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ll-framework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기계분야 직무체계 개발과 국가기술자격종목 연계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Skill Framework and Analysis of It's Linkage to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in Machinery Sector)

  • 박종성;조정윤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93-108
    • /
    • 2010
  • 이 연구는 기계분야 직무체계 개발과 국가기술자격종목 연계실태 분석에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 면담조사,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를 분류하고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직무분류 결과 기계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중분류 3개, 소분류 11개, 이들 소분류를 다시 분류하면 총 42개의 직무가 도출되었다. 기계분야의 직무수준은 국가자격체제(KQF)의 수준체계와 자격 및 교육과정, 산업 현장의 직무별 수준을 반영하여 7단계로 구분하였다. 도출된 직무 체계를 바탕으로 직무군과 직무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 수준별 수행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직무체계와 국가기술자격 종목과의 연계실태를 분석하여 자격종목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농림 및 수산분야 직무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kill Framework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

  • 박종성;주인중;김상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3호
    • /
    • pp.607-637
    • /
    • 2010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kill system for the area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mong the skill frameworks that require basic examination in the development of skill standard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classify skills in the area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to develop respective skill level. We classified skills and created the skill level through a study of documents, interview with experts and in-depth discussions with expert group centering on terminologies commonly used in the industrial settings. As a result of skill classification, we were able to classify skills into four categories in medium-scale classification, 13 categories in small-scale classification, and again into total 42 categories. We classified the skill level in the area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to 8 stages. Based on the skill system, we provided definition of skill and skill group, definition of each different skill, and performance standard by skill and level.

e-business 스킬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 임규건;이대철;박인섭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324-330
    • /
    • 2007
  • 디지털 경제시대의 급격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 가운데 e-비즈니스 기술과 인력의 확보는 국가 e-비즈니스 산업 확산과 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관하여 e-비즈니스 인력에 대한 직무의 정의와 이에 요구되는 역량 및 기술, 수준의 결정에 대해 e-비즈니스 산업전반에서 통용될 수 있는 기준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e-비즈니스 스킬표준(skill standard) 제시를 위해서 일본, 영국, 미국의 스킬표준과 국내환경을 벤치마킹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e-비즈니스 스킬표준을 도출하였다. 스킬표준 프레임워크(skill framework)로서 3분야 10직종 22전문분야로 구성된 직종분류 체계를 도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직종(career)에 따른 수준(level)별 e-비즈니스 연수로드맵을 도출하여 바람직한 기술습득코스(career path)를 제시하는 e-비즈니스 스킬표준을 제시하였다.

  • PDF

IT 스킬 표준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IT Skill Standards)

  • 임규건;이대철;박인섭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1-97
    • /
    • 2007
  • Nowadays, IT become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in a business. So defining appropriate responsibilities & roles of IT human resources as well as set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m is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between the supply and the demand of IT human resource. The efforts to arrange workers who have expert knowledge and skill in right place are needed to strengthen national competitiveness. Recently, several leading countries are setting IT skill standards to solve such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IT skill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ITSS of Japan, SFIA of United Kingdom, and SSIT of USA.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Korea with them, we derive some meaningful insights to develop a national IT skill standard.

Internet Security Readiness: The Influence of Internet Usage Level and Awareness on Internet Security Readiness Capital, Skill, and Actual Uptake/Use of Infrastructure

  • Ryoo, Jung-Woo;Park, Eun-A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5권1호
    • /
    • pp.33-50
    • /
    • 2011
  • In this paper we applied our previously developed assessment framework to the data collected from an internet security readiness survey targeted at households. We used the assessment framework to compute an Internet Security Readiness index for each household, which was in turn derived from Internet Security Readiness capital, skill, and actual uptake/use of infrastructure indices. We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overall Internet Security Readiness, and the capital, skill, and actual uptake/use of infrastructure related to Internet Security Readiness. In addition,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Internet usage level and experience on Internet Security Readiness.

전자상거래 주요성공요인 경영기술분류 프레임웤 개발 (An Empirical Study on Electronic Commerc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Electronic Commerce Management Skill Classification Framework Development)

  • 오상영;김영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2-40
    • /
    • 2001
  • 전자상거래는 비즈니스 절차의 중간 단계를 축소시키고 공급자와 소비자의 관계를 보다 가깝게 만들어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의 제공, 비용절감 및 고객만족의 증대와 산업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자상거래 연구는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영적 측면의 요인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기술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되 단순히 경영기술 요인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관계를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경영기술분류 프레임웤(Framework)을 개발하였다.

  • PDF

중숙련(middle-skill) 일자리의 감소가 고용 없는 경기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Hollowing-Out of Middle-Skill Jobs and Its Impact on Jobless Recoveries in Korea)

  • 김남주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3호
    • /
    • pp.53-95
    • /
    • 2015
  • 본 논문은 노동시장의 숙련도별 일자리 구조를 Autor-Dorn의 직업-숙련도 분류시스템을 준용 분석하여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와 함께 고 저숙련 일자리가 동시에 증가하는 양극화 현상이 뚜렷함을 확인하였다. 동 현상은 근로자의 산업간 이동 요인이 크고 노령근로자가 중 저숙련 일자리로 밀려나고 있다는 독특한 특징을 나타냈으며, 추세적 경향과 함께 경기수축기에 가속화되는 경기변동성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중숙련 일자리의 감소 속도가 지금보다 현저히 완화되는 경우 고용 없는 경기회복의 모습도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EM-based study on the impact of safety culture on unsafe behaviors in Chinese nuclear power plants

  • Licao Dai;Li Ma;Meihui Zhang;Ziyi Li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0호
    • /
    • pp.3628-3638
    • /
    • 2023
  • This paper uses 135 Licensed Operator Event Reports (LOER) from Chinese nuclear plants to analyze how safety culture affects unsafe behaviors in nuclear power plants. On the basis of a modified human factor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HFACS) framework,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is u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variables at various levels. Correlation tests such as chi-square test are used to analyze the path from safety culture to unsafe behaviors. The role of latent error is clarified.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latent errors to active errors is 3.4:1. The key path linking safety culture weaknesses to unsafe behaviors is Organizational Processes → Inadequate Supervision → Physical/Technical Environment → Skill-based Err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latent variables at each level in the HFACS framework are Organizational Processes, Inadequate Supervision, Physical Environment, and Skill-based Errors.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인공지능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ing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59-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AI)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내재적 사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도구 개발의 기준과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수집을 위한 인지적 학습보조(Agency)의 단계,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을 분해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고 카테고리화 과정을 수행하는 추상화(Abstracting)의 단계, 추상화과정을 수행한 정제된 데이터를 토대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모델링(Modeling)단계의 일련의 순차적 과정이 평가요소로 구성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인식, 학습, 행동, 결과에 대한 인지적영역에 대한 평가가 구성되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의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지식, 역량, 태도의 영역에 대하여 측정을 하게 됨으로써 AI교육에 대한 학습의 내재적인 인지영역의 변화와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프레임 워크가 설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의 맥락에 따른 개별화된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AI교육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직무체계에 따른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의 관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a Measure to Link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Packaging Sector to Qualification Test for Based on the Skills Framework)

  • 박종성;이영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52-61
    • /
    • 2010
  • 이 연구는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의 연계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포장분야에 대한 직무체계를 마련하고, 둘째, 포장분야 교육과정과 연계한 자격시험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포장 산업의 교육과정과 자격시험 연계 및 운영방안 마련의 기본방향은 포장 분야의 직무체계(Skills Framework)를 개발하고, 직무체계에 근거하여 직무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고 자격시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