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검색결과 1,170건 처리시간 0.023초

집청시간이 약과의 기호 및 textur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aking time in syrup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Yackwa)

  • 이효지;조신호;이윤경;정락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2-67
    • /
    • 1986
  • 같은 조건으로 약과를 만들어서 집청시간에 변화를 주어 (5분,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12시간)집청시간의 차이가 약과의 맛과 texture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점사와 Instron을 이용한 기계적 측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관능검사 결과 약과의 색은 1시간과 2시간 집청하였을 경우가 가장 좋았으며 집청시간이 길어질수록 색이 옅어지는 경향이었고 약과의 모양은 집청시간 2시간, 3시간이 가장 좋았다. 약과의 부드럽기는 정청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씹히는 촉감은 집청시간이 짧을수록 좋은 경향이었으며 맛은 1시간 집청한 것이 가장 좋았다. 2. 기계적 검사결과 Hardness는 집청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Springiness와 Chewiness는 집청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와의 상관관계 약과의 조직감은 Compression test의 Hardness 및 Springiness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Softness와 Fracturability를 대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위의 실험결과로 보아 같은 조건하에서 만들어진 약과의 집청시간은 1시간 내지 2시간 집청한 약과가 조직감과 맛에 있어서 기호성이 가장 좋았다.

  • PDF

Effect of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on Biochemical Properties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 Singkhornart, Sasathorn;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7-7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aking time (6, 12 and 24 hr) and steeping temperature (25, 30 and $35^{\circ}C$) on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percentage and weight loss of wheat and barley.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at, and ash), reducing sugar content, enzyme activity and pasting profile and GABA ($\gamma$-animobutyric acid)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the short soaking time and lower steep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decreased germination time and weight loss, while germination percentage increased. Regarding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protein content of wheat and barley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germin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of crude fat and ash of both germinated cereals.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both germinated cereals decreased as the steep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25^{\circ}C$ to $35^{\circ}C$. Increasing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led to increased amylase activity, and also corresponded to reduced paste viscosity. The highest GABA content that occurred with soaking times of 6 and 12 hr and a steeping temperature of $35^{\circ}C$ was 1,467.74 and 1,474.70 ${\mu}g/g$ for germinated wheat and 2,108.13 and 1,691.85 ${\mu}g/g$ for germinated barle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timum germination process for wheat and barley is a low steeping temperature and a short soaking time.

염 및 당 침지 처리가 건조 사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soaking in Salt and Sugar Solutions before Air Dry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 소슬아;김종원;김아나;박찬양;이교연;샤피어라만;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8-817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oaking in salt and sugar solution prior to air drying at $50^{\circ}C$ on the characteristics of dried apples. Pre-soaking solutions included single solutions of salt 2% and sugar 2%; and combined solutions of salt 2%+sugar 2% and salt 2%+sugar 5%, respectively. The effects of pre-soaking condition and drying were evaluated in terms of moisture content (MC), water activity, color,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ear force, microbi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 of apple slices. The control sample without pre-soaking showed the most rapid drying rate; in addition, the single solutions showed higher MC and water activity after drying time of 120 min, as compared to combined solutions. In all samples, MC and water activity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1 to 0.97; whereas, shear for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C and water activity. The single solution of salt 2% showed decrease in change of color, including L, a, and b values, an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during drying. In addition,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values of sensory pre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dried apple pre-soaked in single solution of salt 2%.

쌀의 침지조건이 취반후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Texture of Cooked Rice)

  • 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1-514
    • /
    • 1992
  • 쌀(아끼바레)의 침지온도 및 시간에 따른 수분흡수 양상을 조사하고, 침지조건에 따른 취반후 밥의 조직감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침지온도별 쌀의 수분흡수 양상은 $23^{\circ}C$의 침지온도에서는 초기 30분안에 수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후 그 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4^{\circ}C$에서는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수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볼 수가 있었다. 밥의 조직감 변화를 침지온도에 관계없이 침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취반후 밥의 경도(H)는 감소된 반면 끈기(S)와 끈기 대 경도의 비(S/H)가 증가하였다. $23^{\circ}C$에서 침지시킬 경우 $4^{\circ}C$보다 침지 시간에 따른 끈기와 끈기 대 경도의 비가 커졌다. 본 실험조건에서는 적당한 조직감을 갖는 끈기 대 경도의 비가 $0.15{\sim}0.2$ 사이에 들어가는 침지시간은 $4^{\circ}C$에서 $10{\sim}40$분 구간이며, $23^{\circ}C$에서는 $10{\sim}20$분 구간이었다.

  • PDF

불림 후 건조 조건에서 서리태와 백태의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Changes of Isoflavone Contents in White and Black Soybean Powders Prepared under Drying Conditions after Soaking)

  • 차승현;송하영;편금나;홍은아;박세림;박상범;;장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7-92
    • /
    • 2023
  • Isoflavones found in soybeans are present as glycosides and aglycones, which differ according to their chemical structure. The absorption rate and bioavailability of aglycones are greater than those of glycosides. It is known that aglycone isoflavones in soybean was converted from glycoside isoflavones by activating of endogenous β-glucosidase under drying (40~60℃) conditions after soaking.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powders prepared under dried after soaking were analyzed. In the comparison of the proximate compositions, the moisture contents of white soybean powder dried after soaking (WSPDS) and black soybean powder dried after soaking (BSPDS) wer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white soybean powder (CWSP) and control black soybean powder (CBSP). Whereas the contents of other proximate compositions were increased. The aglycone isoflavone contents were higher in WSPDS than in CWSP. Whereas the aglycone isoflavone contents of BSPDS had a similar content those of CBSP because of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it is appropriate to identify and utilize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oybean varieties in order to induce an increase in the functional component content of soybeans under drying conditions after soaking.

조리조건에 따른 양지머리와 사골곰국의 맛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nents in brisket and shank Gom-Kuk by Cooking Conditions)

  • 조은자;정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90-499
    • /
    • 1999
  • 한우암소의 양지머리(brisket)와 사골(shank)을 전처리 방법,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른 곰국의 맛성분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을 분석하고 색도 측정과 관능평가를 병행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Soaking, blanching 전처리 양지머리 곰국의 유리아미노산 용출량은 대체로 가열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용출량은 고온가결 보다 저온가열시에 많았으나 roasting 전처리 곰국은 고온 가열시의 용출량이 높았다. Glutamic acid 용출량은 대체로 soaking>blanching> roasting의 순으로 많았으며 저온에서 6시간 가열시료 (BSL)의 용출량이 8.73 mg%로 가장 많았고 1시간 가열시의 17배 정도였다. 2. 사골(shank) 곰국 중의 유리아미노산 용출량은 전처리법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용출량도 매우 적었다. Glutamic acid 용출량은 저온가열시에는 일정한 경향은 볼 수 없었으나 soaking, blanching 전처리하여 고온가열 3시간 시료에서, roasting처리하여 고온 가열 6시간 시료가 2.49 mg%로 최고치를 보였다. 3. 양지머리 곰국 중 핵산관련 물질의 용출량은 대체로 가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Soaking, blanching 전처리하여 저온가열 한 시료의 5'-IMP 용출량은 6시간 가열한 시료(BSL)가 37.06%, 5 시간 가열한 시료(BBL)이 38.37 mg%로 최고치를 보였으며 roasting 전처리하여 고온가열 6시간 시료(BRH)가 10.85 mg%로 최고치를 보였다. 4. 사골곰국의 5'-IMP 용출량은 soaking>blanching>roasting 전처리 순으로 많이 용출 되었으며 대체로 고온 가열시 높은 용출량을 보였으며 soaking, blanching 전처리시료는 가열 온도와 관계 없이 3시간 가열 이후 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Roasting 처리하여 고온가열 6시간 시료의 5'-IMP 용출량은 1.55 mg%로 최고치를 보였다. 5. Roasting 전처리 고온가열 양지머리 곰국(BRH)의 색차계에 의한 L값은 가장 낮았으며 b값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사골곰국의 L, a, b 값은 전처리 방법이나 가열 온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6. 양지머리 곰국의 색ㆍ향에 대한 관능평가는 roasting 전처리 고온가열시료(BRH)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맛 전반적 기호에 대한 선호도는 soaking 전처리 고온가열시료(BSH)가 가장 높았으며, 사골곰국의 경우에는 soaking 전처리 고온가열시료(SSH)의 모든 관능적 특성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 PDF

장 담금법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of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ccording to soaking method in brine)

  • 최보영;길나영;박신영;조용식;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23-933
    • /
    • 2017
  • 염수 침지 여부를 고려한 장담금법에 따른 저염 된장의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염 농도를 달리하여 6개월 동안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 함량에서는 염수 침지한 12% 메주 된장에서 55% 수준으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된장 시료들은 대략 60% 수분 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장 담금 초기부터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발효기간 내 8% 메주 된장의 경우 감소폭이 적었고 이는 산도 변화에서도 담금 직후부터 발효 6개월까지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환원당 함량은 1-2개월 내에 최대값을 나타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발효기간 내 8% 메줏가루 된장이 가장 높아, 염도 및 장 담금법 간에 상관성은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 변화는 담금 직후에는 염 농도가 낮을 수 록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주 된장에서 메줏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발효초기에는 12% 메줏가루 된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메줏가루 된장이 메주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시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모든 시료가 발효 초기에는 0.91-0.94 Unit/g 수준이었다가 이후 일정하게 감소하여 0.01-0.06 Unit/g 값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8% 메주 된장에서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Protease 효소 활성은 발효 2주차에 메주 된장이 메줏가루 된장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이후 감소하여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발효초기부터 메주 된장에서 메줏가루 된장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발효 6개월째 메주 된장이 7.8-8.0 log CFU/g로 메줏가루 된장(7.2-7.5 log CFU/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맛 센서를 통한 맛 분석결과, 비록 12% 시판 된장에 비해 제조한 된장이 높은 짠맛과 쓴맛, 낮은 풍미를 나타내었지만, 8% 메주 된장이 시판 된장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맛 패턴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기간 동안 장가르기 여부에 따라 메줏가루 된장에서 증가폭은 컸으나 메주 된장의 함량이 높았으며, 염도 8% 된장에서 12% 된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염수 침지 여부에 따른 된장의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장담금 과정을 거친 저염 된장이 품질 특성뿐만 아니라 맛 분석결과에서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고, 아울러 메줏가루를 이용한 간편 저염 장류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두(大豆)의 Alkali 처리가 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f Soybean on the Qualty of Soybean Milk)

  • 오준세;이규희;이원용;이가순;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88
  • 두유의 고삽미와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에 NaOH, $NaHCO_3$ 용액을 처리하여 phenol 화합물의 변화를 HPLC로 정량하였고, 두유중의 beany flavor를 GC로 분석하였으며, 두유의 일반성분 및 기호도를 측정한 결과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은 chlorogenic, p-hydroxybenzoic, p-coumaric, ferulic, gentis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chlorogen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중의 phenol 화합물중 chlorogenic acid는 주로 결합형, 기타 다른 phenol 화합물은 유리형으로 대부분 존재하였다. 대두를 0.1% NaOH용액으로 8시간 침지하였을 때 chlorogenic acid는 85% 이상이 제거되었다. 대두중의 phenol화합물 제거에는 NaOH용액이 효과적이었고,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거율도 높아졌으며, 0.1% NaOH용액에게서 $90^{\circ}C$, 1시간처리하였을 때 phenol 화합물은 대부분 제거되었다. 물, 0.1% NaOH 및 0.5% $NaHCO_3$ 용액으로 침지하여 제조한 두유의 일반성분은 처리간에 비슷하였다. NaOH 용액 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beany flavor 중 hexanol은 증가하였으나, hexanal, propanal, pentanal은 60% 이상이 제거되었다. NaOH 용액처리, 고온침지처리에 의하여 두유의 yellowness는 증가하였으나 물과 저온 침지처리에서는 whiteness가 증가하였다. 대두를 0.1% NaOH 용액으로 $9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여 제조한 두유의 기호도가 가장 좋았다.

  • PDF

Diniconazol의 종자침지 처리가 토마토와 오이 플러그묘의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oaking Treatment of Diniconazol on the Inhibition of Stretching of Tomato and Cucumber Seedlings)

  • 선은선;강호민;김영식;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10
  • 본 실험은 triazole계의 생장조절제인 diniconazole의 종자침지처리 농도 및 처리시간이 토마토와 오이 플러그묘의 도장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처리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마토의 경우 $1mg{\cdot}L^{-1}$ 농도에서는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조금 낮긴 하였으나 무처리와 유의차가 없었고, 그 외의 농도에서는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유묘 출현율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파종 10일 후면 90% 이상 유묘가 출현하였다. Diniconazol의 농도가 높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과도하게 초장이 억제 되었고 발육속도도 지연되었다. 저농도 일수록 절간장 신장 회복이 빨랐으며 고농도이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절간장 신장이 억제기간이 길고 회복도 느렸다. 토마토 및 오이는 $1mg{\cdot}L^{-1}$ 농도처리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의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그 외의 농도에서는 침지시간이 길수록 지상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diniconazol의 처리로 왜화된 오이묘는 정식 후에 정상적인 초장 신장을 보였으며, 암꽃과 수꽃 착생도 무처리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자 처리시 왜화율과 묘소질 등을 고려한 diniconazol의 적정 처리농도와 침지시간은 토마토는 $10mg{\cdot}L^{-1}$ 농도에 12 시간, 오이는 $1mg{\cdot}L^{-1}$의 농도에 24시간 침지 처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판단된다.

찹쌀의 수침이 강정의 팽화부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aking on Expansion Volune of Gang Jung)

  • 박영미;오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15-420
    • /
    • 1985
  • 강정의 제조과정중 찹쌀의 수침이 팽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찹쌀을 0, 0.08, 1, 3, 5, 7, 10일 수침의 7단계로 분류하여 수침중 원료찹쌀에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제 변화와 팽화와의 관련을 살펴 보았다. 수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3일(日) 수침까지는 팽화부피가 크게 증가했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amylogram 점성에 의하면 수침기간의 경과에 따라 호화온도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점도 breakdown은 대체로 증가했다. 수침쌀의 경도는 3일(日) 수침까지는 기간별로 낮아지는 현상이 뚜렷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약간의 저하만을 나타내었다. 가루의 입도분포 역시 3일(日) 수침까지는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세입자가 증가 했으나 3일(日) 이후에는 거의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수침기간에 따른 팽윤도 용해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수침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도 물추출산도는 증가, pH는 감소하였다. 가루의 입도분포를 조정시킨 경우 팽화부피에 현저한 증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수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팽화부피가 커지는 것은 amylogram의 점성거동 변화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물성 변화에 의하는 바 크리라고 생각되며 이러한 점성거동 변화는 수침에 따른 가루의 입도 분포 변화가 크게 관여하고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