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nippet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ompany Name Discrimination in Tweets using Topic Signatures Extracted from News Corpus

  • Hong, Beomseok;Kim, Yanggon;Lee, Sang Ho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28-136
    • /
    • 2016
  • It is impossible for any human being to analyze the more than 500 million tweets that are generated per day. Lexical ambiguities on Twitter make it difficult to retrieve the desired data and relevant topics. Most of the solutions for the word sense disambiguation problem rely on knowledge base systems. Unfortunately, it is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o manually create a knowledge base system, resulting in a knowledge acquisition bottleneck. To solve the knowledge-acquisition bottleneck, a topic signature is used to disambiguate words.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features of newspapers on the topic signature extraction for word sense discrimination in tweets. Based on our results, topic signatures obtained from a snippet feature exhibit higher accuracy in discriminating company names than those from the article body. We conclude that topic signatures extracted from news articles improve the accuracy of word sense discrimination in the automated analysis of tweets.

Discovery of Coordinate Terms and Context using the Title and Snippet in Web Search (Web 검색 엔진의 제목과 문서요약을 이용한 동위어와 문맥의 발견)

  • Han, Sang-Yo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10-215
    • /
    • 2007
  • 웹상에서의 정보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알고 싶어 하는 단어에 대해서 연관된 단어를 통해서 이해하게 된다. 동위어란 공통의 상위어를 가지는 단어이다. 이를 위한 기존의 연구로서 동위어와 상위어, 하위어 등을 찾는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웹상의 문서를 이용하여 거대한 코퍼스를 해석해서 결과를 구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질의어에 대해서 웹 검색엔진이 가지는 제목과 문서요악으로부터 동위어와 문맥을 빠른 시간 안에 발견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어떤 단어에 대한 동위어가 병렬조사 #와#로 접속되는 것을 이용하여 웹 검색 엔진에 대한 질의어를 작성하고, 그 검색 결과로부터 동위어를 얻는다. 이와 동시에 발견된 동위어와 질의어의 배후에 있는 문맥도 얻는다. 이를 통해, 웹 검색에 있어서 질의어의 확장과 비교 대상의 발견 등 폭넓은 분야에서도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A Korean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Semantic Properties of Sentiment Words (감정 단어의 의미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 시스템)

  • Hwang, Jae-Won;Ko, Young-Jo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7 no.4
    • /
    • pp.317-322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how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Korean document sentiment-classification system using semantic properties of the sentiment words. A sentiment word means a word with sentiment, and sentiment features are defined by a set of the sentiment words which are important lexical resource for the sentiment classification. Sentiment feature represents different sentiment intensity in general field and in specific domain. In general field, we can estimate the sentiment intensity using a snippet from a search engine, while in specific domain, training data can be used for this estimation. When the sentiment intensity of the sentiment features are estimated, it is called semantic orientation and is used to estimate the sentiment intensity of the sentences in the text documents. After estimating sentiment intensity of the sentences, we apply that to the weights of sentiment features. In this paper, we evaluate our system in three different cases such as general, domain-specific, and general/domain-specific semantic orienta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in all cases, and, especially in general/domain-specific semantic orientation, our proposed method performs 3.1% better than a baseline system indexed by only content words.

A Semantic Orientation Prediction Method of Sentiment Features Based on the General and Domain-Dependent Characteristics (일반적, 영역 의존적 특성을 반영한 감정 자질의 의미지향성 추정 방법)

  • Hwang, Jaewo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155-159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를 위한 중요한 어휘 자원인 감정자질(Sentiment Feature)의 의미지향성(Semantic Orientation) 추정을 위해 일반적인 특성과 영역(Domain) 의존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Sentiment Classification)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감정자질의 의미지 향성은 검색 엔진을 통해 추출한 각 감정 자질의 스니핏(Snippet)과 실험 말뭉치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검색 엔진을 통해 추출된 스니핏은 감정자질의 일반적인 특성을 반영하며, 실험 말뭉치는 분류하고자 하는 영역 의존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이렇게 얻어진 감정자질의 의미지향성 수치는 각 문장의 감정강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되며, 문장의 감정 강도의 값을 TF-IDF 가중치 기법에 접목하여 감정자질의 가중치를 책정한다. 최종적으로 학습 과정에서 긍정 문서에서는 긍정 감정자질, 부정 문서에서는 부정 감정자질을 대상으로 추가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 분류에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일반적인 정보 검색에서 사용하는 내용어(Content Word) 기반의 자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3.1%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