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uational primi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점화효과를 적용한 여성 소비자의 주류 광고 수용 분석 (Reception Analysis of Liquor Advertisement for Female Consumer Based on Priming Effect)

  • 이윤정;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0-40
    • /
    • 2007
  •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가 소비에 있어 제품을 선택하고, 구입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여러 제품 중 아직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의 소비가 많은 주류를 차지하지만 소주의 "웰빙과 저도화"에 따라 점차 여성의 음주 인구 편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남성 위주로 제작된 주류 광고가 어떻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구매까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 점화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검증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피실험자들은 실험 영상과 간섭 영상이 의미적으로 연관이 있을 경우 부분적으로 점화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짧은 시간동안 스쳐 지나가는 광고의 한 장면일지라도 그것이 의미적으로 비슷한 환경이나 여건이 되어 노출될 경우 점화효과가 일어나 광고 중에 나타난 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주류 외에 자동차와 같은 남성 중심적 제품의 광고가 여성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광고가 점화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적 요소가 맞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화효과를 광고 제작과 편성에 이용한다면 보다 쉽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자기조절초점유형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Self-Regulatory Focus Theory)

  • 송민경;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63-670
    • /
    • 2009
  • The domestic foodservice and restaurant industries have been rapidly grow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restaurants to analyze the demands and desires of their customers according to internal attributions, and to understand how these may change in the future. To explore the internal attributions of individuals, such as personality,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he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es of 'Self-Regulatory Focus Theory'. Based on this theory, hypotheses were prepared and two experiments- &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hypotheses. showed that consumers who had a promotion focus were interested in the following factors: events, advertisement images and taste; whereas those with a prevention focus concentrated more on factors related to comfortoriented qualities, such as reputation and price satisfaction. In , after performing situational regulatory focus manipulation with the subjects,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in the promotion focus, when a prevention focus was induced, subjects concentrated more on price satisfaction, reputation, highly nutritious menu, and sanitary conditions; whereas in the prevention focus, when a promotion focus was induced, they concentrated on advertisement images, events, and restaurant atmosphere.

Overcoming the Cause Marketing Paradox: The Effect of Nostalgia on Charitable Giving and Happiness

  • Lee, Shinhyoung;Yi, Youjae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17
    • /
    • 2017
  •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and when cause marketing, whereby firms link product sales to the support of a charity or cause, can increase charitable giving and happines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cause marketing might reduce charitable giving and happiness among consumers. However, the present research finds the opposite result by introducing nostalgia as a moderator; cause marketing can enhance consumers' charity giving when their nostalgia is triggered. Moreover, results show that charitable giving increased by cause marketing improves feelings of happiness, suggesting that people view charitable behavior as a means of enhancing happiness. Interestingly, charitable giving and happiness are promoted by the situational priming of nostalgic events, but not by chronic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nostalgia proneness.

향이 화장품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Fragrance on the Quality of Cosmetic Products)

  • 임원철;김해성;한상길;이근수;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90
    • /
    • 2011
  • 점화효과란 연결된 일련의 사건에 의해서 고정관념과 같은 지식 구조가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렇게 활성화된 지식구조는 사람들의 판단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고정관념과 같은 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점화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어떤 행동이 일어나기 이전에 준 정보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은, 혹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들은 아주 미미한 관련된 사건이나 물건의 존재 하에서 행동이나 정서적인 반응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점화효과 연구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향에 의하여 정서의 변화나 행동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는지를 측정해 보려는 데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향을 맡게 한 후 화장품 품질 평가를 하게 할 경우 그들의 판단에 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향 조건은 무취 조건, 향기(일반적인 화장품 향) 조건, 악취 조건(암모니아와 트리에틸 아민의 배합)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각 조건별로 화장품 품질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자원 부족이 청년세대의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esource Scarcity on Ageism in the Younger Gener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 이인영;박혜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2호
    • /
    • pp.139-1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노인차별주의를 야기하는 사회구조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자원 부족이 청년세대의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0대와 30대 성인 2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참가자들은 자원 부족 점화 조건과 통제 조건으로 무선할당되어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후 노인차별주의와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척도들에 응답하였다. 그 결과, 자원 부족의 점화가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원 부족이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만 자원 부족의 점화가 노인차별주의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자원 부족과 같이 누군가 잠재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되면, 사회적 약자에게 더 공감한다는 선행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노인차별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의의와, 실험적 접근을 통해 노인차별주의에 대한 자원 부족의 인과적 영향력을 검증하려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대한 대안적 설명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한 반복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재몰유선택적정황하공동특성대우고객희호적영향(在没有选择的情况下共同特性对于顾客喜好的影响): 조절초점적조절작용(调节焦点的调节作用) (The Effect of Common Features on Consumer Preference for a No-Choice Option: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Park, Jong-Chul;Kim, Kyung-Jin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89-97
    • /
    • 2010
  • 本文研究共同特性对于无选择权的影响, 并涉及到了调节焦点理论. 本文主要着眼于这三个因子以及他们之间的关系. 之前的研究已经广泛涉及到这三个方面. 第一, 共同特性影响已经被广为研究. Tversky (1972) 开创了这个理论, EBA 模型: 通过消除方面. 根据这个理论, 消费者在比较的过程中更易于注意特殊的特性, 而忽略共同特性. 最近, 更多的研究开始针对于此模型对于消费者行为的影响. Chernev (1997) 认为增加共同特性可以减少选择距离. 但是, 随后Chernev (2001) 的研究指出共同特性可能是消费者认知上的负担, 所以他们更喜欢启发式的过程而不是系统式的过程. 这些研究提出了一系列问题: 共同特性是否影响顾客选择? 如果是的话, 这些影响是什么样子的? 第二, 一些研究指出没有选择的状况是消费者最好的选择, 他们在犹豫不决时用这种方法回避选择. 其他关于这一理论的研究是时间的压力, 消费者自信, 以及可供选择的数量. 第三, 调节聚焦理论在目前非常流行. 消费者有两个焦点目标: 促进和制止. 促进聚焦主要和希望, 野心, 成功, 获得等有关; 而制止聚焦和责任, 职责, 安全, 规避等有关. 调节聚焦理论预测了顾客的感情, 创造, 态度, 记忆, 表现, 和判断. 而这些都是市场营销研究的领域这些文献为本文的研究提供了一些理论支持. 特别是增加共同特征而不是忽略他们可以增加选择过程中克制消费者的没有选择状况的比重, 其对于促进消费者的作用确实相反的. 本文通过两个试验进行验证. 第一个是2 X 2 组间的设计(共同特性X调节聚焦), 数码相机作为相关的客体. 特别的是, 调节聚焦变量是从11个问题中取得的. 共同特性包括焦距, 重量, 记忆卡, 电池, 而像素和价格作为独特特性. 结果证明了我们的假设, 那就是增加共同特性增加了克制消费者的无选择比重, 而对促进消费者没有作用. 第二个试验被用来复制第一个实验的结果. 这个实验和之前的基本相同, 只有两个方面不同—主要控制和研究客体. 在促进的前提下, 研究对象必须一些词例如: 利润, 野心, 高兴, 成功, 发展等. 在克制的前提下, 他们必学写下坚持, 安全, 保护, 规避, 损失, 责任等词. 实验证明我们假设是成立的. 本研究说明了共同特性对于顾客选择的二重效果. 增加共同特性可以提高或者降低无选择状况. 本文对于理论研究和实践上都有着贡献. 对于市场营销人员来说, 他们可能需要根据顾客的划分来考虑产品的共同特性. 理论上, 研究结果支持共同特性和无选择状况的调节变量. 最后, 本文也有一些不足, 例如过于强调态度的重要性等. 我们希望本文能够为未来的研究做出抛砖引玉的作用.