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apping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삼각형 메쉬에 대한 기하학적 스내핑과 그의 응용 (Geometric Snapping for 3D Triangular Meshes and Its Applications)

  • 유관희;하종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239-246
    • /
    • 2004
  • 2차원 영상에 대한 이미지 스내핑(image snapping)이란 이미지 상에서 커서를 찍었을 때 그 커서를 이미지상의 에지와 같은 주요 특징을 나타내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옮기는 기능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스내핑 개념을 3차원 삼각형 메쉬로 확장한 기하학적 스내핑(geometric snapping)을 제시한다. 기하학적 스내핑이란 이미지 스내핑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삼각형 메쉬상에서 선택한 위치가 주요 특징을 나타내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옮겨갈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커서의 움직임은 삼각형 메쉬상에 정의된 근사 곡률(approximate curvatures)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제안된 기하학적 스내핑을 응용하여 3차원 삼각형 메쉬상에 나타나는 주요 특징을 찾을 수 있었고, 더욱이 치과 보철물 분야에서 교합면을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치아의 기하학적 특징을 추출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요골 상완골 관절의 발음성 추벽 - 증례보고 - (Snapping Plicae of radiocapitellar joint -2 cases Report-)

  • 유연식;정언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85-89
    • /
    • 2003
  • We experienced rare cases of Snapping plicae on radiohumeral joint which arthoscopic plicae resection improved symptom of painful snapping elbow. We report that Arthroscopy can be used as a effective therapeutic and diagnostic method for snapping plicae on radiohumeral joint with a review of its literature.

선천성 양측성 주관절 유합에 동반된 발음성 견갑골 - 증례 보고 - (Snapping Scapula with Congenital Bilateral Elbow Fusion)

  • 최창혁;고상봉;김태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46-50
    • /
    • 2004
  • The snapping scapula is a relatively uncommon phenomenon occuring as a consequence of some anomalous conditioin existing between the thoracic wall and the undersurface of the scapula. It may present in several ways like crepitus, pain during scapular movement and limitation of scapular motion. The causes of snapping scapula are changes in the intervening soft tissues, the muscles, or the bursae between the scapula and the chest wall; and changes in the congruence between the anterior scapular surface and the underlying chest wall. The congenital elbow fusion or humeroradioulnar synostosis is an extremely rare inheritable disorder that previously described just a few report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snapping scapular with congenital bilateral elbow fusion treated by arthroscopic scapulothoracic bursectomy and consequent open superomedial scapulectomy. We would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 of a snapping scapula and result of treatment with literature review.

탄발음 견갑골의 한 요인으로서 탄성섬유종 - 1예 보고 - (Elastofibroma Dorsi as a Cause of Snapping Scapula - A Case Report -)

  • 황인환;김종우;오성균;박형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54-157
    • /
    • 2005
  • Elastofibroma dorsi is a benign soft tissue mass, not well-known because of its low incidence, and usually located between the chest wall and the inferomedial aspect of the scapula. This lesion is not true neoplasm but rather reactive hyperplasia of elastic fibers. It is mostly nontender mass, but occasionally causes snapping symptom. This tumor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snapping scapula. The clinical diagnosis is made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onfirmed by pathologic findings. We present a case report of a female with elastofibroma dorsi, who had that the chief complaint was snapping scapula and palpable mass. We emphasize that snapping lesions located deep beneath the inferior tip of the scapula on the chest wall should arouse suspicion of an elastofibroma dorsi.

동통을 동반한 양측성 발음성 견갑골 - 1예 보고 - (Bilateral Painful Snapping Scapula - A Case Report -)

  • 신성룡;고영석;박용욱;이상수;정운섭;김도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70-175
    • /
    • 2005
  • Painful and disabling snapping scapula is an unusual condition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that have revealed good results after surgical treatment for unilateral snapping scapula. We experienced a case of bilateral painful snapping scapula in a young man, but with successful treatment by partial resection of the superomedial angle of both scapula. Preoperative 3-dimensional CT revealed bony prominence of the superomedial angle of both scapula and narrowing between superior scapular angle and chest wall.

서울 서남권 돔 야구장의 Snapping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napping investigations of Seoul Southwest Baseball Dome)

  • 김승덕;김남석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33-140
    • /
    • 2010
  • 본 논문은 서남권 돔 야구장의 불안정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해석 대상 구조물의 설계하중과 이들의 조합 하중에 의한 하중모드에 대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Snapping 현상을 조사하며, 초기 불완전성은 접선강성행렬의 고유치해석을 통해 좌굴 모드를 얻고 이를 비선형해석에 이용한다. 단 부재좌굴 또는 국부좌굴 등은 본 연구과제의 연구범위에 고려치 않으며, 전체좌굴 현상에 한정한다.

  • PDF

장경대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의 치료 (Treatment of Snapping Hip Caused by a Tight lliotibial Tract)

  • 경희수;김신윤;정호성;김용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8-162
    • /
    • 2003
  • 목적: 장경대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에서 Z-성형술을 이용한 치료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3월부터 2002년 5월까지 탄발성 고관절에 대하여 장경대 Z-성형술을 받은 5명 7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자는 3명, 여자는 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4.4세, 평균 추시 기간은 1년 4개월이었다. 수술방법은 Brignall 및 Stainsby의 방법을 이용해 장경대를 Z-성형하여 길이를 연장 시켰으며, 마취는 국소마취 3예, 경막외 마취 4예(2명)를 이용하였다. 평가는 탄발 정도 및 동통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탄발음은 소실되었고, 기능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양쪽 슬관절을 붙인 상태로 조그려 앉기가 가능하였다. 1예에서 가끔씩 약간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나 재수술을 할 정도의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다. 근력 약화를 호소하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장경대의 비대 및 구축에 의한 탄발성 고관절은 Z-성형술을 이 용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경근추나 치료 후 호전된 발음성 고관절 환자 치험례 (A Case Report on Snapping Hip Patient Treated by Chuna Manual Therapy for Meridian Sinew System)

  • 김우영;이재영;한상엽;공덕현;박재영;이현종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48
    • /
    • 2010
  • 단순 방사선검사와 이학적 검사에서 특이 소견을 발견할 수 없는 발음성 고관절 환자에서 대전자의 움직임을 통해 고관절의 움직임 이상을 발견하고 경근추나를 시행하였다. 1. 환자분이 복와위에서 능동적 신전운동, 앙와위에서 능동적 굴곡운동을 하는 동안 환자의 대전자를 통해 고관절이 전내측 방향으로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2. 고관절의 전내측 방향으로 움직임의 과도를 유발할 수 있는 대퇴근막장근과 슬괵근의 단축을 평가하고 경근이완기법을 적용하였다. 3. 슬곽근에 대항작용을 하고 고관절이 관골구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둔근, 대퇴근막장근에 대항작용을 할 수 있는 후중둔근과 장요근의 약화를 관찰하고 경근강화기법을 시행하였다. 4. 13회의 치료 후 발음성고관절의 주증상인 통증과 탄발음이 거의 소실되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5. 고관절의 움직임 이상이 발견된 발음성 고관절 환자에서 해당 경근의 단축과 약화가 발견될 경우 경근추나수기법을 이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열하중을 받는 복합적층 원통형 패널의 좌굴후 거동 및 진동해석 (Postbuckling and Vibration Analysis of Cylindrical Composite Panel subject to Thermal Loads)

  • 오일권;이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8-156
    • /
    • 1999
  • 유한요소기법을 적용하여 열하중을 받는 원통형 복합적층 패널의 좌굴후 거동해석 및 진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열적 대변형을 고려하기 위해 층별변위장이론을 바탕으로 한 von-Karman 비선형 변위-변형률 관계식을 적용하였다. 원통형 패널의 스냅핑 현상을 해석하기 위해서 원통형 호길이법이 사용되었다. 원통형 패널의 두께비, shallowness angle 그리고 경계조건 등 여러 가지 구조 파라미터에 따라 열적 스냅핑과 진동 특성을 고찰하였다. 열적 스냅핑 특성이 정적인 변형뿐만 아니라 진동 모드 형상 및 순서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척골 신경 탈구와 동반된 발음성 삼두근 증후군 - 동적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 (Snapping Triceps Syndrome with Dislocation of the Ulnar Nerve - Usefulness of Dynamic Ultrasonography -)

  • 정웅교;박상원;송동익;이순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30
    • /
    • 2008
  • 발음성 삼두근 증후군은 주관절을 굴곡하거나 신전할 때 삼두근 말단부 일부와 척골 신경이 내상과 전방으로 탈구되는 드문 질환이다. 이학적 검사 만으로는 다른 질환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며 확진을 위하여는 척골 신경 및 삼두근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 검사가 필요하다. 초음파 검사는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등 다른 검사에 비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연부 조직의 동적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자들은 발음성 삼두근 증후군 환자를 동적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진단하고 척골 신경 전방 전위술 및 삼두근 내두의 이전술을 시행하여 치유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