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teeth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Cornelia de Lange 증후군 환아의 구내증상과 치과치료: 증례보고 (CORNELIA DE LANGE SYNDROME: A CASE REPORT)

  • 최은주;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6-61
    • /
    • 2011
  • Cornelia de Lange 증후군(Cornelia de Lange Syndrome)은 성장지연, 정신지체, 골격과 외모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희귀병이다. 대표적 합병증으로는 위-식도 역류증이 있는데, 이로 인한 구토증은 기도를 폐쇄하여 질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전신마취 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0세 4개월 Cornelia de Lange 증후군 환아가 치아우식증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적으로 하악 왜소증, 치열 총생, 왜소치, 치아우식증, 치아부식증, 구개수열의 소견을 보였으며, 중증의 정신지체 및 청각장애로 인해 환자 협조도가 부족하여 외래 전신마취 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icro-Implant를 이용한 교정치료로 교합평면 개선 후 하악 구치부 수복증례 (Mandibular Posterior Rehabilitation Case after Occlusal Plane Correction using Micro-Implant Anchorage)

  • 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0
    • /
    • 2004
  • Endosseous implants have been used to provide anchorage control in orthodontic treatment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patient cooperation. However these implants have limitation like space requirement, cost, equipments. Recently titanium micro-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was introduced. Micro-implants are small enough to place in any area of the alveolar bone, easy to implant and remove, and inexpensive. In addition,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can begin almost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The mandibular first, maxillary first, mandibula second, and maxillary second molars were the four most commonly missing teeth in adult sample. In case of posterior molar teeth missing, deflective contacts in any position, over time, has produced pathologic change of occlusal scheme because of extrusion of opposing teeth. This case had interocclusal space deficiency by mandibular right molars missing over time. The micro-implants had been used for intrusion of maxillary right molars for interocclusal space. The micro-implant would be absolute anchorage for orthodontic movement. Therefore, the micro-implant would be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on of occlusal plane.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구지역 조사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 전은숙;안서영;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7
    • /
    • 2011
  • 이 연구는 일부 대도시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개별면접조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상태, OHIP-14를 측정하였다. 최종 수합된 189명의 자료로 t-검정 및 분산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우식치아는 2.23개, 상실치아는 1.48개, 처치치아 5.58로 필리핀에서 온 여성이 기타 다른 나라에서 온 여성보다 상실치아수가 많았으며, 중국에서 온 여성이 충전영구치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가 많을수록 낮았다.3. 상실치아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적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영역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월 가구 수입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와, 월수입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 및 우식치아가 많을수록 낮아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Accuracy of Root ZX in teeth with simulated root perforation in the presence of gel or liquid type endodontic irrigant

  • Shin, Hyeong-Soon;Yang, Won-Kyung;Kim, Mi-Ri;Ko, Hyun-Jung;Cho, Kyung-Mo;Park, Se-Hee;Kim, Jin-W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7권3호
    • /
    • pp.149-154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Root ZX in teeth with simulated root perforation in the presence of gel or liquid type endodontic irrigants, such as saline, 5.25% sodium hypochlorite (NaOCl), 2% chlorhexidine liquid, 2% chlorhexidine gel, and RC-Prep, and also to determine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se endodontic irrigants. Materials and Methods: A root perforation was simulated on twenty freshly extracted teeth by means of a small perforation made on the proximal surface of the root at 4 mm from the anatomic apex. Root ZX was used to locate root perforation and measure the electronic working lengths.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working length (AWL) and the actual location of perforations (AP), allowing tolerances of 0.5 or 1.0 mm. Measurements within these limits were considered as acceptable. Chi-square test or the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evaluate significanc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each irrigant were also measured with an electrical conductivity tester. Results: The accuracies of the Root ZX in perforated teet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iquid types (saline, NaOCl) and gel types (chlorhexidine gel, RC-Prep). The accuracies of electronic working lengths in perforated teeth were higher in gel types than in liquid types. The accuracy in locating root perforation was higher in liquid types than gel types. 5.25% NaOCl ha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whereas 2% chlorhexidine gel and RC-Prep gel had the lowest electrical conductivities among the five irrigants. Conclusions: Different canal irrigants with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may affect the accuracy of the Root ZX in perforated teeth.

염증성치수조직중(炎症性齒髓組織中) 섬유아세포(纖維牙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FINE STRUCTURE OF THE FIBROBLAST IN INFLAMED HUMAN PULP TISSUE)

  • 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8권1호
    • /
    • pp.7-17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ine structural modifications of fibroblasts in the coronal region of inflamed human pulps from carious teeth. Six untreated human teeth with large carious lesions and two normal teeth as control were selected from male and female patien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39. The teeth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light microscopic findings: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chronic inflammatory cell-appeared group, the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appeared group, and the total necrosis group. All tissues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in 0.1M sodium cacodylate buffer at pH 7.4 and 1% osmic acid in same buffer. They were embedded in Epon 812.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conventionally and examined with a AEI Corynth 500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broblasts of the normal pulps were almost in a quiescent state. 2. The active and the quiescent fibroblasts were found in the pulps of the chronic inflammatory cell-appeared group.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were also seen scattered among these fibroblasts. 3. In the pulps of the acute and chronic inflammatory cell-appeared group, active, degenerative and necrotic fibroblasts were found in the PMN appeared area. And all the fibroblasts in the fibrosis area were active. In the area of chronic inflammatory cellular infiltration, almost all the fibroblasts were active, but seldom were quiescent fibroblasts observed. Some fibroblasts in the pulps of two teeth had large vacuoles that contained banded collagen fibrils. The phagosomes had small beaded vesicles or large lysosome-like varicosity. In two of the teeth, microorganisms were present and two morphological shapes were identified, a rod and a coccus. 4. Vacuolar, vesicular, lamellar, fibrous and myelin structures were observed in the pulp of the total necrosis group, and cocci were also seen.

  • PDF

Periodontal parameters in orthodontically tractioned tee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de Mattos, Paola Marques;Goncalves, Flavio Magno;Basso, Isabela Bittencourt;Ferraz, Aline Xavier;Zeigelboim, Bianca Simone;Stechman-Neto, Jose;Santos, Rosane Sampaio;de Araujo, Cristiano Miranda;Guariza-Filho, Odil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20-431
    • /
    • 2022
  • Objectiv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evaluate periodontal parameters in orthodontically tractioned teeth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non-tractioned contralateral teeth. Methods: Search strategies were developed for six electronic databases and gray literature. Random-effects meta-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outcomes of interest. Furthermore, the certainty of the evidence was assessed using the GRAD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ol. Results: Overall, 2,082 articles were identified, of which 24 were selected for the qualitative synthe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impacted and contralateral teeth (mean difference [MD] = 0.25;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0-0.40; I2 = 0%) when the gingival index was evaluated. Additionally, impacted teeth showed a greater probing depth, with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MD = 0.14; 95% CI = 0.07-0.20; I2 = 6%). Most studies had a low risk of bias; however, the certainty of the evidence was very low owing to the design of existing studies. Conclusions: The evidence in the literature indicated that tractioned teeth might show worsening of periodontal parameters related to the gingival index and probing depth; however, the evidence remains uncertain about this outcome. Furthermore, probing depth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its clinical significance because of the small effect size observed.

전산화 단층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상악 정중부 역위 매복 과잉치에 관한 연구 (STUDY OF INVERTLY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IDPALATAL REGION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 최병재;이용석;김성오;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3-372
    • /
    • 2003
  • 임상에서 흔히 발견되는 과잉치는 치아 형성기에 발생할 수 있는 치아 발육 이상의 하나로 여러 가지 치과적 합병증을 야기한다. 특히 상악 정중부에 역위 매복된 과잉치는 발생률이 높고 인접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과잉치에 대해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표본 수가 적었으며 구내 방사선 사진이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만으로 검사하여 과잉치의 형태 및 위치 그리고 주위 조직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하여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 정중부 역위 매복 과잉치의 개수, 형태, 만곡도, 위치, 근접도 및 합병증을 삼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1998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중 상악 정중부 역위 매복 과잉치의 진단을 위하여 전산화 단층 방사선사진 촬영을 한 경우에 대해 임상 기록지,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전산화 단층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정중부 역위 매복 과잉치는 3.4:1로 여자보다 남자에서 호발하였다. 2. 과잉치는 1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2, 3개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평균 1.3개였고, 6-8세에 많이 발견되었다. 3. Conical 형태의 과잉치가 80.6%로 가장 많았고, tuberculate, supplemental 형태 순으로 나타났다. 4. 과잉치가 tuberculate 형태일 경우, 치근이 만곡되었을 경우와 인접치와 근접도가 높을 경우 합병증이 더 높게 발생하였다.

  • PDF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 신경분포 (NERVE DISTRIBUTION OF DENTAL PULP IN HUMAN PRIMARY AND YOUNG PERMANENT TEETH)

  • 이인정;이재문;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1-305
    • /
    • 1996
  •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한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 정상 탈락기의 유치, 맹출중인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 맹출이 완료되어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FP) 을 이용 한 변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에서도 영구치와 유사한 신경총의 존재와 신경분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 영구치에 비해 그 신경분포의 밀도가 낮았으며 분지형성 또한 미약하게 나타났고, 전상아질로 진입하는 섬유의 수가 적었다. 정상탈락기의 유치에서는 신경의 변성으로 소포(vesicle), 단절(fragmentation)등이 관찰되었으며, 그 신경분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나타났고, 총상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에서 치수 내의 신경은 말단가지의 숫자가 적고, 치수 조상아 세포 경계에 도달하였으며, 비교적 가는 신경 섬유가 많았다.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에서 치수 내의 신경은 말단이 조상아층으로 진출하고, 어떤 신경섬유는 전상아질층까지 진입하였으며, 비교적 굵은 신경섬유의 분포가 많아졌다.

  • PDF

소도시 거주 미취학 아동의 치아우식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CARIES PREVAL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A SMALL CITY)

  • 박창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0-309
    • /
    • 2001
  • 소도시에 거주하는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유치열의 우식 발생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였다. 밀양시에 거주하는 624 명의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dmf index를 사용하여 개개 치아와 치면별로 우식 발생 양상을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치우식경험자율(dmf rate)은 3세에서 74.0%, 4세에서 83.8%, 5세에서는 90.6%였으며,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는 3세에서 3.47개, 4세에서 5.41개, 5세에서는 6.01개로 나타났다. 2. 5세 아동에 있어서 우식 경험률은, 하악 제2유구치, 하악 제1유구치, 상악 제2유구치, 상악 유중절치, 상악 제1유구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3. 3세 아동의 경우, 상악 유중절치의 우식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연령증가와 함께 유구치 우식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5세 아동에서는 유구치 우식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4. 유전치와 유구치는 우식 발생 양상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는데, 유전치의 경우에는 인접면 우식이 호발한 반면, 유구치에서는 교합면 우식이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 PDF

상악의 소수 잔존치와 실패한 하악의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재수복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on maxillary few remaining teeth and 2 mandibular implants in case of failed implant overdenture)

  • 하석준;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6-252
    • /
    • 2016
  •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secondary splinting), 응력의 수직 방향, 지대치 지렛점(fulcrum)의 내 외관 margin 부위 위치로 인한 지렛대 길이(the length of lever arm)의 감소로 소수 잔존치이거나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의치는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임플란트 오버덴처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소수 치아가 잔존했고, 하악은 치조골 흡수 및 수축이 심하고 임플란트가 실패한 상태였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는 치주적으로 불량하였고,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만을 다시 식립하였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서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1년여 정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효용성을 증명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