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haracteristic 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한국 여성의 연령에 따른 피부 측정 데이터 기반 20대 ~ 40대 피부 나이 예측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kin Age Prediction Model Based on Skin Measurement Data According to Age of 20's to 40's ages of Korean Women)

  • 맹지혜;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 대 ~ 40 대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수분량, 피부 멜라닌, 피부 붉은기, 피부 비틀림 탄력을 측정하여 기초 피부 특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나이와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여 피부 지수를 만들고 이에 기반 하여 4 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후 시제품 2 종을 2 주간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 피부 붉은기, 피부 각질량 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를 확인한 후, 해당 시험자 중 피부 특성시험에 참여했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어느 군집에서 어떤 제품이 더 효과적이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피부 지수와 군집분석결과를 제품 효능평가에 반영하여 맞춤형 화장품 시장에 대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여성의 피부미용 교육이 건강생활습관 개선에 미치는 영향 -관련 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The Affection on Improvement of Healthy Life habit toward Skin Care Education for Women -Trainee on Related Education Center-)

  • 김문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52-3459
    • /
    • 2012
  • 본 논문은 피부미용을 공부하고 있는 평생교육원 및 문화센터의 여성 수강자를 대상으로 피부 미용과 건강 전반에 걸친 영향 정도를 교육시키고, 이들이 피부 미용 교육을 통해 그들의 건강 생활습관측면, 특히 생활습관, 운동, 영양을 중심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1년 현재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 및 문화센터에서 피부미용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여성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A,D 대학, H 학원, 서울 소재 M 대학에서 피부 미용 과정 이수자 343명을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피부미용 수강 전후와 건강생활습관 특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는데, 피부 미용 수강을 한 후 수강자들은 수강하기 전에 비해 수면 습관 및 스트레스 관리가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 미용 수강 기간과 건강생활 습관 특성과의 관계에서 긴 시간 동안 피부 미용 교육을 받은 군에서 수면 습관 및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에 있어서도 운동 여부, 강도 시간, 유산소 운동을 더욱 많이 하고 있으며, 영양 면에서도 식사 분배, 칼로리 섭취 제한, 식이 섬유 등을 더욱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 수강정도와 건강생활 습관 특성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는데, 생활 습관 관리 면, 운동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피부미용 수강 빈도와 건강생활 습관 특성의 관계에서는 피부미용 수강을 보다 자주 수강하는 군에서 스트레스 관리를 더욱 잘 하고 있었고, 운동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여성들의 피부미용 강좌는 수강자들에게 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여 주었고, 전반적인 건강생활습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여성들이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는 피부미용과 건강을 접목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여성들의 전반적인 건강 관리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한 가정의 건강관리 습관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여성들의 올바른 건강 관리 행태 확립을 통해 국민 건강에 일조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 구급대원의 신체이미지 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 Image Satisfaction in Femal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나현숙;박정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24-3831
    • /
    • 2013
  • 연구의 목적은 여성 구급대원에게 있어서 대상자의 신체이미지(body image)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변수들과 신체이미지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이와 관련된 행동양식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 G지역 소방본부 소속 여성 구급대원(n=9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구급대원의 신체이미지에 가장 큰 관련성이 있는 것은 신체활동(p=.007, 95%CI: 2.937~19.180)으로 나타났고 신체활동을 많이 할수록 신체 이미지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이미지 중 여성(M=3.34, SD=0.72)에 대해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나 수면 영역(M=2.61, SD=0.85)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피부문제에 따라 피부보호 습관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여성 구급대원의 신체이미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