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1,140건 처리시간 0.03초

비소세포 폐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예후 인자 분석 및 IIIa 병기에서의 보조 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adjuvant therapy and prognostic factors in completely resected stage IIIa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세행;정경영;김주항;김병수;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09-719
    • /
    • 1996
  • 연구 배경: 비소세포 폐암의 근치적 치료는 수술적 절제에 주로 의존하고 있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는 수술당시의 병기가 중요하며 진행된 병기의 환자일수록 총 생존기간 및 무병생존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보고되었다. 또한 근치적 수술 후의 재발은 수술부위보다는 원격 전이에 의한 재발이 많으므로 수술 후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격전이에 의한 재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술 후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수술 후의 보조요법은 방사선 치료 및 항암제 투여가 있으나 각각의 치료 방법에 따른 생존율의 보고는 연구자에 따라 상이 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등은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흉부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282 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보조요법의 효과 및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후향적 연구였으며 환자의 생존율은 Kaplan-Meier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은 Cox regression model에 의한 단일 및 다중 변수분석에 준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조직학적 유형으로는 편평상피암이 166예(59%), 선암이 86예(30%), 편평상피선암이 11예(3.9%), 미분화 거대세포암이 19예(7.1%)이었다. 병기는 TNM분류에 따라 l기 93명, II기 58명, IIIa기 131명이었다. 수술 후 재발한 환자는 139명이었고 국소 재발이 28예(20.1%), 원격전이가 111예(79.9)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기 50.1%, II기 3 1.3%, IIIa기 24.1%였고(p<0.0001) 병기에 따른 중앙 생존 기간은 I기 55개월, II기 27개월, IIIa기 16개월로 나타났다(p<0.0001). IIIa병기의 환자중 수술 후 항암제만을 투여받거나 항암제와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8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으며 수술만을 받거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만을 받은 환자는 50명이었는데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4개월로서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82) 또한 IIIa 병기의 환자중 수술만을 받은 환자는 1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4개월이었으며 수술후 항암제 투여만을 받은 환자는 21명이었고 이들의 중앙무병 생존기간은 16개월로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였다(P=0.0494) IIIa 병기중 N2기의 환자는 92명으로 5년 생존율은 25%,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이었다. 이들 중 수술 후 항암제 투여군은 62명으로 중앙 생존 기간은 18개월이었고 비투여군은 30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14개월이었으며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988). N2기 환자중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는 66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6개월이었고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는 26명으로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14개월이었다.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 기간의 차이는 없었다(p=0.6588). Cox Multiple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의 연령(p=0.0093)과 병기(p<0.00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연령과 병기가 유의한 예후 인자이었으며, 보조 요법에 따른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효과적인 보조요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셀레콕시브 및 그 합성유도체들의 항암활성 스크리닝 (Screening of Anticancer Potential of Celecoxib and its Derivatives)

  • 박정란;강진형;구효정;노지영;류형철;박상욱;고동현;조일환;이주영;황다니엘;김인경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2호
    • /
    • pp.105-112
    • /
    • 2003
  • Selective COX (cyclooxygenase)-2 inhibitors including celecoxib have been shown to induce apoptosis and cell cycle changes in various tumor cells. New inhibitors are recently being developed as chemomodulating agents. We evaluated celecoxib and screened 150 synthetic compounds for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vitro. Effects of celecoxib on COX activity, cell growth, cell cycle distribution, and apoptosis induction were determined in A549 COX-2 overexpressing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ells. The COX inhibition of celecoxib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up to 82% at $1\;{\mu}M$ after 24 hr exposure. Forty ${\mu}M$ and $50\;{\mu}M$ of ce1ecoxib induced $G_1$ arrest, and TUNEL-positive apoptotic cells, respectively. Among 150 compounds, several compounds were selected for having greater COX-2 inhibitory activity and higher selectivity than celecoxib with growth inhibitory activity. Celecoxib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COX inhibitory activity, and ability to induce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NSCLC cells in vitro. Among synthetic analogues screened, several compounds showed promising in vitro activity as COX-2 inhibitory anticancer agents, which warrant further evaluation in vitro and in vivo.

원발성 폐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도에 대한 연구 (Telomerase Activity in Primary Lung Cancers)

  • 윤상명;곽경록;황지윤;박삼석;전두수;김철민;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95-203
    • /
    • 1999
  • 연구배경: 염색체의 안전성을 유지시켜 주며 DNA 복제의 완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telomere는 RNA를 포함하는 핵 단백질 복합체인 telomerase에 의해 반복 서열을 덧붙임으로써 안정화 되고, 이러한 telomere 의 안정화에 의해 세포들은 불멸성을 획득하게 된다. 폐암에서 telomerase의 활성이 조기에, 높은 빈도에서 검출됨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소세포암 및 비소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기관지 내시경적 생검 조직으로 telomerase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폐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이 악성 종양의 유용한 지표가 되는지 확인함과 동시에 기관지 내시경 생검의 telomerase 활성 검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암으로 추정되어 내시경적 생검사 동시에 채취한 조직 중 조직학적 진단이 이루어진 폐암 3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에 기초한 TRAP assay를 이용하여 telomer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 과: 총 33례의 폐암 조직 중 28례에서 telomerase 활성 양성을 보였다. 비소세포암에 있어서 telomerase 활성은 85%(27례 중 23례)에서 양성을 보였고, 소세포암에 있어서는 83%(6례 중 5례)에서 양성을 보였다. 소세포암 중 l례, 비소세포암 중 4례에서 telomerase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폐암 조직에서 검체간에 telomerase 활성의 정도는 다양하였다. Telomerase 활성은 임상 병기 II 에서 50% 에서 양성을 보였고, III에서 93%에서 양성을 보였고, IV에서는 100%에서 양성을 보였다. 임상 병기 III 이나 IV의 경우 임상 병기 II에 비해 telomerase 활성 양성률이 의미있게 높았다(p<0.05). 결 론: 소세포암 및 비소세포암 모두에서 telomerase가 활성화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수술적 절제나 세포주 배양을 통해 얻어진 조직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기관지 내 병변을 가진 폐암에서 기관지 내시경적 생검 조직에서 telomerase 활성 검출이 유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폐암에 있어서 진행된 병기에서 조기의 폐암에 비해 telomerase 양성률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New Cancer Cell Detection Method Using an Infectivity-enhanced Adenoviral Vector

  • Uchino, Junji;Takayama, Koichi;Nakagaki, Noriaki;Shuo, Wang;Hisasue, Junko;Nakatom, Keita;Ohta, Keiichi;Hirano, Ryosuke;Tashiro, Naoki;Miiru, Izumi;Fujita, Masaki;Watanabe, Kentaro;Nakanishi, Yoic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551-5556
    • /
    • 2012
  • Cytological examination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tool because of the ease of collecting cells from the involved area. However, the diagnostic yield of cytological examination is unsatisfactory; the reasons include sampling error, poorly prepared samples, small numbers of malignant cells, and low grades of cellular atypia.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high infectivity of adenovirus towards epithelial cells and applied the luciferase-expressing adenoviral vector to a new cancer cell detection tool. In addition, adenoviral infectivity was enhanced by modifying viral fiber proteins. The sensitivity of the diagnostic tool was tested using the NCI-H1299 lung cancer cell line, and validated in body fluid samples from cancer patients with a variety of etiology. Results showed that the adenovirus efficiently transfected NCI-H1299 with high sensitivity. Only 10 cancer cells were sufficient for detection of luciferase signals. In body fluid samples, the adenovirus confirmed the diagnosis for malignant and benign cancer, but not in non-epithelial cell derived samples. This study provides proof-of-concept for a more reliable and sensitive diagnostic tool for epithelium-derived cancer.

Discovery to Human Disease Research: Proteo-Metabolomics Analysis

  • Minjoong Joo;Jeong-Hun Mok;Van-An Duong;Jong-Moon Park;Hookeun Le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5권2호
    • /
    • pp.69 -78
    • /
    • 2024
  • The advancement of high-throughput omics technologies and systems biology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complex biological mechanisms and diseases. The integration of proteomics and metabolomics provides comprehensive insights into cellular functions and disease pathology, driven by developments in mass spectrometry (MS) technologies, including electrospray ionization (ESI). These advancements are crucial for interpreting biological systems effectively. However, integrating these technologies poses challenges. Compared to genomic, proteomics and metabolomics have limitations in throughput, and data integration. This review examines developments in MS equipped electrospray ionization (ESI), and their importance in the effective interpretation of biological mechanisms. The review also discusses developments in sample preparation, such as Simultaneous Metabolite, Protein, Lipid Extraction (SIMPLEX), analytical techniques, and data analysis, highlighting the application of these technologies in the study of cancer or Huntington's disease, underscoring the potential for personalized medicine and diagnostic accuracy. Efforts by the Clinical Proteomic Tumor Analysis Consortium (CPTAC) and integrative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O2PLS and OnPLS extract statistical similarities between metabolomic and proteomic data. System modeling techniques that mathematically explain and predict system responses are also covered. This practical application also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ancer research, diagnostic accuracy and therapeutic targeting for diseases lik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Huntington's disease. These approaches enable researchers to develop standardized protocols, and interoperable software and databases, expanding multi-omics research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as Predictive Indicators of Visceral Pleural Invasion in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 Hye Rim Na;Seok Whan Moon;Kyung Soo Kim;Mi Hyoung Moon;Kwanyong Hyun;Seung Keun Y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44-52
    • /
    • 2024
  • Background: Visceral pleural invasion (VPI) is a poor prognostic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upstaging of early lung cancers. However, the preoperative assessment of VPI presents challe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traoperative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pCEA) level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as predictive markers of VPI in patients with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the medical records of 613 patients who underwent intraoperative pCEA sampling and lung resection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Of these, 390 individuals with clinical stage I adenocarcinoma and tumors ≤30 mm were included.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pleural contact (n=186) and non-pleural contact (n=204) group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pCEA and SUVmax in relation to VPI.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VPI in each group. Results: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pCEA level greater than 2.565 ng/mL (area under the curve [AUC]=0.751) and SUVmax above 4.25 (AUC=0.801) were highly predictive of VPI in patients exhibiting pleural contact. Based on multivariable analysis, pCEA (odds ratio [OR], 3.0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7.87; p=0.026) and SUVmax (OR, 5.25; 95% CI, 1.90-14.50; p=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VPI in the pleural contact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stage I lung adenocarcinoma exhibiting pleural contact, pCEA and SUVmax are potential predictive indicators of VPI. These markers may be helpful in planning for lung cancer surgery.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Docetaxel 투여 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 (A Case of Docetaxel Induced Subacute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 신정아;허철웅;권지은;김형중;안철민;장윤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5호
    • /
    • pp.380-384
    • /
    • 2009
  • 비소세포폐암의 일차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치료제인 docetaxel은 세포주기 정체를 통한 세포자멸을 야기하는 약제로 이로 인한 누클리오좀 유리가 약제유발 홍반루푸스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실제 docetaxel로 야기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의 증례는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4명의 증례 보고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docetaxel과 cisplatin 병합 항암 화학요법 도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수술이 불가능한 편평상피성 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Outcomes after Radiotherapy in Inoperabl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Lung Cancer)

  •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김영철;박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216-223
    • /
    • 2001
  • 목적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편평상피성 폐암환자들의 방사선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생존율에 관계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편평상피성 폐암으로 진단 받은 석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 선량은 $30\~70.2\;Gy$ 였고, 항암제는 72명의 환자$(17.5\%)$에서 병행하였으며 병용 항암약제의 종류나 투여 횟수는 다양하였다. 환자들의 추적기간은 $1\~l13$개월이었으며(중앙값:8개월), 381명의 환자$(90.7\%)$에서 생존확인이 가능하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411명 환자의 평균생존기간은 8개월로, 1년,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35.6\%,\;12.6\%,\;3.7\%$ 였다. 병기별로는 IA환자의 평균생존기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9개월과 $33.3\%$이었고, IIIA와 IIIB환자는 각각 13개월, $6.3\%$와 9개월 $3.4\%$였다(p=0.00).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근치적 방법으로 치료한 환자의 평균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고식적 방법으로 치료한 환자는 5개월이었다(p=0.00).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환자 247명의 평균생존기간은 12개월인 반면, 중도에 치료를 포기한 환자 97명은 5개월이었다(p=0.00).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247명을 대상으로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원발종양의 위치, 쇄골상부림프절전이, 상대정맥증후군, 늑막액, 무기폐, 애성의 유무가 단변량 및 다변량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항암제의 병용은 다변량분석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방사선식도염 증상으로 진통제를 처방하였던 환자는 49명$(11.9\%)$ 이었고 입원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2명$(0.5\%)$이었다. 방사선폐렴 소견으로 투약하였던 환자는 62명$(15.1\%)$ 이었고, 입원을 시행한 환자는 2명$(0.5\%)$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1개월에서 87개월사이 (중앙값: 10개월) 114명$(27.7\%)$의 환자에서 국소진행 소견이 관찰되었고, 원격전이는 $1\~52$개월사이 (중앙값 : 7개월) 49명$(11.9\%)$에서 확인되었다. 이차암은 11명의 환자에서 확인되었다. 결론 : 국소적으로 진행된 편평상피성 폐암의 일반적 방사선치료 후 생존율은 매우 불량하였다. 따라서 병기 및 환자의 신체적 상황에 따라 방사선치료의 목적을 정하고 예후가 불량한 환자 군은 치료에 의한 삶의 질이 저하되지 않는 치료방법을 취하고, 반면 생존기간이 비교적 길다고 예견되는 환자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방법을 선택하도록 해야 하겠다.

  • PDF

Prediction of response by FDG PET early dur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Kim, Suzy;Oh, So Won;Kim, Jin Soo;Kim, Ki Hwan;Kim, Yu Kyeo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231-237
    • /
    • 2014
  • Purpose: To evaluat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early response of $^{18}F$-flu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 PET) dur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for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FDG PET was performed before and during CCRT for 13 NSCLC patients.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_{max}$), mean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_{mean}$), metabolic tumor volume (MTV), and total lesion glycolysis (TLG) were measured and the changes were calculated. These early metabolic changes we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tumor response by computed tomograms (CT) one month after CCRT. Results: One month after the completion of CCRT, 9 patients had partial response (PR) of tumor and 4 patients had stable disease. The percent changes of $SUV_{max}$ ($%{\Delta}SUV_{max}$) were larger in responder group than in non-responder group ($55.7%{\pm}15.6%$ vs. $23.1%{\pm}19.0%$, p = 0.01). The percent changes of $SUV_{mean}$ ($%{\Delta}SUV_{mean}$) were also larger in responder group than in non-responder group ($54.4%{\pm}15.9%$ vs. $22.3%{\pm}23.0%$, p = 0.01). The percent changes of MTV ($%{\Delta}MTV$) or TLG ($%{\Delta}TLG$) had no correlation with the tumor response after treatment. All the 7 patients (100%) with $%{\Delta}SUV_{max}{\geq}50%$ had PR, but only 2 out of 6 patients (33%) with $%{\Delta}SUV_{max}$ < 50% had PR after CCRT (p = 0.009). Likewise, all the 6 patients (100%) with $%{\Delta}SUV_{mean}{\geq}50%$ had PR, but only 3 out of 7 patients (43%) with $%{\Delta}SUV_{mean}$ < 50% had PR after CCRT (p = 0.026). Conclusion: The degree of metabolic changes measured by PET-CT during CCRT was predictive for NSCLC tumor response after CCRT.

두경부 이차암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Second Primary Malignanc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 정근;김정배;민헌기;김영민;노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39
    • /
    • 1998
  • Objectives: Minimal improvement in the long-term survival of head and neck cancer(HNC) patients has occurred despite a multitude of advances in the control of loco regional disease and a second primary malignancy(SPM) contribute to the continued poor prognosis for the HNC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PM in the HN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54 patients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were followed up after initial treatment during the period of 1987 through 1994 were reviewed. This study examines the medical records of 354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of whom 26 subsequently developed a second neoplasm. Results: The actuarial SPM rate was 7.3%, and median time to presentation for the SPM was 26.8 months. The SPM were more likely to occur in male patients who had oral cavity index tumors. Patient whose index tumor was small at diagnosis had a greater chance of developing a second tumor as did those with no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to the neck. Initial treatment modality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a second tumor. The commonest sites for the SPM were the lung and other head and neck area. The 3-year survival for patients who developed a secondary tumor from the time of its diagnosis was 27.8%. Conclusion: The SPM in th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re not uncommon and early detection of the SPM will contribute to increase the long-term survival of HNC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