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othing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초

고기능 실버의류설계를 위한 50~60대 여성의 인식조사 (Perception of Women aged 50's and 60's for High Functional Sliver Wear)

  • 김구영;이정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392-1402
    • /
    • 2010
  • This research studied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wear that reflects the various needs of an aged population. A survey of the life style, body functions and body changes, cognition, and preference of high functional wear with a subject group of 342 women aged 50's-60'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se women showed a high interest in clothing, challenged to new tasks, and enjoyed social meetings. Women aged 50's and 60's showed a relatively vibrant and active tendency,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m. They had the most interest in health and die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lothing items and designs for women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re required because exercise was the most favored leisure activity. Meanwhile, they showed indisposition according to body type changes and the decrease in body functions. There was also some discomfort due to changes in visual power and trouble in controlling the body temperature. Therefore, the need to develop high quality smart wear that can help improve these problems was raised. Women aged 50's to 60's did not fully understand smart clothing; however, they showed some interest in high quality smart wear designed to improve health conditions after they heard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 clothing. They perceived the matter of laundry or managing he clothing more important than the price or rejection to mechanical device in regards to smart wear.

스마트 의류의 사용환경 내구성 시험에 대한 국제 표준화 현황과 제품의 신뢰성 향상 및 품질 관리를 위한 향후 과제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Durability Test Methods in Smart Clothing and Future Challenges in Enhancing Product Reliability and Quality Control)

  • 김시연;임가영;김수경;이정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8-408
    • /
    • 2023
  • Smart clothing products can experience a decrease in performance and reliability due to various mechanical, biological, and chemical stress factors that occur throughout their life cycle. These issues can hinder consumer acceptance of the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smart clothing and facilitate quality control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smart clothing and electronic textiles (e-textiles). The focus of this analysis was on the durability test methods in the use environment. Furthermore, similar standards published by different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for durability tests were compared in depth. The study showed that a total of 27 international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or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The current standardization efforts mainly aim to develop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test methods for smart clothing and e-textile products. A detailed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wo international standards (IEC 63023-204-1:2023 and AATCC TM210:2019)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washing durability test method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standards (BS EN 16812:2016 vs AATCC EP13-2021), before and after the environmental exposure tests. Based on this comparison, several suggestions have been made and discussed for the future revision of these international standards.

소비자의 혁신성과 신뢰가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novativeness and Trust on Acceptance Intention of Sensor-based Smart Clothing)

  • 박현희;노미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4-36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 of sensor-based smart clothing empolying the extended TAM. Technology innovativeness, information innovativeness and trust were used as external variables and perceived palyfulness was included in the extetended TA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dults over 20 years old living in Daegu from March 14 to 18, 2011. 193 useful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a structural model and test research hypotheses using AMOS 7.0.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xtended TAM for smart clothing was validated empirically in predicting the individual's acceptance of sensor-based smart clothing and 10 hypotheses among 12 hypotheses were supported.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innovation, and trust were confirmed as antecedent variables in affecting extended TAM.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directly influenced acceptance intention and indirectly influenced acceptance intention mediating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perceived playfulness and attitude affected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will help marketers and managers of fashion companies devise effective tools in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smart clothing.

스마트 의류의 혁신속성과 지각된 위험이 제품 태도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ributes of Innovation and Perceived Risk on Product Attitudes and Intention to Adopt Smart Wear)

  • 고은주;성희원;윤혜림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89-111
    • /
    • 2008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일상생활에 접목시킨 스마트 의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착용하게 될 소비자의 인식이나 태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의류의 지각된 혁신속성과 위험지각 차원이 제품 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스마트의류의 지각된 혁신속성은 상대적 이점, 가시성, 복잡성의 3가지 요인으로, 지각된 위험은 신체/성과적 위험, 사회심리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경제적 위험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혁신특성 중 상대적 이점, 가시성이, 위험지각 중 사회심리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이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 예측에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심리적, 경제적 위험은 상대적이점과 복잡성을 설명하는데, 신체성과적, 사회심리적, 시간손실 위험은 가시성을 설명하는데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제품 태도는 혁신특성과 구매 의도 사이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위험지각과 구매의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의류 구입 시 소비자가 인지하는 혁신특성과 지각된 위험의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의류 마케터들이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시하였다.

  • PDF

RFID가 내장된 스마트 옷걸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Clothing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Hanger Embedded RFID)

  • 정성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8호
    • /
    • pp.185-19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옷걸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 옷걸이, 베이스 모듈, 서버 등으로 구성되며, 스마트 옷걸이는 MCU, LED, RFID 리더기, RF칩, 링센서, 밧데리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 옷걸이가 의류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무선으로 서버에 전송하면 서버와 연결된 베이스 모듈은 스마트 옷걸이와 통신을 하고 서버에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DB를 통해 의류를 관리하고 웹페이지 및 스마트폰을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옷걸이를 많이 사용하는 의류 매장과 세탁소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스마트 옷걸이의 성능 실험으로 제안한 저전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류 소모량의 감소를 확인하고 배터리 수명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의류 매장 관리시스템은 소비자의 편리성과 판매량 증가를 증대 시킬 수 있다. 세탁소 관리 시스템은 대량의 세탁물 분류의 효율성과 소비자의 편리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 (Life Weather Index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based Smart Cap)

  • 전인자;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77-484
    • /
    • 2009
  • 스마트 의류가 고객 중심으로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환경 속에서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서비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의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연구자와 개발자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센서 기반의 스마트 의류는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반의 스마트 모자를 이용한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스마트 모자를 착용하여, 기상상태를 수집하고 신호를 UMPC로 무선 전송되어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센서에 따른 생활기상지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상지수를 6가지 요소(열지수, 식중독지수, 불쾌지수, 자외선지수, 체감온도지수, 동파가능지수)에 따라 분석하였다. 생활기상지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스마트 의류에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켰다.

지각된 위험이 스마트 의류 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 스페인, 미국 비교 연구- (The Influences of Perceived Risk on Attributes of Smart Clothing -Comparison among Korea, Spain, and U.S.-)

  • 고은주;;이창한;윤혜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93-903
    • /
    • 2009
  • 스마트 의류는 섬유 및 의류 산업, 전자 산업의 미래를 상징하는 것으로, 전자 기기들을 일생생활의 일부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술 혁신이나 스마트 의류의 적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나 태도에 대한 소비자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스마트 의류 수용 속성에 대하여 지각된 위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개념적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미국, 스페인간의 연구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Amos 7.0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미국 스페인 모두에서 심리적 위험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위험은 상대적 이점과 복잡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사용용이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손실 위험은 상대적 이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손실 위험은 한국 소비자들의 복잡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미국 소비자들의 사용용이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과 위험의 영향은 국가별 소비자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의류 관련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기능성 스마트 재킷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 Jacket with Embedded Wearable Device)

  • 이정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5-407
    • /
    • 2008
  • As global interest in clothing spreads over the smart clothing which arouses high added-value in the apparel industry,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 jacket with an electrically-vibrating device maintaining excellent appearance and comfort. The vibrating device has a massage function that could relieve muscle pain near shoulders and neck.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jacket pattern for men in their thirties considering body shapes and fashion trend, to develop a wearable device that is composed of motor and controller and integrate it into a jacket, and to assess the external appearance and functional satisfaction of the smart jacket through the wearing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develope an appropriate jacket pattern for men in their thirties, several patterns were assessed for their fitting comfort. The final pattern was completed after making alterations some parts, and showed high satisfaction as 3.6(on a five-point scale) in all categories. 2. A vibrating device was developed by connecting motor, controller, battery and switch. Developing this device, focus was maximizing the strength of motor and minimizing the heat generated from motor and controller. Snaps were placed between inner and outer cloth of jacket so that the vibrating device could be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The motor was located around Trapezius where muscles often get stiff. A switch was designed to be used in selecting the modes of Strong, Weak, and Cross Tapping. 3. The wearing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outer appearance, comfort for motion, and functionality of the smart jacket. The results of assessing outer appearance showed that the location for attaching the vibrating device was not noticeable but looked natural, and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outer appearance when the vibrating device operates. The result of assessing comfort of action revealed that wearer's satisfaction was high in all categories about activity, wearer's comfort, etc. The result also showed that wear's satisfaction for effects of vibrating massage, easiness in using the device, heat generation was not less than 3.5 in all categories except a category about noise.

트레킹 및 조깅을 위한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the Prototypes of Smart Sportswear for Trekking and Jogging)

  • 김용준;김후성;서정훈;이선영;이주현;황은수;조현승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13-22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 고유의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각종 디지털 장치 및 기능을 의복 내에 통합시키는 스마트 의류의 모듈형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류와 디지털 기기를 접목할 수 있는 다학제적 기술을 개발하고, 음악 감상 기능, 생체 모니터링 및 외부환경 감지 기능 등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의복에 내장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및 건강관리 기능을 중점 지원하는 총 4종의 스마트 스포츠웨어(트레킹복, 조깅복)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 PDF

3D 가상착의를 이용한 스마트 스포츠웨어의 밀착성 평가 (Tightness Evaluation of Smart Sportswear Using 3D Virtual Clothing)

  • 김소영;이희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3-136
    • /
    • 2023
  • To develop smart sportswear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data, we created a close-fitting pattern using two- and three-dimensional (2D and 3D, respectively) methods. After 3D virtual fitting, the tightness of each pattern was evaluated using image processing of contact points, mesh deviation, and cross-sectional shapes. In contact-point analysis, the 3D pattern showed high rates of contact with the body (84.6% and 93.1% for shirts and pant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2D pattern, the 3D pattern demonstrated closer contact at the lower chest, upper arm, and thigh regions, where electrocardiography and electromyography were primarily carried out. The overall average gap was also lower in the 3D pattern (5.27 and 4.66 mm in shirts and pants, respectively). In the underbust, waist, thigh circumference, and mid-thigh circumference, the cross-section distance between clothing and body w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3D pattern, exhibiting more closeness. The tightness and fit of the 3D smart sportswear sensor pattern were successfully evaluated. We believe that this study is critical, as it facilitates the comparison of different patterns through visualization and digitization through 3D virtual fi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