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onized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9초

상수관망 시스템의 골격화 기법 평가 (Skeletonization Methods for Complex Water Distribution Network)

  • 최정욱;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0호
    • /
    • pp.845-855
    • /
    • 2015
  • 대규모 상수관망 시스템의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펌프장 운영 최적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수관망 시스템 운영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짧게는 24시간, 길게는 1주일 이상의 시간모의가 필수적이며, 최적화 알고리즘과의 연계를 통한 시뮬레이션이 요구된다. 대규모 상수관망의 경우 관로 및 절점의 수가 수 천 혹은 수 만개에 달해 수리해석 및 최적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실시간 운영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모형의 적용에 한계가 발생한다. 이처럼 모의시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상수관망 시스템의 수리 거동, 수질 해석 결과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관망을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송, 배수 시스템의 일부를 대상으로 시스템 간소화, 즉 골격화(Skeletonization)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모두 네 가지의 골격화 기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골격화 기법을 통해 대규모 상수관망의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실제 상수관망의 실시간 운영 모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Quantitative evaluation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via fractal analysis

  • Kwak, Kyoung Ho;Kim, Seong Sik;Kim, Yong-Il;Kim, Yong-Deo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23-330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fractal analysis can be used as criteria for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evaluation. Methods: The study included 131 subjects aged over 18 years of age (range 18.1-53.4 years) who underw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keletonized images of the midpalatal suture were obtained via image processing software and used to calculate fractal dimensions. Correlations between maturation stage and fractal dimensions were calculated using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Optimal fractal dimension cut-off values were determined using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esults: The distribution of maturation stages of the midpalatal suture according to the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ex was highly variable, and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uration stage and fractal dimension (-0.623, p < 0.001). Fractal dimens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or of dichotomous results with regard to maturation stage (area under curve = 0.794, p < 0.001). A test in which fractal dimension was used to predict the resulting variable that splits maturation stages into ABC and D or E yielded an optimal fractal dimension cut-off value of 1.0235. Conclusions: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ractal dimension and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Fractal analysis is an objective quantitative method, and therefore we suggest that it may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 효과의 프랙탈 분석 (Fractal analysis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in dogs)

  • 김학균;김진수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0권3호
    • /
    • pp.123-129
    • /
    • 2010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gical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in dogs using fractal analysis. Also, the capabilities of fractal analysis as bone analysis techniqu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histomorphometric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24 implants were inserted in 6 dogs. After a 3-months,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characterized by a bone loss of about 3 mm was established by inducing with wires. Surgical treatment involving flap procedure, debridement of implants surface with chlorhexidine and saline (group 1),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with absorbable collagen membrane and mineralized bone graft (group 2), and $CO_2$ laser application with GBR (group 3) were performed. After animals were sacrificed in 8 and 16 weeks respectively, bone sections including implants were made. Fractal dimensions were calculated by box-counting method on the skeletonized images, made from each region of interest, including five screws at medial and distal aspects of implant, were selected.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actal dimensions between the group 1($0.9340{\pm}0.0126$) and group 3($0.9783{\pm}0.0118$) at 16 weeks were found (P<0.05). The fractal dim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8($0.9395{\pm}0.0283$) and 16 weeks in group 3 (P<0.05). These results were similar with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new bone formation in histomorphometric analysis. Conclusions : Treatment of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by using $CO_2$ laser with GBR is more useful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formation of new bone and also the tendency of fractal dimension to increase relative to healing time may be a useful means of evaluating.

대퇴 근위부의 골소주 패턴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예측 연구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Compositive Analysis of Trabecular Patterns on Proximal Femur)

  • 이주환;박성윤;정재훈;김성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40대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 40명을 선정하였고, T-Score 분류법에 따라 각각 20명의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대상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통해 대퇴경부(Femoral Neck), 전자부(Trochanter) 및 워드 삼각부(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측정부위에 $50{\times}50$ 픽셀 크기의 관심영역을 지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골소주 패턴을 추출하였다. 골다공증을 예측하기 위한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평균 회색조,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격화 변수(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이 골밀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였고(p<0.003), 평가변수의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의 높은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ternal Healing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Assessment by Computed Tomography Scan

  • Shin, Yoon Cheol;Kim, Sue Hyun;Kim, Dong Jung;Kim, Dong Jin;Kim, Jun Sung;Lim, Cheo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33-39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ernal healing over time and the incidence of poor sternal healing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97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CABG using skeletonized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sBITA) from 2006 through 2009.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was performed on all patients at monthly intervals for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In 108 patients, an additional CT study was performed 24 to 48 months after surgery. The axial CT images were used to score sternal fusion at the manubrium, the upper sternum, and the lower sternum. These scores were added to evaluate overall healing: a score of 0 to 1 reflected poor healing, a score of 2 to 4 was defined as fair healing, and a score of 5 to 6 indicated complete healing. Medical records were also retrospectively reviewed to identify periopera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oor early sternal healing. Results: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the average total score of sternal healing was $2.07{\pm}1.52$ and 68 patients (34.5%) showed poor healing. Poor healing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manubrium, which was scored as zero in 72.6% of patients.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early healing were shorter post-surgery time, older age, diabetes mellitus, and postoperative renal dysfunction. In later CT images, the average sternal healing score improved to $5.88{\pm}0.38$ and complete healing was observed in 98.2% of patients. Conclusion: Complete sternal healing takes more than three months after a median sternotomy for CABG using sBITA. Healing is most delayed in the manubrium.

콘크리트 라이닝 균열 분할 딥러닝 모델 평가 방법 (An evaluation methodology for cement concrete lining crack segmentation deep learning model)

  • 함상우;배수현;이임평;이규필;김동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13-524
    • /
    • 2022
  • 터널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반시설물에 발생한 콘크리트 균열을 영상과 딥러닝 기반으로 자동 탐지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려면 딥러닝 모델의 신뢰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성이 강한 균열의 기하적인 특성을 고려했을 때 화소 기반으로 계산하는 기존 평가지표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균열 분할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더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다른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비교 분석한다. 먼저 선형 객체의 유사성을 측정할 수 평가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데이터에 허용 버퍼(tolerance buffer)를 부여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설계, 구현, 검증한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균열 분할 딥러닝 모델 평가시 기존 대비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며, 화소 기반 성능 평가 지표에 비해 균열 분할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더 잘 설명할 것으로 기대한다.

양측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의 임상적 분석 (Feasibility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Bilateral Skeletonized Internal Thoracic Arteries)

  • 이준완;이재원;김종우;주석중;송현;류상완;김종욱;박종빈;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28-733
    • /
    • 2003
  • 동맥편만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위한 한 방법으로 양측성 내흉동맥을 이용한 관상동맥우회술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에서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받은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환자를 양측성 내흉동맥을 사용한 환자군을 양측 내흉동맥군(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y; BITA group, n=85), 단일 내흉동맥을 사용한 환자군을 단일 내흉동맥군(single internal thoracic artery; SITA group, n=54)으로 나누었고 수술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에 따른 사망은 양 군에서 각각 1예씩 발생하였다. 중환자실 재원일 및 퇴원기간은 양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BITA군: 2.4$\pm$1.7일, 11.2$\pm$17.7일, SITA군 2.8$\pm$2.7일, 9.7$\pm$7.1일, p>0.05). 문합혈관수는 BITA군이 3.9$\pm$0.7개, SITA군이 3.1$\pm$0.8개로 BITA군이 더 많았다. 술 후 심근경색은 7예(BITA군 2예, SITA군 5예)에서 발생하였고 심부 흉골감염이 4예(BITA군 3예, SITA군 1예)발생하여 재수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직후 104명의 환자에서(BITA군 64/85, SITA군 40/54명) 관상동맥 조영술이 시행되었고 좌전하행지로의 문합부위 협착이 4예(BITA군: 2예, SITA군: 2예)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관찰기간 동안의 문합부위 협착 발생은 총 8예였고 이 중 3명의 환자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시행되었으며 관상동맥 우회술을 재시행한 경우는 얼었다. 걸론: 관상동맥 우회술 시행시 양측 내흉동맥의 사용은 수술 전후 이환율에서 큰 차이 없이 만족할 만한 개통률을 얻으면서 동맥편만을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을 가능케 하는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Soeburi-Song' in Ulsan)

  • 양영진
    • 공연문화연구
    • /
    • 제37호
    • /
    • pp.157-186
    • /
    • 2018
  • 울산 쇠부리소리는 1981년 8월 달천철장의 마지막 불매대장인 고(故) 최재만(1987년 별세)의 구술과 소리를 바탕으로 1980년대에 재연된 소리이다. 본 고는 1981년 영상 등 총 13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쇠부리소리를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전승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 논문이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 쇠부리소리 자료를 살펴본 결과, 풍물패는 상쇠, 부쇠, 징2, 북4, 장구4, 태평소1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은 질굿,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의 5종을 친다. 가창곡은 3소박 4박자의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에 맞추어, 또는 무장단으로 부른다. 구성음은 대부분 Mi-La-do의 3음 또는 Mi-La-do-re의 4음으로, 음역은 1옥타브를 넘지 않는다. 종지음은 모두 La로 동일하다. 1981년 발굴 이후 오늘날까지의 쇠부리소리 연행을 살펴본 결과, 크게 4가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악곡의 구성이 '긴-자진'으로 분화되고, <금줄소리>, <애기 어르는 소리>, <성냥간 불매소리>가 첨가되었다. 둘째 가창 방식은 1980년대 재연 이후 '1인 선창자+다인 후창자'를 기본으로, 1인 후창자를 별도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2013년 연행된 <자진불매소리>는 <성냥간 불매소리>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 <긴-자진 불매소리>의 선율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박자구조는 모두 3소박 4박자이나, 속도가 느려지고, Mi-La-do의 3음을 골격으로 높은 re와 낮은 Sol이 첨삭되어 메나리토리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풍물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사물이 주로 쓰이며, 공연에 따라 소고, 태평소, 요령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장단은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을 처음부터 연주했으며, 이후 질굿 장단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최초 발굴 당시, <애기 어르는 소리>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불매소리>가 남성 노동요로 목적이 바뀌고 연희성이 강해지며 하나의 공연 예술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