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ell and taste chang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5초

미곡의 장기저장에 의한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on rice qualify during long-term storaged)

  • 이병영;김영배;손종록;윤인화;한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62-264
    • /
    • 1991
  • 미곡의 저장기간별 변화하는 품질특성을 구명하여 안전저장기간을 확립하기 위하여 충남 논산, 전남 나주, 경남 밀양에 소재하는 보관 창고에서 '89, '88, '87 및 '86년산 통일형 1등품을 채취 저장성을 조사하였던바 지방산도는 미곡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높아 1년 된 것이 12.4 KOHmg/100g이었는데 2, 3, 4년 된 것이 각각 23.6, 30.8 및 41.1 KOHmg/100g으로 4년된 것이 1년된 것 보다 약 3.3배나 높았다. 환원당도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증가를 많이 하였는데 1년된 것이 0.31%인데 비하여 2년된 것은 0.41%, 3년된 것은 0.57%, 4년된 것은 0.68%로 4년된 것이 1년된 것 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발아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1년된 것과 2년된 것은 97 및 93%로 큰 차없으나 3년된 것은 85%를 유지하였고, 4년된 것은 32%로 떨어져 1년된 것 보다 3배나 낮았다. 취반특성중 흡수율과 용적 팽창율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취반용액중 용출고형물과 요드정색도는 낮았다. 식미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색, 끈기, 맛 및 냄새가 모두 떨어졌는데, 특히 냄새와 끈기에서 감소폭이 컸다.

  • PDF

콩나물의 저장 중 온도변이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 전승호;이세훈;김영주;오세윤;김경문;정종일;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20-225
    • /
    • 2010
  • 본 연구는 콩나물용 플라스틱 필름봉지(OPP+PE)에 포장되어 유통되는 콩나물을 냉장고 온도인 $3^{\circ}C$와 대형 마트의 진열대 온도인 $13^{\circ}C$로 저장한 콩나물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유통 기간 중 콩나물의 품질변화에 대한 기초 자료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스틱 필름 봉지에 포장된 콩나물은 냉장 온도인 $3^{\circ}C$에 비해 마트 진열대 온도인 $13^{\circ}C$에서 세근의 발생수가 많았으며, 하배축과 뿌리의 길이도 더 길어졌으며, 수분함량과 생체중에서도 $13^{\circ}C$에서 더 늘어났다. 경도 조사에서는 $13^{\circ}C$에서 경도 값의 증가로 하배축이 질겨졌으며, 색도 조사에서도 $3^{\circ}C$의 자엽과 하배축에서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13^{\circ}C$에서는 하배축은 갈색으로 변하고, 자엽은 푸르게 변하였다. 2. 자엽과 하배축의 환원당 함량변화에서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저장 기간 3일차부터 $13^{\circ}C$ 저장조건에서 하배축에서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3. 유리당의 성분 중에서는 galactose와 fructose의 함량이 높았고, 유리당 함량의 변화는 $3^{\circ}C$에 비해서 $13^{\circ}C$에서 더욱 민감하게 나타났으며, galactose와 fructose의 함량은 2~3배정도 증가하였다. 4.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변화도 $13^{\circ}C$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저장 3일차부터 변화의 폭이 크게 조사되었다. 5. 조단백질의 함량 변화에서는 30.9~35.4%로 증가하였으며, $13^{\circ}C$에서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6. PPO 활성에서는 $3^{\circ}C$에서는 4일차부터 크게 증가하여 저장 9일차에서 계속 증가되었으나, $13^{\circ}C$에서는 저장 1일차부터 PPO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저장 7일 차부터는 더 이상의 증가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