고 압맥이 온도 의존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100^{\circ}C$에서 가열시 호화완료 시간은 압맥이 할맥 및 보러쌀 보다 각각 1.4배 및 2배 빨랐다.

  • PDF

곡류와 두류의 침지 및 건조 특성 (Soaking and Drying Characteristics of Grains and Legumes)

  • 박종대;전향미;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44-350
    • /
    • 2006
  • 혼합곡의 식미를 높이고 쌀과 함께 취반이 용이하게 하고자 찹쌀, 현미, 현미찹쌀, 찰보리, 서리태, 흑태, 팥 7가지 곡류와 두류를 대상으로 침지와 건조 전처리 조건을 검토하였다. 각 곡류와 두류의 수분흡수량은 서리태와 흑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리, 찹쌀, 멥쌀, 현미찹쌀, 현미, 팥 순서를 보였다. 침지온도별 수분흡수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량이 증가하였고 수분흡수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두류의 분쇄별 수분흡수량은 분쇄가 많이 될 수록 수분흡수량이 증가하였고 수분흡수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침지한 시료를 실온, 열풍 $30^{\circ}C,\;50^{\circ}C$와 마이크로파 300 W, 700 W, 1000 W 출력으로 건조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파 700 W 건조가 실온과 열풍, 마이크로파 300W에 비하여 시료의 손상없이 가장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혼합곡의 전처리 조건은 $30^{\circ}C$에서 1시간 침지한 후 마이크로파 700W에서 건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alpha}$화 보리쌀의 제조에 관한 연구 -제 1 보 : ${\alpha}$화 보리쌀의 수율과 호화도-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Polished ${\alpha}-Barley$ -I. The Yield and Degree of Gelatinization-)

  • 김형수;강옥주;류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5-159
    • /
    • 1983
  • 겉보리 품종 중 부농, 쌀보리 품종 중 세도하다가를 각각 50%와 65%, 60%와 75%로 도정수율을 달리하고, 수침, 가열, 건조하여 ${\alpha}$화 보리쌀을 제조하였다. 각 시료의 일반성분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가열 건조한 보리쌀의 수율 및 호화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lpha}$화 보리쌀의 수율은 microwave oven가열, 생증기처리, 가압솥처리시 $95{\sim}98%$이며 열탕처리의 경우는 $74{\sim}89%$로서 낮았다. 2. ${\alpha}$화 보리쌀의 호화도는 microwave oven 1분 가열로서 $31{\sim}42%$, microwave oven에서 5분, 생증기처리 10분과 20분에서 90% 내외를 보였고, 생증기처리 30분, 열탕처리, 가압솥처리에서 95%이상의 호화도를 보였다.

  • PDF

볏짚추출물이 독새풀과 보리의 초장 및 유근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ice Straw Extract on Growth of Barley and Water Foxtail(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Kom.) Ohwi)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1998
  • 노동력 부족으로 대부분의 농가가 논에서 태우거나 볏짚이 있는 상태에서 보리를 파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물과 잡초의 발생이나 생육이 억제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구명하고자, 추출온도, 시간, 추출농도, 생육시기, 품종에 따른 볏짚 추출물이 보리 또는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볏짚 10%(w/v), $24^{\circ}C$, 5시간 추출액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2. 5%(w/v)의 볏짚 추출액은 보리의 초장의 신장과 발아를 촉진하나, 독새풀은 억제하였고, 10-20%(w/v)에서 독새풀의 초장, 근장 및 발아율이 61.0-100% 억제되었다. 3. 볏짚의 유묘기, 분얼기, 출수기, 성숙기, 수확기의 추출물중 유묘기의 추출물이 보리의 초장, 근장 및 발아를 가장 많이 억제하였다. 4. 17종의 벼 품종 중 대림벼 추출물이 보리의 생육을 가장 많이 억제하였고, 안중벼가 가장 낮았다. 5 볏짚 추출물에 대하여 10종의 보리품종중 새올보리의 생육이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부농이 가장 낮았다.

  • PDF

적미병 보리의 유독성분에 관한 연구 (제 II 보) 유독성분의 분포, 제거방법 및 제독성 물질에 관하여 (Studies on the Toxic Substances in Korean Barley Infected with Gibberella Zeae(II) Distribution of the Toxic Substance, Method of its Elimination and Some Detoxifying Agent)

  • 김태봉;한보섭;한상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8-81
    • /
    • 1964
  • In this report, some practical problem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infected barley were examined. Most of the toxic substance is present in the bran. It was almost impossible to remove the toxic substance with water or methanol completly, however, we found it is effectively eliminated by soaking the whole grain with 2%, calcium hydroxide suspension for 24 hours. As a detoxifying agent, kieselguhr was very effective; the grain mixed with little amounts (0.4-0.5%) of kieselguhr may be used as an animal f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