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tch skil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디자인 교육에서 기초표현 전개 과정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Idea Sketch in Design Education Method)

  • 신명철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11-220
    • /
    • 1999
  • 대학 1학년 산업디자인 교과과정 내용에서 기초 표현과정과 표현방법을 실기시간에 효과적으로 표현전개하기 위해 한 학기동안의 강의내용을 기준으로 연구하였다. 신입생들의 실기표현은 대학입학 실기 시험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으므로 대학 교과과정에서 적응을 위한 수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대학 1학년에서 표현에 관한 과목은 학생들이 입시기간에 장시간 연습해온 표현방식에 젖어 있으므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전개를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주입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표현 실기수업의 반응에 따라 실기내용을 일부 수정하였고, 거기에 따른 효과를 설문지로 측정해 보았다. 표현 재료는 4B연필, 마카, 파스텔, 색연필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표현도구에 대해서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창의적인 발상을 주로 하는 디자인교육에서는 표현실기에서 이미 표현된 내용을 답습하는 것보다는 사물을 보고 표현 하든가 또는 자신이 구상한 Idea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표현도구에 대해서는 도구의 사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많은 기초 연습과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초과정이지만 Idea의 발상표현을 실기시간에 연습하여 창의적인 발상을 전제로 표현하는 것이, 처음의 효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지만 궁극적으로는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컴퓨터 통신을 통한 새로운 교육과정이 표현실기부분에서 그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PDF

정의된 육면 격자의 공간 타일링에 의한 3차원 모델링 (A Novel 3D Modeling Technique by Spatial Tiling of the Pre-defined Cubical Grids)

  • 남상훈;채영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03-108
    • /
    • 2008
  • 3 차원 공간 모델링을 하기 위한 스케치 시스템의 경우, 3 차원 공간상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의도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3 차원 공간상의 스케치는 공간 입력 장치의 디자이너 사용에 따라 오차가 방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디자이너가 일반적으로 사용해 온 드로잉 방식인 다중의 스트로크를 데이터로 사용하여 의도한 모델링을 수행하게 된다. 다중의 스트로크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공간상에 정의된 격자를 이용한 모델링 방식을 사용하였다. 곡면을 구성하기 위한 격자간의 관계 및 다중의 스트로크를 처리하기 위한 주변 격자간의 관계를 정리하고, 이를 이용한 스케치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유추적 사고에 의한 디자인 문제해결의 유형 - 연상된 단어와 스케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Design Problem Solving by Analogical Thinking - Focused on the Analysis of Associated Words and Sketch -)

  • 최은희;최윤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63-70
    • /
    • 2007
  • Analogy in problem solving is similarity-based reasoning facilitated by verbal and visual operation. This similarity-based reasoning generally supports initial phase of idea search.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fer the types of problem solving by tracing the analogy use of verbal and visual representation through a experimental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types of problem solving by analogy are classified into 'evolving', 'divergent', and 'poor conversion' type. Firstly, 'evolving type' is distinguished between 'combination type' associated different contents to develope a new design and 'transformation type' associated similar words and sketches to be continuously revised and developed. In these types usually structural analogy rather than surface analogy is used. Secondly, in 'divergent type' associated words or sketches are individually represented, and among them one design solution is selected. In this type usually surface analogy is used. Thirdly, in 'poor conversion type' interaction between verbal representa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does not go on smoothly, and the generation of idea is poor. In here surface analogy is mostly used. These findings could form the basis of skill development of idea generation and conversion in design education.

VRML을 이용한 소묘 교육용 코스웨어 (A Courseware for Dessin Education Using VRML)

  • 정강;이진선;오일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3-40
    • /
    • 2000
  • VRML은 웹에서 3차원 그래픽 기능을 제공하므로, 3차원 물체를 조작하여 학습해야하는 단원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은 VRML을 이용하여 개발한 소묘 교육용 코스웨어에 대해 기술한다. 이 코스웨어는 소묘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물체를 3차원 사이버 공간상에서 임의의 위치와 방향으로 설정해 놓고 관찰 및 소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PDF

수학 학습-지도에서 읽기 활용 방안 (A study on reading in learning-teaching mathematics)

  • 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425-442
    • /
    • 2002
  • One of important topics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s communicati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consists of writing,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But, research on reading has not yet to have a commensurate emphasis, despite important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c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search for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First, we explore theories of reading and reading instruction. Second, the factors involved in reading are examined. These factors are learners, texts and teachers. Third, we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that are reading and enacting strategy, reconstructing strategy, presupposing strategy, becoming an author strategy, sketch to stretch strategy and reading-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They will help students to foster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as well as reading skill.

  • PDF

폴리우레탄폼 절삭에서 절삭력을 고려한 공구 오프셋이 가공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 Effect of Tool Offset on Cutting Precision Considering Cutting Force in Polyurethane Foam Cutting)

  • 민세홍;김희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12호
    • /
    • pp.3018-3025
    • /
    • 2000
  • It is possible to shorten developing process by making model using polyurethane foam in the area of automobile development process, etc. However, this skill is too difficult to be of practical use because machining is not easy due to characteristic of polyurethane foam.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company use clay, polyurethane foam. etc,, those are easy to handle and to make model after completing design sketch. But these materials is difficult to the machined and be worked by humans hand, There are so many difficult problem for machining by making model using polyurethane foam since cutting of elastic body like polyurethan foam has never been studi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o measured cutting force that is generated in case of polyurethane foam machining, and to make systematize tool compensation of polyurethane foam cutting work on automobile model by modification of tool offset method on existing steel.

초등학교 저학년생을 위한 이물질에 의한 완전기도폐쇄 응급처치 교육용 일러스트레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Illustration on a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1 through 3)

  • 김미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1-7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listic illustration using watercolors on a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hat is at an appropriate lev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through the third. The illustration is a series of cuts divided into specific frames designed to illustrate the method to be followed in an action or a practical skill that would otherwise be too difficult to explain in written form. Methods: The fundamental theory of the Jeong In-Sung's instruction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WEB to construct an appropriate site of instruction learning was used after modification. In this study analysis, design, and production stages were realized. Results: 1. In Stage 1, impressions of the illustration, in sketch form, were received. In Stage 2, results of impressions from a modified illustration were received. After an appropriate level of understanding and accuracy in the practical steps for emergency maneuvers were achieved the illustrations entering Stage 3 and color was added to the sketches. 2. In Stage 3, the illustration was completed by adding color to the contents for the practical steps i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3. For composition evaluation, a result of 100% appropriateness was obtained for both items of harmony between illustration and subject being studied and sufficiency in quantity of illustrations. Also high results for appropriateness in items such as clarity, creating interest, illustration size, and tone preference as related to content were achieved and thus completed the production stages. Conclusio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Illustration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1 through grade 3 was appropriate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on developed illustrations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 1 through 3 on the complete airway obstruction maneuver. There is also a need for continued effort in developing certified evaluating tools that can judge the suitability of illustrations and developing illustrations related to emergency maneuvers for various subjects and appropriate for learner level.

  • PDF

표암 강세황의 묵란화 연구 (A Study on the Gang Sehwang's Ink Orchid Painting)

  • 강영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102-123
    • /
    • 2013
  • 표암 강세황(1713~1791)은 그림이나 글씨 시 제발 인장뿐만 아니라 탁월한 서화감식과 비평으로 조선 후기 회화의 큰 흐름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문인서화가이다. 그는 79세의 장수를 누리며 다양한 화목(畵目)의 작품을 제작했는데 특히 말년에 천착했던 문인화류의 사군자화는 조선 말기 묵란화 유행의 바탕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는 조선시대 화가 중 처음으로 사군자화를 갖추어 그렸는데, 작품량이 많고 회화사적 연구 가치가 있는 '묵란화(墨蘭畵)'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강세황의 묵란화에 대한 기록과 작품 연구를 통해 그의 묵란화 인식과 지향을 살피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강세황의 묵란화 기록에는 사생(寫生)과 고화(古畵)의 연습, 화보(畵譜)의 임방을 고루 중시했던 그의 작화태도가 나타나 주목된다. 18세기 예림의 종장 강세황은 고인(古人)의 뜻과 정신이 집약된 고화의 임방(臨倣)을 중시했으며 그림을 '우의(寓意)'와 '재도(載道)' 등의 수단으로 인식했다. 즉 그의 지속적인 화보임방의 작화방식에서 수기적(修己的) 가치관과 회화관을 읽을 수 있다. 다음으로 그의 이런 회화관이 녹아 있는 묵란화는 양식적 분석을 통해 30~40대의 전반기와 절필기를 끝내고 군자화에 몰두했던 60대~79세인 후반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는 전반기에 "개자원화전"을 주로 학습하였고, 후반기에는 "십죽재서화보"나 "매죽난국사보" 등의 화보를 학화(學畵)하였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그의 묵란화는 전시기(全時期) 화보 의탁이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묵란화를 다작했던 70대는 화보의 의고와 임방을 주지하면서도, 그것을 능숙하게 소화해 고아하고 단아한 '표암난'을 완성하여 조선 후기 묵란화 발전에 일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강세황의 묵란화풍과 관련 있는 당시(當時) 화가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화합벽첩을 만들며 서화로 교유했던 심사정이나 최북의 묵란화풍에서 강세황의 영향이 감지되어 앞서 언급한 문인들의 상찬과 아울러 18세기 조선 화단에서의 강세황 묵란화에 대한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